"송상현(宋象賢)"의 두 판 사이의 차이
(XML 가져오기) |
(XML 가져오기)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인명사전|대표표제=송상현|한글표제=송상현|한자표제=宋象賢|이칭=|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분야=정치·행정가/관료/문신|유형=인물|지역=한국|시대=조선|왕대=선조|집필자=이기순|자= 덕구(德求) |호= 천곡(泉谷) |봉작=|시호= 충렬(忠烈) |출신=양반|성별=남자|출생=1551년(명종6) 1월 8일|사망=1592년(선조25) 4월 15일|본관=여산(礪山)|주거지= 개성, 서울 |묘소소재지= 충청도 청주(淸州) 가포리(加布里) |증조부= 송승은(宋承殷) |조부= 송전(宋琠) |부= 송복흥(宋復興) |모_외조=안동김씨( | + | {{인명사전|대표표제=송상현|한글표제=송상현|한자표제=宋象賢|이칭=|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분야=정치·행정가/관료/문신|유형=인물|지역=한국|시대=조선|왕대=선조|집필자=이기순|자= 덕구(德求) |호= 천곡(泉谷) |봉작=|시호= 충렬(忠烈) |출신=양반|성별=남자|출생=1551년(명종6) 1월 8일|사망=1592년(선조25) 4월 15일|본관=여산(礪山)|주거지= 개성, 서울 |묘소소재지= 충청도 청주(淸州) 가포리(加布里) |증조부= 송승은(宋承殷) |조부= 송전(宋琠) |부= 송복흥(宋復興) |모_외조=안동김씨(安東金氏): 김승석(金承碩)의 딸|형제=(동생)송상인(宋象仁)|처_장인=성주이씨(星州李氏): 이온(李熅)의 딸, 이문건(李文楗)의 손녀 →(자녀)2남 1녀|자녀=(1자)송인급(宋仁及) (2자)송효급(宋孝及) (1녀)이창원(李昌源)의 처|유명자손=|저술문집=|작품=|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10000376|실록연계=}} |
=='''총론'''== | =='''총론'''== | ||
− | [1551년(명종6)∼1592년(선조25) = 42세]. 조선 중기 선조 때 활동한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동래부사(東萊府使)로서 순절(殉節)한 충신. 자는 덕구(德求), 호는 천곡(泉谷)이다. 본관은 여산(礪山)인데, 개성 출신이다. 아버지는 사헌부 감찰송복흥(宋復興)이고, 어머니 안동김씨( | + | [1551년(명종6)∼1592년(선조25) = 42세]. 조선 중기 선조 때 활동한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동래부사(東萊府使)로서 순절(殉節)한 충신. 자는 덕구(德求), 호는 천곡(泉谷)이다. 본관은 여산(礪山)인데, 개성 출신이다. 아버지는 사헌부 감찰송복흥(宋復興)이고, 어머니 안동김씨(安東金氏)는 [[충의위(忠義衛)]]김승석(金承碩)의 딸이다. 전라도관찰사[[송상인(宋象仁)]]의 형이고, 사계(沙溪)김장생(金長生)과 막역한 친구 사이였다. |
=='''선조 시대 활동'''== | =='''선조 시대 활동'''==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임진왜란 때 동래성의 순절'''== | =='''임진왜란 때 동래성의 순절'''== | ||
− | 1592년(선조25) <임진왜란>이 일어났는데, 4월 13일 적장(賊將) 히라요시(平義智) 등이 대마도(對馬島)에 주둔한 왜적 15만 명 중에서 선발 부대를 이끌고 우리나라를 침범하였다. 그날 적선(賊船)이 바다를 뒤덮었는데, 부산첨사(釜山僉使)[[정발(鄭撥)]]은 마침 절영도(絶影島)에서 사냥을 하다가, 조공하러 오는 [[왜선(倭船)]]이라고 여기고 대비하지 않았다. 그가 미처 진(鎭)에 돌아오기도 전에 왜적이 이미 상륙하였고, 다음날인 14일 [[부산진(釜山鎭)]]을 함락하였다. 15일 왜적이 동래부성(東萊府城)으로 진군하여 성을 포위하고 압박해 오자, 경상도병사(慶尙道兵使)이각( | + | 1592년(선조25) <임진왜란>이 일어났는데, 4월 13일 적장(賊將) 히라요시(平義智) 등이 대마도(對馬島)에 주둔한 왜적 15만 명 중에서 선발 부대를 이끌고 우리나라를 침범하였다. 그날 적선(賊船)이 바다를 뒤덮었는데, 부산첨사(釜山僉使)[[정발(鄭撥)]]은 마침 절영도(絶影島)에서 사냥을 하다가, 조공하러 오는 [[왜선(倭船)]]이라고 여기고 대비하지 않았다. 그가 미처 진(鎭)에 돌아오기도 전에 왜적이 이미 상륙하였고, 다음날인 14일 [[부산진(釜山鎭)]]을 함락하였다. 15일 왜적이 동래부성(東萊府城)으로 진군하여 성을 포위하고 압박해 오자, 경상도병사(慶尙道兵使)이각(李珏)은 적의 위세에 두려워져서 부하들을 이끌고 도망쳤다. 송상현은 혼자서 남은 사람들을 독려하며 성(城)을 방어하였는데, 탄환과 화살이 그에게 비 오듯이 날아오는데도 싸움을 지휘하였다. 그는 성이 함락될 것을 알고, 급히 [[조복(朝服)]]을 가져다가 갑옷 위에 차려 입고, 지휘하는 초루(譙樓)에 올라가서 의자에 단정하게 앉아서, 위엄을 잃지 않고 죽을 각오를 하였다. 마침내 성이 무너지고 왜적이 밀어닥치자, 왜적 중에 통호(通好)하러 부산에 왕래할 때에 송상현의 은덕을 입었던 히라쵸우(平調益)란 자가 급히 앞으로 다가와서, 그에게 눈짓하여 피하도록 청하였으나, 송상현은 이에 응하지 않았다. 히라쵸우가 그의 옷자락을 잡아끌어 성(城) 옆에 있는 공지(空地)로 인도하려고 하자, 송상현은 이를 뿌리치고 의자에서 의연하게 내려와서, 북쪽 대궐을 향하여 절을 하였다. 그리고 몸종을 불러서 그의 부친 송복흥에게 부채 하나를 보냈는데, 부채 위에 시를 쓰기를, “달무리처럼 포위당한 외로운 성에[孤城月暈], 대진(大鎭)의 구원병은 오지 않는데[大鎭不救], 군신(君臣)의 의리는 중하고[君臣義重], 부자(父子)의 은혜는 가벼워라[父子恩輕].”라고 하여 혼자 외로이 싸우다가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치겠다는 굳은 뜻을 알렸다. 드디어 그는 왜적에게 둘러싸여 살해를 당하니, 나이가 42세였다. 적장 히라요시 등이 그의 장렬한 죽음에 탄복하여, 송상현을 살해한 왜적을 잡아내어 목을 베었다. 송상현을 따르던 신여로(申汝櫓)와 송상현의 첩 금섬(金蟾)도 따라 죽었는데, 히라요시가 송상현의 시신(屍身)을 수습하여 금섬과 같이 동문(東門) 밖에 묻고 나무를 세워 [[표(表)]]를 한 후 시(詩)를 지어 칭송하였다. 그 후에 우리나라 수신(帥臣)이 적장을 만났는데, 적장이 그가 순절(殉節)한 사실을 매우 상세하게 말하였으므로, 선조가 듣고 그에게 [[증직(贈職)]]과 정려(旌閭)를 하라고 특별히 명하였다. 1595년(선조28)에는 왜적이 동래 지역을 점거하고 있었는데, 그의 가족들이 조정에서 반장(返葬)을 도와달라고 간청하였다. 그러자, 선조가 경상도관찰사에게 왜적을 회유하도록 명하였고, 이어 가족들이 적진에 들어가서 그 시신을 찾아와 장사를 지냈다. |
=='''성품과 일화'''== | =='''성품과 일화'''==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묘소와 후손'''== | =='''묘소와 후손'''== | ||
− | 시호는 충렬(忠烈)이다. 묘소는 충청도 청주(淸州) 가포리(加布里)의 묘원에 있고, 송시열(宋時烈)이 지은 비명(碑銘)이 남아 있다. 사후에 이조 판서 · 좌찬성에 추증되었다. 부인 성주이씨( | + | 시호는 충렬(忠烈)이다. 묘소는 충청도 청주(淸州) 가포리(加布里)의 묘원에 있고, 송시열(宋時烈)이 지은 비명(碑銘)이 남아 있다. 사후에 이조 판서 · 좌찬성에 추증되었다. 부인 성주이씨(星州李氏)는 충의위이온(李熅)의 딸이고 [[승지(承旨)]]이문건(李文楗)의 손녀인데, 자녀는 2남 1녀를 두었다. 장남 송인급(宋仁及)은 문과에 급제하여 [[정랑(正郞)]]를 지냈다. 부산 충렬사(忠烈祠) · 개성 숭절사(崇節祠) · 청주 신항서원(莘巷書院) · 고부 정충사(旌忠祠) · 청원 충렬묘(忠烈廟) 등에 제향되었다. |
=='''관력, 행적'''== | =='''관력, 행적'''== |
2018년 1월 9일 (화) 22:48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송상현 |
한글표제 | 송상현 |
한자표제 | 宋象賢 |
분야 | 정치·행정가/관료/문신 |
유형 | 인물 |
지역 | 한국 |
시대 | 조선 |
왕대 | 선조 |
집필자 | 이기순 |
자 | 덕구(德求) |
호 | 천곡(泉谷) |
시호 | 충렬(忠烈) |
출신 | 양반 |
성별 | 남자 |
출생 | 1551년(명종6) 1월 8일 |
사망 | 1592년(선조25) 4월 15일 |
본관 | 여산(礪山) |
주거지 | 개성, 서울 |
묘소소재지 | 충청도 청주(淸州) 가포리(加布里) |
증조부 | 송승은(宋承殷) |
조부 | 송전(宋琠) |
부 | 송복흥(宋復興) |
모_외조 | 안동김씨(安東金氏): 김승석(金承碩)의 딸 |
형제 | (동생)송상인(宋象仁) |
처_장인 | 성주이씨(星州李氏): 이온(李熅)의 딸, 이문건(李文楗)의 손녀 →(자녀)2남 1녀 |
자녀 | (1자)송인급(宋仁及) (2자)송효급(宋孝及) (1녀)이창원(李昌源)의 처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송상현(宋象賢) |
총론
[1551년(명종6)∼1592년(선조25) = 42세]. 조선 중기 선조 때 활동한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동래부사(東萊府使)로서 순절(殉節)한 충신. 자는 덕구(德求), 호는 천곡(泉谷)이다. 본관은 여산(礪山)인데, 개성 출신이다. 아버지는 사헌부 감찰송복흥(宋復興)이고, 어머니 안동김씨(安東金氏)는 충의위(忠義衛)김승석(金承碩)의 딸이다. 전라도관찰사송상인(宋象仁)의 형이고, 사계(沙溪)김장생(金長生)과 막역한 친구 사이였다.
선조 시대 활동
1570년(선조3) 나이 20세로 생원진사시에 합격하고, 1576년(선조9) 나이 26세로 별시(別試)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承文院) 정자(正字)에 보임되었다. 이어, 저작(著作) · 박사(博士)로 차례로 승진하였고, 승정원 주서(注書)로 추천되어 춘추관(春秋館)기사관(記事官)을 겸임하였다. 1581년(선조14) 경성판관(鏡城判官)으로 나갔다가, 내직으로 들어와서 사헌부 지평(持平) · 집의(執義)와 사간원 사간(司諫) 등 대간(臺諫)의 청요직(淸要職)을 여러 차례 역임하였다. 그러나 언론이 강직하였기 때문에 좌천되어 북도평사(北道評事), 은계도찰방(銀溪道察訪), 배천군수(白川郡守) 등을 역임하였다. 북평사(北評事)로 있을 때 북병사(北兵使)이일(李鎰)의 막하(幕下)에서 ‘제승방략(制勝方略)’의 방어 체제를 익혔다. 1583년(선조16) 충훈부(忠勳府)경력(經歷)을 거쳐, 호조 · 예조 · 공조의 정랑(正郞)과 사재감(司宰監)정(正), 군자감(軍資監) 정을 지냈다. 1584년(선조17) 종계변무사(宗系辨誣使)의 질정관(質正官)으로 임명되어 명(明)나라 북경(北京)에 다녀와서, 다시 사헌부 집의가 되었다가, 1591년(선조24) 동래부사(東萊府使)에 임명되었다. 그때 일본에서 조선을 침입할 것이라는 소문이 끊임없이 들려왔는데, 동래(東萊)는 일본이 침입하는 첫 관문이 되므로 관리들이 사지(死地)로 여겨서 부임하기를 꺼려하였다. 이를 걱정한 선조가 위급한 사태가 일어났을 때에 나라의 울타리가 될 만한 인물을 천거하라고 명하자, 묘당(廟堂)에서 송상현(宋象賢)을 추천하여, 특별히 정3품상 통정대부(通政大夫)의 품계로 올려 부사에 임명하였다.
임진왜란 때 동래성의 순절
1592년(선조25) <임진왜란>이 일어났는데, 4월 13일 적장(賊將) 히라요시(平義智) 등이 대마도(對馬島)에 주둔한 왜적 15만 명 중에서 선발 부대를 이끌고 우리나라를 침범하였다. 그날 적선(賊船)이 바다를 뒤덮었는데, 부산첨사(釜山僉使)정발(鄭撥)은 마침 절영도(絶影島)에서 사냥을 하다가, 조공하러 오는 왜선(倭船)이라고 여기고 대비하지 않았다. 그가 미처 진(鎭)에 돌아오기도 전에 왜적이 이미 상륙하였고, 다음날인 14일 부산진(釜山鎭)을 함락하였다. 15일 왜적이 동래부성(東萊府城)으로 진군하여 성을 포위하고 압박해 오자, 경상도병사(慶尙道兵使)이각(李珏)은 적의 위세에 두려워져서 부하들을 이끌고 도망쳤다. 송상현은 혼자서 남은 사람들을 독려하며 성(城)을 방어하였는데, 탄환과 화살이 그에게 비 오듯이 날아오는데도 싸움을 지휘하였다. 그는 성이 함락될 것을 알고, 급히 조복(朝服)을 가져다가 갑옷 위에 차려 입고, 지휘하는 초루(譙樓)에 올라가서 의자에 단정하게 앉아서, 위엄을 잃지 않고 죽을 각오를 하였다. 마침내 성이 무너지고 왜적이 밀어닥치자, 왜적 중에 통호(通好)하러 부산에 왕래할 때에 송상현의 은덕을 입었던 히라쵸우(平調益)란 자가 급히 앞으로 다가와서, 그에게 눈짓하여 피하도록 청하였으나, 송상현은 이에 응하지 않았다. 히라쵸우가 그의 옷자락을 잡아끌어 성(城) 옆에 있는 공지(空地)로 인도하려고 하자, 송상현은 이를 뿌리치고 의자에서 의연하게 내려와서, 북쪽 대궐을 향하여 절을 하였다. 그리고 몸종을 불러서 그의 부친 송복흥에게 부채 하나를 보냈는데, 부채 위에 시를 쓰기를, “달무리처럼 포위당한 외로운 성에[孤城月暈], 대진(大鎭)의 구원병은 오지 않는데[大鎭不救], 군신(君臣)의 의리는 중하고[君臣義重], 부자(父子)의 은혜는 가벼워라[父子恩輕].”라고 하여 혼자 외로이 싸우다가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치겠다는 굳은 뜻을 알렸다. 드디어 그는 왜적에게 둘러싸여 살해를 당하니, 나이가 42세였다. 적장 히라요시 등이 그의 장렬한 죽음에 탄복하여, 송상현을 살해한 왜적을 잡아내어 목을 베었다. 송상현을 따르던 신여로(申汝櫓)와 송상현의 첩 금섬(金蟾)도 따라 죽었는데, 히라요시가 송상현의 시신(屍身)을 수습하여 금섬과 같이 동문(東門) 밖에 묻고 나무를 세워 표(表)를 한 후 시(詩)를 지어 칭송하였다. 그 후에 우리나라 수신(帥臣)이 적장을 만났는데, 적장이 그가 순절(殉節)한 사실을 매우 상세하게 말하였으므로, 선조가 듣고 그에게 증직(贈職)과 정려(旌閭)를 하라고 특별히 명하였다. 1595년(선조28)에는 왜적이 동래 지역을 점거하고 있었는데, 그의 가족들이 조정에서 반장(返葬)을 도와달라고 간청하였다. 그러자, 선조가 경상도관찰사에게 왜적을 회유하도록 명하였고, 이어 가족들이 적진에 들어가서 그 시신을 찾아와 장사를 지냈다.
성품과 일화
송상현의 성품과 자질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전한다. 그는 국량(局量)이 깊고 후덕하며, 언어(言語)가 간중(簡重)하고 희노애락(喜怒哀樂)을 얼굴에 나타내지 않았다. 항상 경서(經書)를 깊이 연구하고 사서(史書)에 통달하였으며, 병서(兵書)도 익혔다. 지극히 효성스러워 어버이가 집에 있을 때에는 비록 추운 겨울이나 더운 여름에도 하루 종일 모시고 서서 유건(儒巾)과 허리띠를 벗지 아니하였다. 또 아우 송상인과도 우애가 매우 두터웠고, 과부가 된 누님이 있었는데, 은례(恩禮)를 갖추어 봉양하였고, 그 조카들을 자기 친자식같이 아끼고 사랑하였다.
묘소와 후손
시호는 충렬(忠烈)이다. 묘소는 충청도 청주(淸州) 가포리(加布里)의 묘원에 있고, 송시열(宋時烈)이 지은 비명(碑銘)이 남아 있다. 사후에 이조 판서 · 좌찬성에 추증되었다. 부인 성주이씨(星州李氏)는 충의위이온(李熅)의 딸이고 승지(承旨)이문건(李文楗)의 손녀인데, 자녀는 2남 1녀를 두었다. 장남 송인급(宋仁及)은 문과에 급제하여 정랑(正郞)를 지냈다. 부산 충렬사(忠烈祠) · 개성 숭절사(崇節祠) · 청주 신항서원(莘巷書院) · 고부 정충사(旌忠祠) · 청원 충렬묘(忠烈廟) 등에 제향되었다.
관력, 행적
참고문헌
- 『선조실록(宣祖實錄)』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간이집(簡易集)』
- 『계곡집(谿谷集)』
- 『기재사초(寄齋史草)』
- 『난중잡록(亂中雜錄)』
- 『만기요람(萬機要覽)』
- 『백호전서(白湖全書)』
- 『사계전서(沙溪全書)』
- 『상촌집(象村集)』
- 『서애집(西厓集)』
- 『송자대전(宋子大典)』
- 『순암집(順菴集)』
- 『연려실기술(練藜室記述)』
- 『연암집(燕巖集)』
- 『우계집(牛溪集)』
- 『일사집략(日槎集略)』
- 『자해필담(紫海筆談)』
- 『잠곡유고(潛谷遺稿)』
- 『재조번방지(再造藩邦志)』
- 『청음집(淸陰集)』
-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