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충간(朴忠侃)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총론

[?~1601년(선조34)]. 조선 중기 선조(宣祖) 때에 활동한 문신. 자는 숙정(叔正), 호는 남애(南崖)다. 본관은 상주(尙州)인데, 관찰사박세후(朴世煦)의 아들이고, 수찬(修撰)안처선(安處善)의 외손자다. 형은 박충은(朴忠誾)이고, 아우는 박충렴(朴忠廉)이다.

선조 시대 활동

문음(門蔭)으로 벼슬에 올라 청환직(淸宦職)을 역임하였다. 1584년(선조17)에 호조 정랑이 되었고, 1589년(선조22) 재령군수(載寧郡守)로 있을 때 이축(李軸)· 한응인(韓應寅) 등과 함께 정여립(鄭汝立)의 모역(謀逆)을 고변(告變)하였다. 그 공으로 형조 참판에 임명되었고 ‘평난공신(平難功臣) 1등’에 책훈(策勳)되었으며 상산군(商山君)에 봉해졌다. 1590년(선조23)에 호조 판서가 되었고, 1592년(선조25)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순검사(巡檢使)가 되어, 국내 여러 성(城)의 수축을 담당하여 서울로 진군하는 왜적에 대비하였으나, 왜적의 군사와 싸우다가 도망치고 황당무근한 말을 퍼뜨렸다는 죄로 파직되었다. 그 뒤 영남· 호남 지방에 파견되어 군량미 조달을 담당하다가, 1594년(선조27) 진휼사(賑恤使)가 되어 구호에 필요한 쌀· 콩· 팥 등을 조달하여 굶주리는 백성들을 구원하였다. 1597년(선조30) 순검사· 선공감(繕工監)제조(提調)를 역임하였다. 1599년(선조32) 윤4월에는 충훈부(忠勳府)의 곡식을 사용(私用)하였다고 하여 유사(有司) 당상관(堂上官)에서 체직되었으며, 1600년(선조33) 남이공(南以恭) 등 남인(南人)들의 파당 행위의 폐해를 상소하였다가, 집권한 남인들에 의하여 여러 차례 탄핵을 받았다. 1601년(선조34) 5월 11일 병으로 죽었다.

성품과 사평

『선조실록(宣祖實錄)』에서는, 그가 “젊어서부터 재덕(才德)이 부족하였고 늙어서도 명성이 없었다. 요행으로 공을 세워 갑자기 재상의 반열에 올랐으나, 사치가 끝이 없어 당시 사람들이 비루하게 여겼다. 그러나 일을 잘 수습한다는 명망이 있기는 하다.”라고 하였다.

묘소와 추증

묘소는 경기도 양주군 화도면 흑현리(黑峴里) 천마산(天磨山) 아래 낙성곡(洛城谷)에 있다.

생전에 종1품하 숭정대부(崇政大夫)호조 판서상산군(尙山君)에 봉해졌는데, 사후에 정1품상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의정부(議政府)좌의정(左議政)상산부원군(尙山府院君)에 증직되었다.

관력, 행적

참고문헌

  • 『명종실록(明宗實錄)』
  • 『선조실록(宣祖實錄)』
  • 『선조수정실록(宣祖修正實錄)』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난중잡록(亂中雜錄)』
  • 『기재사초(寄齋史草)』
  • 『재조번방지(再造藩邦志)』
  • 『기축록(己丑錄)』
  • 『동각잡기(東閣雜記)』
  • 『시정비(時政非)』
  • 『간이집(簡易集)』
  • 『응천일록(凝川日錄)』
  • 『속잡록(續雜錄)』
  • 『운암잡록(雲巖雜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