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조상례보편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조선후기 문신·학자 홍계희 등이 궁중예제에 관하여 편집한 예서. 6권 6책. 활자본. 책머리에 영조 어제와 김재로(金在魯)의 봉교전서, 신만(申晩)의 봉교후서가 있다. 『국조오례의』 중에서 의주(儀註)가 없다든지, 옛날에는 있었으나 지금은 없는 것 등을 작도(作圖)하였다.소상의주(小喪儀註) 전문을 보입(補入)하였고, 1751년(영조 27) 효순현빈(孝純賢嬪)의 상, 의소세손(懿昭世孫)의 대·소상 때의 의궤, 1757년 인원왕후(仁元王后)의 승하 때 거행된 예식에 대하여도 보편(補編)하였다. 고려대학교 도서관·보성고등학교·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권1에는 왕의 고명(顧命) 절차로부터 죽은 왕에게 시책문(諡冊文)을 올리는 의식, 권2에는 계빈(啓殯)으로부터 담제(禫祭) 전까지와 사시(四時) 및 납향(臘享)에 관한 의식, 권3에는 명절 때의 종묘제례, 권4에는 초상 때부터 시책(諡冊)까지의 예식 절차와 상계(上啓), 권5에는 계빈 때 받는 수교(受敎)한 내용과 이 책의 편집 시말(始末), 권6에는 의소세손의 상 때 수교한 내용을 기록하였다.그밖에 권외(卷外)로 초종장례(初終葬禮) 때 쓰이는 기구, 제복 및 그 부속물에 관한 도설(圖說)이 있다.[1] 『세종실록오례』·『국조오례의』·『사직서의궤』 등의 상례와 관련된 문헌.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국조상례보편 Record 문헌 예서(禮書)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 국조상례보편 國朝喪禮補編 Gukjo Sang'rye Bopyeon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국조상례보편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국조상례보편
한자표기 國朝喪禮補編
이칭/별칭 상례보편(喪禮補編), 상례수교, 속상례보편, 국조상례보편_1752년본, 국조상례보편_1758년본
유형 예서(禮書)
편찬 참여자(contributor) 김재로, 홍계희, 이익정, 이철보, 조명리, 윤득우, 이석희, 윤동성, 이사관, 신회, 김치인, 구윤명, 조명정, 홍낙성, 성천주, 정존겸
시대 1752년(영조 28)/ 1758년(영조 34)
수량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국조오례통편 국조상례보편 hasPart
국조상례보편 국조오례의 references
국조상례보편 조선_영조 creator
국조상례보편 조선_영조 publisher
국조상례보편 인원왕후 isRelatedTo
국조상례보편 정성왕후 isRelatedTo
국조상례보편 김재로 contributor
국조상례보편 이익정 contributor
국조상례보편 신회 contributor
국조상례보편 구윤명 contributor
국조상례보편 홍낙성 contributor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민족문화대백과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6502
참고 AKS 한국학전자도서관 국조상례보편 https://lib.aks.ac.kr/search/Search.Result.ax?sid=1&q=ALL%3A국조상례보편&eq=&mf=true&qt=전체%3D국조상례보편&qf=국조상례보편&f=&br=&cl=1+2+3+5+6+4+7+8+9+33+12+13+14+15+16+32+31+34+35+39+42+44+45&gr=1+2+3+4+5+6+7&rl=&page=&pageSize=10&s=&st=&h=&cr=&py=&subj=&facet=Y&nd=&vid=0&tabID=&fv=
참고 국립중앙도서관 국조상례보편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pageNum=1&pageSize=30&srchTarget=total&kwd=국조상례보편#
참고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 奎165-v.2-6 서지사항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00165_00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주자가례(朱子家禮)』,
박수정, 「영조대 『국조속오례의보』·『국조상례보편』의 편찬 배경과 편찬자들」, 『규장각』 53, 서울대학교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8.
송지원, 「국왕 영조의 국장절차와 『國朝喪禮補編』」, 『조선시대사학보』 51, 조선시대사학회, 2009.
안희재, 「조선시대 국장의례 연구: 국왕국장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박사논문, 2009.
이현진, 「영조대 왕실 喪葬禮의 정비와 『國朝喪禮補編』」, 『韓國思想史學』 37, 한국사상사학회, 2011.
이현진, 「정조 초 영조의 國葬 절차와 의미」, 『泰東古典硏究』 27,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1.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 글항아리, 2015.
이현진, 『조선왕실의 상장례』, , 신구문화사, 2017.
임민혁, 「조선초기 『國朝五禮儀』 흉례의 구조와 의례적 성격」, 『역사와 실학』 50 , 2013.
鄭鐘秀, 『朝鮮初期 喪葬儀禮 硏究』,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최규순, 「傳統 喪禮에서의 復과 復衣에 나타난 多面的 성격」, 『한국학논총』 V.34.
최진덕, 「『주자가례』와 죽음의 유학적 이해」, 『정신문화연구』 제23권 제3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0.

Notes

  1. 이동술,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