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향례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연향례
(宴饗禮)
대표명칭 연향례
한자표기 宴饗禮
유형 의례
관련개념 가례



정의

궁중잔치를 의식으로 양식화한 것이다. 국가가 주체가 되는 연향도 있고, 인간의 일생의례와 관련한 연향도 있다.

내용

조선시대 연향의 종류
조선시대 연향례는 크게 국가가 주체가 되는 것과 일생의례와 관련한 것으로 나눌 수 있다. 국가가 주체가 되는 연향은 회례연(會禮宴), 사객연(使客宴), 양로연(養老宴)이 있다. 회례연은 왕과 백관(百官), 왕비와 명부(命婦)가 서로의 화합을 위해 거행되는 연향이고, 사객연은 사신(使臣) 접대 연향이며, 양로연은 나라의 노인을 위해 베푸는 잔치이다. 일생의례와 관련된 것은 진연(進宴)으로 행해지는데 명절, 생신, 경사스러운 날 등에 왕실 가족과 친인척, 신하가 함께 친애(親愛)의 정을 펴는 잔치이다. 진연은 조선후기로 가면서 잔치의 규모에 따라 명칭이 세분화된다.

진연(進宴)의 종류와 규모
조선시대 진연(進宴)은 조선후기로 가면서 진풍정(進豊呈), 진연(進宴), 진찬(進饌), 진작(進爵)으로 세분화된다. 진풍정은 ‘풍정을 올리다’라는 의미인데, ‘풍정’의 의미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진연은 ‘연향을 올리다’, 진찬은 ‘찬(饌)을 올리다’, 진작은 ‘술잔을 올리다’로 풀이된다. 모두 크고 작은 ‘연향을 올린다’는 의미로 단어가 출발했으나 후에 점차 규모에 따라 가장 큰 잔치는 진풍정, 그 다음 규모는 진연, 그 다음은 진찬, 가장 작은 규모는 진작으로 사용된다. 진풍정은 조선초기부터 있던 용어이고, 진연은 성종때, 진찬은 영조때, 진찬은 순조때 등장한다.

연향의례 참여자 복식
연향의례에 참여하는 , 왕세자, 익선관복(翼善冠服)익선관곤룡포을 입는다. 여자들의 복식은 대왕대비는 자적색(紫的色) 적의(翟衣), 왕비는 대홍색 적의, 왕세자빈은 아청색(흑청색) 적의, 공주원삼이나 장삼(長衫)이다. 정조의 모후인 혜경궁 홍씨는 신분적 특수성 때문에 정조가 특별히 천청색(天靑色) 적의를 제정했다. 적의는 비빈(妃嬪) 책례, 혼례 등 성대한 의례에 입는 예복인데 이렇게 가장 성대한 의례에 입을 때와 연향례에 입을 때는 여러 구성요소의 장식을 달리해서 입었다. 적의를 입을 때 조선전기에는 7마리 꿩을 장식한 칠적관(七翟冠)을 쓰다가 후기에 대수(大首)를 썼고, 원삼에는 어여머리를 한다.

헌종 무신년(1848) 진찬
조선후기 왕실 연향의례를 볼 수 있는 대표적인 것은 헌종 무신년(헌종14) 진찬 자료이다. 순조의 정비이자 효명세자의 어머니이자 헌종의 할머니인 대왕대비 순원왕후 김씨의 육순과 왕대비효명세자의 정비이자 헌종의 어머니인 신정왕후의 망오(望五: 41세)를 기념하여 헌종이 잔치를 올렸다. 잔치 전날인 3월 16일 창덕궁 인정전에서 에게 신하들이 올린 진하례, 17일 창경궁 통명전에서 열린 대왕대비전 내진찬(內進饌)과 야진찬(夜進饌), 3월 18일 창경궁 통명전에서 헌종의 익일회작(翌日會酌)과 익일야연(翌日野宴)이 열렸다.

연향의례 참여 관원과 악무복식
왕실 연향의례에 참여하는 백관(百官)은 4품 이상 백관의 조복, 5품 이하 흑단령(黑團領)이다. 관원들이 경사스런 의례에 입는 복식은 조선전기에 1품부터 9품까지 모두 조복이었으나 임진왜란병자호란으로 국가경제가 어려워진 후 조선후기에는 4품 이상만 조복을 착용하게 한다. 연향의 음악을 담당한 악공(樂工)은 복두(幞頭), 단령(團領), 대(帶), 화(靴)를 착용한다. 단령은 지휘자격인 전악(典樂)은 녹색[綠綃衫]이고 일반 악공은 홍색[紅紬衣]이다. 춤을 추는 여령(女伶)화관(花冠), 황색 겉옷[黃綃衫]에 자수 허리띠[繡帶]를 두르며, 오색 한삼(汗衫)을 손에 끼고, 치마 위에 앞치마처럼 생긴 홍색 웃치마[紅綃裳]를 두른다. 정재(呈才)에 따라 복식이 달라지기도 하는데, 처용무(處容舞)에는 복두단령을 입고, 검기무(劍器舞)에는 전립(戰笠), 협수(挾袖), 쾌자(快子)를 입으며, 선유락(船遊樂)에는 주립(朱笠), 철릭[天翼], 광대(廣帶) 차림을 한다.

-단국대학교 전통의상학과 교수 최연우-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연향례 통명전진찬의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연향례 통명전야진찬의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연향례 통명전익일회작의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연향례 통명전익일야연의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헌종 연향례 A는 B를 거행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순원왕후 연향례 A는 B를 참여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신정왕후 연향례 A는 B를 참여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안태욱, 『궁중연향도의 탄생-조선후기 연향 기록화와 양식에 대한 미술사적 연구』, 민속원, 2014.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중기 궁중연향문화』, 민속원,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