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원왕후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순원왕후(純元王后)
대표명칭 순원왕후
한자표기 純元王后
생몰년 1789년 5월 15일-1857년 8월 4일(음)
재위 왕비 1802년-1834년, 왕대비 1834년, 대왕대비 1834년-1857년
본관 안동 김씨(安東 金氏)
이칭 명경대왕대비
출생지 양생방(養生坊) 사저
사망지 창덕궁 양심합
시대 조선
대표직함 왕비, 왕대비, 대왕대비, 추존황후
배우자 조선의 제23대 왕 순조(純祖)
영안부원군(永安府院君) 김조순(金祖淳)
청양부부인(靑陽府夫人) 청송 심씨(靑松 沈氏)
자녀 1남 3녀, 효명세자(孝明世子), 명온공주(明溫公主), 복온공주(福溫公主), 덕온공주(德溫公主)
전임자 효의왕후 김씨(孝懿王后 金氏)
후임자 신정왕후 조씨(神貞王后 趙氏)
능묘 인릉(仁陵) 37.4655982, 127.0795955
성격 인물
유형 왕비



정의

조선 제23대 왕 순조의 비이다.

내용

안동김씨 김조순(金祖淳)의 딸이다. 2번에 걸쳐 수렴청정을 하였으며, 안동김씨 세도정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생애

1800년(정조 24)에 왕세손빈으로 초간(初揀)되었다. 그러나 그해 정조(正祖)가 죽었기 때문에 책봉되지는 못하였다.[1] 1802년 창덕궁 인정전에서 왕비로 책봉되었다.[2] 순원왕후왕비 책봉은 곧 안동 김씨(安東 金氏) 세도정치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 순조가 혼인한 다음해에 정순왕후가 수렴청정을 거두었으며, 정순왕후가 죽자 벽파가 조정에서 축출되었다.[3] 벽파가 축출된 뒤에는 안동김씨 세도정치의 시작이 되었다. 순조는 안동김씨를 제어하기 위하여 조만영(趙萬永)의 딸을 왕세자빈으로 들이기도 하였으나,[4] 효장세자(孝章世子)가 급사하여 좌절되었다.[5] 헌종(憲宗)이 즉위할 때 대비가 되어 수렴청정을 하였으며,[6]대왕대비가 되었다.[7] 순원왕후의 수렴청정 기간에는 안동김씨 김조근(金祖根)의 딸이 왕비가 되어 안동김씨 세도가 더욱 강화되었다.[8] 순원왕후는 1851년(철종 2) 수렴청정을 거두었다.[9] 안동김씨의 세력이 절정이던 1857년(철종 8) 창덕궁 양심합(養心閤)에서 죽었다.[10]

사후

서울특별시 서초구 헌인릉길 34에 순조순원왕후의 능인 인릉(仁陵)이 있다. 1970년 5월 26일 헌릉(獻陵)과 함께 사적 제 194호로 지정되었다.[11]

거행 의례

헌종무신진찬의궤, 순조순원왕후가례도감의궤[12], 순원왕후신정왕후존숭도감의궤[13], 순원왕후상호도감의궤[14], 순원왕후가상존호도감의궤[1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순조 순원왕후 A는 B의 남편이다 A ekc:hasWife B
순원왕후 왕비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순원왕후 책례 A는 B를 거행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순원왕후 헌종무신진찬의궤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802년 10월 13일 순원왕후왕비 책례를 거행하였다
1834년 11월 18일 순원왕후대비책례를 거행하였다
1834년 11월 19일 순원왕후대왕대비책례를 거행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79442 126.991026 창덕궁 인정전에서 순원왕후의 왕비책봉례를 거행하였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正祖實錄』 : 「遷陵誌文」
  2. 『純祖實錄』 2년(1802) 10월 辛亥: 「御仁政殿行冊妃禮」
  3. 『純祖實錄』 6년(1806) 4월 庚辰: 「三司合辭三次」
  4. 『純祖實錄』 19년(1819) 8월 庚子: 「敎曰」
  5. 김문식, 「효명세자의 대리청정」, 『문헌과 해석』 56, 태학사, 2011, 71-75쪽.
  6. 『憲宗實錄』 즉위년(1834) 11월 己卯: 「上卽位于崇政門」
  7. 『憲宗實錄』 즉위년(1834) 11월 庚辰: 「禮曹啓言」
  8. 『憲宗實錄』 3년(1837) 3월 乙未: 「上御仁政殿冊金氏爲王妃」
  9. 『哲宗實錄』 2년(1851) 12월 己酉: 「召見時原任大臣國舅于熙政堂」
  10. 『哲宗實錄』 8년(1857) 8월 任子: 「大王大妃殿昇遐于養心閤」
  11. "서울 인릉", 문화재 검색, 『문화재청』online, 문화재청.
  12. 순조순원왕후가례도감의궤", 의궤 검색, 『외규장각 의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13. 순원왕후신정왕후존숭도감의궤", 의궤 검색, 『외규장각 의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14. 순원왕후상호도감의궤", 의궤 검색, 『외규장각 의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15. 순원왕후가상존호도감의궤", 의궤 검색, 『외규장각 의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16. "서울 인릉", 문화재 검색, 『문화재청』online, 문화재청.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순조실록』
  • 『영조실록』
  • 『정조실록』
  • 김문식, 「효명세자의 대리청정」, 『문헌과 해석』 56, 태학사, 2011.
  • 김세은, 「19세기 전반기 국왕의 가례(嘉禮)와 그 특징」, 『朝鮮時代史學報』 47, 조선시대사학회, 2008.

김창겸, 김선주, 권순형, 이순구, 이성임, 임혜련, 『한국 왕실여성 인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 이기대, 「한글편지에 나타난 순원왕후의 수렴청정과 정치적 지향」, 『국제어문』 47, 국제어문학회, 2009.
  • 이기대, 「한글편지에 나타난 순원왕후의 일상과 가족」,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8,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9.
  • 임혜련, 「19세기 國婚과 安東 金門 家勢」, 『한국사학보』 57, 고려사학회, 2014.
  • 임혜련, 「조선시대 수렴청정(垂簾聽政)의 정비과정」, 『朝鮮時代史學報』 27, 조선시대사학회, 2003.
  • 임혜련, 「朝鮮後期 憲宗代 純元王后의 垂簾聽政」, 『한국인물사연구』 3, 한국인물사연구소, 2005.
  • 임혜련, 「철종대 정국과 권력 집중 양상」, 『한국사학보』 49, 고려사학회, 2012.
  • 임혜련, 「哲宗初 純元王后 垂簾聽政期의 官人 임용 양상과 權力關係」, 『史學硏究』 110, 한국사학회, 2013.
  • 지두환, 『순조대왕과 친인척』, 역사문화, 2009.

더 읽을거리

  • 박광용, 순원왕후, "순원왕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범, "순원왕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작성일: 2012년 4월 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