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ayLiterature"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강의 계획) |
(→Plan)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7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Information'''=== |
− | *<span style="color: blue">강좌명</span> : 수필교육론 | + | *<span style="color: blue">개설기관</span> : [http://edu.khu.ac.kr/seoul/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
+ | *<span style="color: blue">강좌명</span> : 수필교육론 (Theory of Essay Literature Education) | ||
*<span style="color: blue">학수번호-분반</span> : EDKO740101 | *<span style="color: blue">학수번호-분반</span> : EDKO740101 | ||
*<span style="color: blue">이수구분</span> : 전공필수 | *<span style="color: blue">이수구분</span> : 전공필수 | ||
− | *<span style="color: blue">개설학과</span> : 국어교육전공 | + | *<span style="color: blue">개설학과(학점)</span> : 국어교육전공(2) |
− | |||
*<span style="color: blue">강의시간</span> : 월요일 20:00-21:20 | *<span style="color: blue">강의시간</span> : 월요일 20:00-21:20 | ||
*<span style="color: blue">강의실</span> : 청운관 202 | *<span style="color: blue">강의실</span> : 청운관 202 | ||
− | *<span style="color: blue">강사</span> : [http:// | + | *<span style="color: blue">강사</span> : [http://redint.info 류인태] |
− | ==''' | + | ==='''Overview'''=== |
− | === | + | ===='''Summary'''==== |
<div style="text-align:justify">본 강의는 문학으로서 수필의 가치와 효용이 무엇인지, 수필을 매개로 한 문학교육이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고전수필과 근현대수필 가운데 대표적인 작품들을 선정해 함께 읽고 그 안에 담긴 의미를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수필 작품을 감상하는 안목을 넓힘으로써, 자아성찰과 비판의식 고취 등 수필을 통해 고양할 수 있는 여러 교육적 차원의 지도 방법론을 탐구한다. 그리고 그러한 탐구 과정을 데이터 기반의 웹 환경에서 진행함으로써,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대응한 기초 역량이 무엇인지 실습을 통해 익히도록 한다.</div> | <div style="text-align:justify">본 강의는 문학으로서 수필의 가치와 효용이 무엇인지, 수필을 매개로 한 문학교육이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고전수필과 근현대수필 가운데 대표적인 작품들을 선정해 함께 읽고 그 안에 담긴 의미를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수필 작품을 감상하는 안목을 넓힘으로써, 자아성찰과 비판의식 고취 등 수필을 통해 고양할 수 있는 여러 교육적 차원의 지도 방법론을 탐구한다. 그리고 그러한 탐구 과정을 데이터 기반의 웹 환경에서 진행함으로써,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대응한 기초 역량이 무엇인지 실습을 통해 익히도록 한다.</div> | ||
− | === | + | ===='''Objectives'''==== |
<div style="text-align:justify">이 강의의 목표는 수필의 심미적 특징을 파악하고, 교육학적 차원에서 수필을 다루는 지도 능력을 함양함으로써,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문학 작품 교수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강좌이다. 수필은 기본적으로 고전수필(한문), 고전수필(국문), 근대수필(1930년대 이전) 현대수필(1930년대 이후) 4가지 흐름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학기 전반부에는 이와 같은 구분 기준을 토대로 각 항목에서 대표적인 작품들을 발췌해 읽으면서, 소재와 주제, 상황과 관점, 단락과 구성 등의 요소들을 유기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수필을 감상하는 기본적 방법을 익힌다. 학기 후반부에는 수필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 중고등 교과과정에서 다루어지는 수필 문학의 실제를 검토하고, 발전적 방향의 교수법이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미래교육환경 변화에 대응한 기초 역량을 기르기 위해 데이터를 이용한 문학작품 교수법의 형식이 무엇인지를 익힐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 디지털 네이티브인 미래 세대의 피교육자의 입장에서 교수법을 적용해봄으로써 교원으로서 향후 갖추어야 할 미래적 형식의 교육관에 대해 적극적으로 고민해본다.</div> | <div style="text-align:justify">이 강의의 목표는 수필의 심미적 특징을 파악하고, 교육학적 차원에서 수필을 다루는 지도 능력을 함양함으로써,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문학 작품 교수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강좌이다. 수필은 기본적으로 고전수필(한문), 고전수필(국문), 근대수필(1930년대 이전) 현대수필(1930년대 이후) 4가지 흐름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학기 전반부에는 이와 같은 구분 기준을 토대로 각 항목에서 대표적인 작품들을 발췌해 읽으면서, 소재와 주제, 상황과 관점, 단락과 구성 등의 요소들을 유기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수필을 감상하는 기본적 방법을 익힌다. 학기 후반부에는 수필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 중고등 교과과정에서 다루어지는 수필 문학의 실제를 검토하고, 발전적 방향의 교수법이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미래교육환경 변화에 대응한 기초 역량을 기르기 위해 데이터를 이용한 문학작품 교수법의 형식이 무엇인지를 익힐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 디지털 네이티브인 미래 세대의 피교육자의 입장에서 교수법을 적용해봄으로써 교원으로서 향후 갖추어야 할 미래적 형식의 교육관에 대해 적극적으로 고민해본다.</div> | ||
− | === | + | ===='''Teaching Method'''==== |
*이론 강의 : 1주차, 2주차, 3주차, 9주차, 10주차, 11주차. | *이론 강의 : 1주차, 2주차, 3주차, 9주차, 10주차, 11주차. | ||
*발표 및 토론 : 4주차, 5주차, 6주차, 7주차. | *발표 및 토론 : 4주차, 5주차, 6주차, 7주차. | ||
*실습 : 12주차, 13주차, 14주차, 15주차. | *실습 : 12주차, 13주차, 14주차, 15주차. | ||
− | === | + | ===='''Reference Book'''==== |
*단행본 | *단행본 | ||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ejkGb=KOR&mallGb=KOR&barcode=9788976266743&orderClick=LAG&Kc= 윤오영, 『수필문학입문』, 태학사, 2001.] |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ejkGb=KOR&mallGb=KOR&barcode=9788976266743&orderClick=LAG&Kc= 윤오영, 『수필문학입문』, 태학사, 2001.] | ||
39번째 줄: | 39번째 줄: | ||
**[http://www.riss.kr/link?id=T12881733 김태수, 「수필 지도방안 연구」,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http://www.riss.kr/link?id=T12881733 김태수, 「수필 지도방안 연구」,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
− | === | + | ===='''Evaluation Standard'''==== |
*수업 참여 : 출석 10%, 토론참여 10% | *수업 참여 : 출석 10%, 토론참여 10% | ||
*발표 : 중간발표 15%, 기말발표 15% | *발표 : 중간발표 15%, 기말발표 15% | ||
45번째 줄: | 45번째 줄: | ||
*보고서 : 기말보고서 30% (보고서는 Media Wiki 기반의 전자문서로 작성해서 제출) | *보고서 : 기말보고서 30% (보고서는 Media Wiki 기반의 전자문서로 작성해서 제출) | ||
− | === | + | ===='''Assignment'''==== |
*학기 전반부에 1회, 후반부에 1회의 발표를 한다. | *학기 전반부에 1회, 후반부에 1회의 발표를 한다. | ||
**전반부에는 수필 작품 가운데 일부를 선택해 분석하고 감상하는 발표를 한다. | **전반부에는 수필 작품 가운데 일부를 선택해 분석하고 감상하는 발표를 한다. | ||
**후반부에는 수필을 이용한 자신만의 교수법을 연구해 강의 형식으로 발표한다. | **후반부에는 수필을 이용한 자신만의 교수법을 연구해 강의 형식으로 발표한다. | ||
+ | *후반부 발표를 수정・보완하여 기말 보고서를 제출한다. | ||
+ | ===='''Other Things'''==== | ||
+ | *본 강의는 웹 환경에서의 컴퓨터 기술이 기본적으로 활용되기에 수강생 개개인의 노트북 지참을 필수적으로 요구한다. | ||
− | + | ==='''Students'''=== | |
+ | {{버튼클릭|[[심욱현]]}} {{버튼클릭|[[이민영]]}} {{버튼클릭|[[박시현]]}} {{버튼클릭|[[엄다슬]]}} {{버튼클릭|[[최윤정]]}} {{버튼클릭|[[이정민]]}} {{버튼클릭|[[강예빈]]}}<br/><br/> | ||
+ | {{버튼클릭|[[박은지]]}} {{버튼클릭|[[이민주]]}} {{버튼클릭|[[문유미]]}} {{버튼클릭|[[방서우]]}} {{버튼클릭|[[유혜정]]}} {{버튼클릭|[[신이룬]]}} | ||
− | ==''' | + | ==='''Plan'''===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8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80%; background:white;" | ||
− | !style="width: | + | !style="width:6%; text-align: center"|'''주차'''|| style="width:5%; text-align: center"|'''날짜'''|| style="width:29%; text-align: center"|'''강의 주제'''|| style="width:14%; text-align: center"|'''강의 형식'''|| style="width:41%; text-align: center"|'''강의 내용''' |
|- | |- | ||
− | |01 || 09/02 || <span style="color: green">강의 소개</span> || | + | |01 || 09/02 || <span style="color: green">강의 소개</span> || 이론 강의 || 오리엔테이션 |
|- | |- | ||
− | |02 || 09/09 || 수필 문학에 대한 개괄 || 이론 강의 || | + | |02 || 09/09 || 수필 문학에 대한 개괄 || 이론 강의 || (생략) |
|- | |- | ||
− | |03 || 09/16 || 수필 문학의 이론과 실제 || 이론 강의 || | + | |03 || 09/16 || 수필 문학의 이론과 실제 || 이론 강의 || (생략) |
|- | |- | ||
− | |04 || 09/23 || 고전수필 감상 및 분석1 || 발표와 토론 || | + | |04 || 09/23 || 고전수필 감상 및 분석1 || 발표와 토론 || <span style="color: blue">(※1인당 20분 발표 10분 총평, 총 3인 90분)</span><br/>[[정약용의 「수오재기(守吾齋記)」]] : 이민주<br/>[[이규보의 「이상자대(異相者對)」]] : 강예빈<br/>[[성현의 「조용(嘲慵)」]] : 유혜정 |
|- | |- | ||
− | |05 || 09/30 || 고전수필 감상 및 분석2 || 발표와 토론 || | + | |05 || 09/30 || 고전수필 감상 및 분석2 || 발표와 토론 || <span style="color: blue">(※1인당 20분 발표 10분 총평, 총 4인 120분)</span><br/>[[박지원의 「호곡장론(好哭場論)」]] : 박은지<br/>[[박지원의 「일야구도하기(一夜九渡河記)」]] : 엄다슬<br/>[[이규보의 「슬견설(虱犬說)」]] : 이정민<br/>[[허균의 「사우재기(四友齋記)」]] : 방서우 |
|- | |- | ||
− | |06 || 10/07 || 근현대수필 감상 및 분석1 || 발표와 토론 || | + | |06 || 10/07 || 근현대수필 감상 및 분석1 || 발표와 토론 || <span style="color: blue">(※1인당 20분 발표 10분 총평, 총 3인 90분)</span><br/>[[방정환의 「어린이 찬미」]] : 최윤정<br/>[[법정의 「무소유」]] : 이민영<br/>[[최서해의 「담요」]] : 심욱현 |
|- | |- | ||
− | |07 || 10/14 || 근현대수필 감상 및 분석2 || 발표와 토론 || | + | |07 || 10/14 || 근현대수필 감상 및 분석2 || 발표와 토론 || <span style="color: blue">(※1인당 20분 발표 10분 총평, 총 3인 90분)</span><br/>[[장영희의 「나와 남」]] : 신이룬<br/>[[이상의 「권태」]] : 문유미<br/>[[피천득의 「인연」]] : 박시현 |
|- | |- | ||
− | |08 || 10/21 || <span style="color: blue">'''중간고사'''</span> || | + | |08 || 10/21 || <span style="color: blue">'''중간고사'''</span> || 평가 || 발표내용(위키 페이지) 수정 및 보완 |
|- | |- | ||
− | |09 || 10/28 || 수필의 탄생 : 장르로서 수필 개념의 구축 || 이론 강의 || | + | |09 || 10/28 || 수필의 탄생 :<br/>장르로서 수필 개념의 구축 || 이론 강의 || (생략) |
|- | |- | ||
− | |10 || 11/04 || 문학과 교육 : 문학을 배운다는 것의 의미 || 이론 강의 || | + | |10 || 11/04 || 문학과 교육 :<br/>문학을 배운다는 것의 의미 || 이론 강의 || (생략) |
|- | |- | ||
− | |11 || 11/11 || 수필교육 : 문학으로서의 수필 교수론<br/>데이터 기반의 수필 교수법 탐색1 || 이론 강의<br/>/실습|| | + | |11 || 11/11 || 수필교육 :<br/>문학으로서의 수필 교수론<br/>데이터 기반의 수필 교수법 탐색1 || 이론 강의<br/>/실습||<span style="color: blue">(※20분 시범강의 10분 총평)</span><br/>[[나도향의 「그믐달」]] : 박시현 |
|- | |- | ||
− | |12 || 11/18 || 데이터 기반의 수필 교수법 탐색2 || 실습 || | + | |12 || 11/18 || 데이터 기반의 수필 교수법 탐색2 || 실습 || <span style="color: blue">(※1인당 20분 시범강의 10분 총평, 총 3인 90분)</span><br/>[[장영희의 「나와 남2」]] : 신이룬<br/>[[이상의 「권태」]] : 문유미<br/>[[장영희의 「미안합니다」]] : 이민영 |
|- | |- | ||
− | |13 || 11/25 || 데이터 기반의 수필 교수법 탐색3 || 실습 || | + | |13 || 11/25 || 데이터 기반의 수필 교수법 탐색3 || 실습 || <span style="color: blue">(※1인당 20분 시범강의 10분 총평, 총 3인 90분)</span><br/>[[문형동의 「국물 이야기」]] : 최윤정<br/>[[이어령의 「폭포와 분수」]] : 방서우<br/>[[피천득의 「나의 사랑하는 생활」]] : 심욱현 |
|- | |- | ||
− | |14 || 12/02 || 데이터 기반의 수필 교수법 탐색4 || 실습 || | + | |14 || 12/02 || 데이터 기반의 수필 교수법 탐색4 || 실습 || <span style="color: blue">(※1인당 20분 시범강의 10분 총평, 총 3인 90분)</span><br/>[[혜민의 「북경 최고의 자전거」]] : 이정민<br/>[[윤오영의 「방망이 깎던 노인」]] : 엄다슬<br/>[[신영복의 「당신이 나무를 더 사랑하는 까닭」]] : 박은지 |
|- | |- | ||
− | |15 || 12/09 || 데이터 기반의 수필 교수법 탐색5 || 실습 || | + | |15 || 12/09 || 데이터 기반의 수필 교수법 탐색5 || 실습 || <span style="color: blue">(※1인당 20분 시범강의 10분 총평, 총 3인 90분)</span><br/>[[이양하의 「나무」]] : 유혜정<br/>[[이효석의 「낙엽을 태우면서」]] : 강예빈<br/>[[나희덕의 「반 통의 물」]] : 이민주 |
|- | |- | ||
− | |16 || 12/16 || <span style="color: blue">'''기말고사'''</span> || | + | |16 || 12/16 || <span style="color: blue">'''기말고사'''</span> || 평가 || 보고서 작성 및 제출 |
|} | |} | ||
− | ==''' | + | ==='''Report'''=== |
− | + | *[[이민주]] : [[이민주#기말보고서|기쁨과 감동의 순간]] | |
+ | *[[강예빈]] : [[강예빈#기말 보고서_수필교육론이 남긴 것|수필교육론이 남긴 것]] | ||
+ | *[[유혜정]] : [[유혜정#기말 보고서- 어려움에서 느낀 즐거움|어려움에서 느낀 즐거움]] | ||
+ | *[[박은지]] : [[박은지#기말 보고서-수업 후기|과연 위키 문서를 나중에 교사가 되어서 학교 현장에 활용을 할 수 있을까?]] | ||
+ | *[[엄다슬]] : | ||
+ | *[[이정민]] : [[이정민#기말보고서-감상문|'나만의 무엇'인가를 '만들어 나간다'라는 재미를 느끼게 해준 ‘위키’]] | ||
+ | *[[방서우]] : [[방서우#기말보고서-감상문|위키를 통해 수업을 설계하는 것은 새로움과 낯설음 그 자체였습니다]] | ||
+ | *[[최윤정]] : [[최윤정#기말고사 보고서|최고의 교육은 내가 배운 방법으로 아이들을 가르치지 않는 것]] | ||
+ | *[[이민영]] : [[이민영#과제|데이터를 활용하는 수업이 앞으로 멀지 않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 ||
+ | *[[심욱현]] : [[심욱현#기말보고서 - 수필교육론 강의를 듣고 느낀점과 배운점|수필교육론 강의를 듣고 느낀점과 배운점]] | ||
+ | *[[신이룬]] : [[신이룬#기말고사 보고서|'19세기 학교에서 20세기 교사가 21세기 학생을 가르치고 있다'는 말]] | ||
+ | *[[문유미]] : [[문유미#기말보고서|수업시간마다 저는 이상이 되곤 하였습니다]] | ||
+ | *[[박시현]] : [[박시현#기말 과제|새벽 3, 4시까지 복사 붙여넣기를 반복하며]] | ||
− | ==''' | + | ==='''Writings'''=== |
− | === | + | ===='''Pre-modern Essay'''==== |
− | ==== | + | ====='''Hanmun Essay'''===== |
*13세기 초엽 : [[이규보의 「슬견설(虱犬說)」]] [http://db.itkc.or.kr/inLink?DCI=ITKC_BT_0004A_0230_010_0040_2000_003_XML 원문과 번역문 보기] - 발표자 : '''[[이정민]]''' | *13세기 초엽 : [[이규보의 「슬견설(虱犬說)」]] [http://db.itkc.or.kr/inLink?DCI=ITKC_BT_0004A_0230_010_0040_2000_003_XML 원문과 번역문 보기] - 발표자 : '''[[이정민]]''' | ||
*13세기 초엽 : [[이규보의 「이옥설(理屋說)」]] [http://db.itkc.or.kr/inLink?DCI=ITKC_BT_1365A_0960_010_0060_2002_007_XML 원문과 번역문 보기] - 발표자 : '''[[엄다슬]]''' | *13세기 초엽 : [[이규보의 「이옥설(理屋說)」]] [http://db.itkc.or.kr/inLink?DCI=ITKC_BT_1365A_0960_010_0060_2002_007_XML 원문과 번역문 보기] - 발표자 : '''[[엄다슬]]''' | ||
119번째 줄: | 136번째 줄: | ||
*19세기 초엽 : [[정약용의 「수오재기(守吾齋記)」]] [http://db.itkc.or.kr/inLink?DCI=ITKC_BT_1260A_0130_020_0280_2000_006_XML 원문과 번역문 보기] - 발표자 : '''[[이민주]]''' | *19세기 초엽 : [[정약용의 「수오재기(守吾齋記)」]] [http://db.itkc.or.kr/inLink?DCI=ITKC_BT_1260A_0130_020_0280_2000_006_XML 원문과 번역문 보기] - 발표자 : '''[[이민주]]''' | ||
− | ==== | + | ====='''Hangeul Essay'''===== |
*16세기 말엽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EC%95%84%EB%82%B4%EA%B0%80_%EC%A3%BD%EC%9D%80_%EB%82%A8%ED%8E%B8_%EC%9D%B4%EC%9D%91%ED%83%9C%EC%97%90%EA%B2%8C_%EB%B3%B4%EB%82%B8_%ED%8E%B8%EC%A7%80 아내가 죽은 남편 이응태에게 보낸 편지] | *16세기 말엽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EC%95%84%EB%82%B4%EA%B0%80_%EC%A3%BD%EC%9D%80_%EB%82%A8%ED%8E%B8_%EC%9D%B4%EC%9D%91%ED%83%9C%EC%97%90%EA%B2%8C_%EB%B3%B4%EB%82%B8_%ED%8E%B8%EC%A7%80 아내가 죽은 남편 이응태에게 보낸 편지] | ||
*17세기 중엽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EC%B0%B8%EC%9D%98_%ED%99%A9%EC%97%AC%EC%9D%BC_%EC%B2%98_%EC%88%99%EB%B6%80%EC%9D%B8_%EC%9D%B4%EC%94%A8_%EC%9C%A0%EC%84%9C 참의 황여일 처 숙부인 이씨 유서] | *17세기 중엽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EC%B0%B8%EC%9D%98_%ED%99%A9%EC%97%AC%EC%9D%BC_%EC%B2%98_%EC%88%99%EB%B6%80%EC%9D%B8_%EC%9D%B4%EC%94%A8_%EC%9C%A0%EC%84%9C 참의 황여일 처 숙부인 이씨 유서] | ||
*19세기 초엽 : [[유씨 부인(兪氏婦人)의 「조침문(弔針文)」]] - 발표자 : '''[[문유미]]''' | *19세기 초엽 : [[유씨 부인(兪氏婦人)의 「조침문(弔針文)」]] - 발표자 : '''[[문유미]]''' | ||
− | === | + | ===='''Modern Essay'''==== |
− | ==== | + | ====='''Before the 1930s'''===== |
*1905년 : [[장지연의 「시일야방성대곡」]] | *1905년 : [[장지연의 「시일야방성대곡」]] | ||
*1924년 : [[방정환의 「어린이 찬미」]] - 발표자 : '''[[최윤정]]''' | *1924년 : [[방정환의 「어린이 찬미」]] - 발표자 : '''[[최윤정]]''' | ||
139번째 줄: | 156번째 줄: | ||
*<span style="color: red">발표연도 미확인</span> : [[김동리의 「보름달」]] | *<span style="color: red">발표연도 미확인</span> : [[김동리의 「보름달」]] | ||
− | ==== | + | ====='''After the 1930s'''===== |
*1930년 : [[김동인의 「수정 비둘기」]] | *1930년 : [[김동인의 「수정 비둘기」]] | ||
*1936년 : [[백석의 「편지」]] - 발표자 : '''[[이민영]]''' | *1936년 : [[백석의 「편지」]] - 발표자 : '''[[이민영]]''' | ||
158번째 줄: | 175번째 줄: | ||
*1996년 : [[법정의 「새들이 떠나간 숲은 적막하다」]] - 발표자 : '''[[이정민]]''' | *1996년 : [[법정의 「새들이 떠나간 숲은 적막하다」]] - 발표자 : '''[[이정민]]''' | ||
*2003년 : [[목성균의 「명태에 관한 추억」]] | *2003년 : [[목성균의 「명태에 관한 추억」]] | ||
− | |||
− | |||
*[[피천득의 「수필」]] | *[[피천득의 「수필」]] | ||
*[[피천득의 「인연」]] - 발표자 : '''[[박시현]]''' | *[[피천득의 「인연」]] - 발표자 : '''[[박시현]]''' | ||
*[[피천득의 「나의 사랑하는 생활」]] - 발표자 : '''[[심욱현]]''' | *[[피천득의 「나의 사랑하는 생활」]] - 발표자 : '''[[심욱현]]''' | ||
− | |||
− | |||
− | |||
− | |||
*[[윤오영의 「양잠설」]] | *[[윤오영의 「양잠설」]] | ||
*[[윤오영의 「방망이 깎던 노인」]] - 발표자 : '''[[엄다슬]]''' | *[[윤오영의 「방망이 깎던 노인」]] - 발표자 : '''[[엄다슬]]''' | ||
− | |||
*[[이관희의 「아름다운 불륜」]] | *[[이관희의 「아름다운 불륜」]] | ||
− | |||
− | |||
*[[김영월의 「달과 나」]] | *[[김영월의 「달과 나」]] | ||
*[[김소운의 「가난한 날의 행복」]] | *[[김소운의 「가난한 날의 행복」]] | ||
186번째 줄: | 194번째 줄: | ||
*[[이하윤의 「메모광」]] | *[[이하윤의 「메모광」]] | ||
*[[김서연의 「로시난테」]] | *[[김서연의 「로시난테」]] | ||
− | |||
*[[최은정의 「다듬이 소리」]] | *[[최은정의 「다듬이 소리」]] | ||
*[[구자분의 「그리움」]] - 발표자 : '''[[이민영]]''' | *[[구자분의 「그리움」]] - 발표자 : '''[[이민영]]''' | ||
212번째 줄: | 219번째 줄: | ||
*[[이정원의 「앵초꽃 열쇠」]] - 발표자 : '''[[강예빈]]''' | *[[이정원의 「앵초꽃 열쇠」]] - 발표자 : '''[[강예빈]]''' | ||
− | ==''' | + | ==='''Data Network Practice'''=== |
+ | ====''What is an Essay?''==== | ||
{{NetworkGraph | title=수필이란무엇인가.lst}} | {{NetworkGraph | title=수필이란무엇인가.lst}} | ||
− | =='' | + | ====''Birth of Korean Modern Essay''==== |
{{NetworkGraph | title=우리나라수필의역사.lst}} | {{NetworkGraph | title=우리나라수필의역사.lst}} | ||
− | + | ==='''Useful Information'''=== | |
− | + | ===='''How to use Mediawiki'''====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C%9C%84%ED%82%A4_%EC%BD%98%ED%85%90%EC%B8%A0%EC%9D%98_%EC%B2%B4%EA%B3%84_%EA%B5%AC%EC%83%81 위키 콘텐츠의 체계 구상]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C%9C%84%ED%82%A4_%EC%BD%98%ED%85%90%EC%B8%A0%EC%9D%98_%EC%B2%B4%EA%B3%84_%EA%B5%AC%EC%83%81 위키 콘텐츠의 체계 구상] |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C%9C%84%ED%82%A4_%EB%AC%B8%EC%84%9C_%EC%A0%9C%EC%9E%91_%EB%B0%A9%EB%B2%95 위키 문서 제작 방법]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C%9C%84%ED%82%A4_%EB%AC%B8%EC%84%9C_%EC%A0%9C%EC%9E%91_%EB%B0%A9%EB%B2%95 위키 문서 제작 방법] | ||
255번째 줄: | 233번째 줄: | ||
*[https://ko.wikipedia.org/wiki/위키백과:위키문법_요약 위키백과 - 위키문법 요약] | *[https://ko.wikipedia.org/wiki/위키백과:위키문법_요약 위키백과 - 위키문법 요약] | ||
*[https://www.youtube.com/embed/tzRWa2YL7Aw 2016 디지털 인문학 교육 워크샵 - 03 wiki 콘텐츠 편찬 방법(동영상 강의)] | *[https://www.youtube.com/embed/tzRWa2YL7Aw 2016 디지털 인문학 교육 워크샵 - 03 wiki 콘텐츠 편찬 방법(동영상 강의)] | ||
− | === | + | |
+ | ===='''How to create a Data Network'''==== |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B%8D%B0%EC%9D%B4%ED%84%B0%EC%9D%98_%EC%8B%9C%EA%B0%81%ED%99%94:_%EB%84%A4%ED%8A%B8%EC%9B%8C%ED%81%AC_%EA%B7%B8%EB%9E%98%ED%94%84 데이터의 시각화: 네트워크 그래프]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B%8D%B0%EC%9D%B4%ED%84%B0%EC%9D%98_%EC%8B%9C%EA%B0%81%ED%99%94:_%EB%84%A4%ED%8A%B8%EC%9B%8C%ED%81%AC_%EA%B7%B8%EB%9E%98%ED%94%84 데이터의 시각화: 네트워크 그래프] |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B%82%98%EC%9D%98_%EB%84%A4%ED%8A%B8%EC%9B%8C%ED%81%AC_%EA%B7%B8%EB%9E%98%ED%94%84_%EC%A0%9C%EC%9E%91_%EB%B0%A9%EB%B2%95 나의 네트워크 그래프 제작 방법]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B%82%98%EC%9D%98_%EB%84%A4%ED%8A%B8%EC%9B%8C%ED%81%AC_%EA%B7%B8%EB%9E%98%ED%94%84_%EC%A0%9C%EC%9E%91_%EB%B0%A9%EB%B2%95 나의 네트워크 그래프 제작 방법] | ||
− | === | + | |
+ | ===='''External Website'''==== | ||
*[https://blog.naver.com/bookcarus 네이버 블로그 북카로스] | *[https://blog.naver.com/bookcarus 네이버 블로그 북카로스] | ||
*[https://prezi.com/3qoj9ye6uz7e/presentation/ 현대수필과 고전수필 프레지 자료] | *[https://prezi.com/3qoj9ye6uz7e/presentation/ 현대수필과 고전수필 프레지 자료] | ||
*[https://www.wordclouds.com/ 워드클라우드 생성기] | *[https://www.wordclouds.com/ 워드클라우드 생성기] | ||
*[http://wordcloud.kr/ 워드클라우드 생성기(한국)] | *[http://wordcloud.kr/ 워드클라우드 생성기(한국)] |
2020년 1월 29일 (수) 00:54 기준 최신판
목차
Information
- 개설기관 :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 강좌명 : 수필교육론 (Theory of Essay Literature Education)
- 학수번호-분반 : EDKO740101
- 이수구분 : 전공필수
- 개설학과(학점) : 국어교육전공(2)
- 강의시간 : 월요일 20:00-21:20
- 강의실 : 청운관 202
- 강사 : 류인태
Overview
Summary
본 강의는 문학으로서 수필의 가치와 효용이 무엇인지, 수필을 매개로 한 문학교육이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고전수필과 근현대수필 가운데 대표적인 작품들을 선정해 함께 읽고 그 안에 담긴 의미를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수필 작품을 감상하는 안목을 넓힘으로써, 자아성찰과 비판의식 고취 등 수필을 통해 고양할 수 있는 여러 교육적 차원의 지도 방법론을 탐구한다. 그리고 그러한 탐구 과정을 데이터 기반의 웹 환경에서 진행함으로써,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대응한 기초 역량이 무엇인지 실습을 통해 익히도록 한다.
Objectives
이 강의의 목표는 수필의 심미적 특징을 파악하고, 교육학적 차원에서 수필을 다루는 지도 능력을 함양함으로써,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문학 작품 교수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강좌이다. 수필은 기본적으로 고전수필(한문), 고전수필(국문), 근대수필(1930년대 이전) 현대수필(1930년대 이후) 4가지 흐름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학기 전반부에는 이와 같은 구분 기준을 토대로 각 항목에서 대표적인 작품들을 발췌해 읽으면서, 소재와 주제, 상황과 관점, 단락과 구성 등의 요소들을 유기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수필을 감상하는 기본적 방법을 익힌다. 학기 후반부에는 수필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 중고등 교과과정에서 다루어지는 수필 문학의 실제를 검토하고, 발전적 방향의 교수법이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미래교육환경 변화에 대응한 기초 역량을 기르기 위해 데이터를 이용한 문학작품 교수법의 형식이 무엇인지를 익힐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 디지털 네이티브인 미래 세대의 피교육자의 입장에서 교수법을 적용해봄으로써 교원으로서 향후 갖추어야 할 미래적 형식의 교육관에 대해 적극적으로 고민해본다.
Teaching Method
- 이론 강의 : 1주차, 2주차, 3주차, 9주차, 10주차, 11주차.
- 발표 및 토론 : 4주차, 5주차, 6주차, 7주차.
- 실습 : 12주차, 13주차, 14주차, 15주차.
Reference Book
- 단행본
- 논문
- 김기엽, 「정약용의 산문을 활용한 고전수필의 통합적 교육방안 연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김지민, 「이규보 수필 교육 방안 연구 : 說 · 記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주현, 「고전수필 교수-학습 방향 연구 :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강릉원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최상희, 「내용 요약하기를 활용한 수필 읽기 지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김태수, 「수필 지도방안 연구」,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Evaluation Standard
- 수업 참여 : 출석 10%, 토론참여 10%
- 발표 : 중간발표 15%, 기말발표 15%
- 시험 : 중간고사 20% (학생들과 논의를 통해 보고서로 대체 가능)
- 보고서 : 기말보고서 30% (보고서는 Media Wiki 기반의 전자문서로 작성해서 제출)
Assignment
- 학기 전반부에 1회, 후반부에 1회의 발표를 한다.
- 전반부에는 수필 작품 가운데 일부를 선택해 분석하고 감상하는 발표를 한다.
- 후반부에는 수필을 이용한 자신만의 교수법을 연구해 강의 형식으로 발표한다.
- 후반부 발표를 수정・보완하여 기말 보고서를 제출한다.
Other Things
- 본 강의는 웹 환경에서의 컴퓨터 기술이 기본적으로 활용되기에 수강생 개개인의 노트북 지참을 필수적으로 요구한다.
Students
Plan
주차 | 날짜 | 강의 주제 | 강의 형식 | 강의 내용 |
---|---|---|---|---|
01 | 09/02 | 강의 소개 | 이론 강의 | 오리엔테이션 |
02 | 09/09 | 수필 문학에 대한 개괄 | 이론 강의 | (생략) |
03 | 09/16 | 수필 문학의 이론과 실제 | 이론 강의 | (생략) |
04 | 09/23 | 고전수필 감상 및 분석1 | 발표와 토론 | (※1인당 20분 발표 10분 총평, 총 3인 90분) 정약용의 「수오재기(守吾齋記)」 : 이민주 이규보의 「이상자대(異相者對)」 : 강예빈 성현의 「조용(嘲慵)」 : 유혜정 |
05 | 09/30 | 고전수필 감상 및 분석2 | 발표와 토론 | (※1인당 20분 발표 10분 총평, 총 4인 120분) 박지원의 「호곡장론(好哭場論)」 : 박은지 박지원의 「일야구도하기(一夜九渡河記)」 : 엄다슬 이규보의 「슬견설(虱犬說)」 : 이정민 허균의 「사우재기(四友齋記)」 : 방서우 |
06 | 10/07 | 근현대수필 감상 및 분석1 | 발표와 토론 | (※1인당 20분 발표 10분 총평, 총 3인 90분) 방정환의 「어린이 찬미」 : 최윤정 법정의 「무소유」 : 이민영 최서해의 「담요」 : 심욱현 |
07 | 10/14 | 근현대수필 감상 및 분석2 | 발표와 토론 | (※1인당 20분 발표 10분 총평, 총 3인 90분) 장영희의 「나와 남」 : 신이룬 이상의 「권태」 : 문유미 피천득의 「인연」 : 박시현 |
08 | 10/21 | 중간고사 | 평가 | 발표내용(위키 페이지) 수정 및 보완 |
09 | 10/28 | 수필의 탄생 : 장르로서 수필 개념의 구축 |
이론 강의 | (생략) |
10 | 11/04 | 문학과 교육 : 문학을 배운다는 것의 의미 |
이론 강의 | (생략) |
11 | 11/11 | 수필교육 : 문학으로서의 수필 교수론 데이터 기반의 수필 교수법 탐색1 |
이론 강의 /실습 |
(※20분 시범강의 10분 총평) 나도향의 「그믐달」 : 박시현 |
12 | 11/18 | 데이터 기반의 수필 교수법 탐색2 | 실습 | (※1인당 20분 시범강의 10분 총평, 총 3인 90분) 장영희의 「나와 남2」 : 신이룬 이상의 「권태」 : 문유미 장영희의 「미안합니다」 : 이민영 |
13 | 11/25 | 데이터 기반의 수필 교수법 탐색3 | 실습 | (※1인당 20분 시범강의 10분 총평, 총 3인 90분) 문형동의 「국물 이야기」 : 최윤정 이어령의 「폭포와 분수」 : 방서우 피천득의 「나의 사랑하는 생활」 : 심욱현 |
14 | 12/02 | 데이터 기반의 수필 교수법 탐색4 | 실습 | (※1인당 20분 시범강의 10분 총평, 총 3인 90분) 혜민의 「북경 최고의 자전거」 : 이정민 윤오영의 「방망이 깎던 노인」 : 엄다슬 신영복의 「당신이 나무를 더 사랑하는 까닭」 : 박은지 |
15 | 12/09 | 데이터 기반의 수필 교수법 탐색5 | 실습 | (※1인당 20분 시범강의 10분 총평, 총 3인 90분) 이양하의 「나무」 : 유혜정 이효석의 「낙엽을 태우면서」 : 강예빈 나희덕의 「반 통의 물」 : 이민주 |
16 | 12/16 | 기말고사 | 평가 | 보고서 작성 및 제출 |
Report
- 이민주 : 기쁨과 감동의 순간
- 강예빈 : 수필교육론이 남긴 것
- 유혜정 : 어려움에서 느낀 즐거움
- 박은지 : 과연 위키 문서를 나중에 교사가 되어서 학교 현장에 활용을 할 수 있을까?
- 엄다슬 :
- 이정민 : '나만의 무엇'인가를 '만들어 나간다'라는 재미를 느끼게 해준 ‘위키’
- 방서우 : 위키를 통해 수업을 설계하는 것은 새로움과 낯설음 그 자체였습니다
- 최윤정 : 최고의 교육은 내가 배운 방법으로 아이들을 가르치지 않는 것
- 이민영 : 데이터를 활용하는 수업이 앞으로 멀지 않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 심욱현 : 수필교육론 강의를 듣고 느낀점과 배운점
- 신이룬 : '19세기 학교에서 20세기 교사가 21세기 학생을 가르치고 있다'는 말
- 문유미 : 수업시간마다 저는 이상이 되곤 하였습니다
- 박시현 : 새벽 3, 4시까지 복사 붙여넣기를 반복하며
Writings
Pre-modern Essay
Hanmun Essay
- 13세기 초엽 : 이규보의 「슬견설(虱犬說)」 원문과 번역문 보기 - 발표자 : 이정민
- 13세기 초엽 : 이규보의 「이옥설(理屋說)」 원문과 번역문 보기 - 발표자 : 엄다슬
- 13세기 초엽 : 이규보의 「이상자대(異相者對)」 원문과 번역문 보기 - 발표자 : 강예빈
- 14세기 초엽 : 이곡의 「소포기(小圃記)」 원문과 번역문 보기 - 발표자 : 최윤정
- 14세기 초엽 : 이곡의 「차마설(借馬說)」 원문과 번역문 보기 - 발표자 : 신이룬
- 14세기 중엽 : 백문보의 「율정설(栗亭說)」 원문과 번역문 보기 - 발표자 : 심욱현
- 14세기 말엽 : 권근의 「어촌기(漁村記)」 원문과 번역문 보기
- 14세기 말엽 : 권근의 「기우설(騎牛說)」 원문과 번역문 보기
- 14세기 말엽 : 권근의 「동두설김진양자호(童頭說金震陽自號)」 원문과 번역문 보기
- 15세기 초엽 : 류방선의 「서파삼우설(西坡三友說)」 원문과 번역문 보기
- 15세기 중엽 : 강희맹의 「삼치설(三雉說)」 원문과 번역문 보기
- 15세기 말엽 : 성현의 「조용(嘲慵)」 번역문 보기 - 발표자 : 유혜정
- 15세기 말엽 : 조위의 「규정기(葵亭記)」 원문 보기 번역문 보기 - 발표자 : 유혜정
- 17세기 초엽 : 신흠의 「사습편(士習篇)」 원문과 번역문 보기
- 17세기 초엽 : 허균의 「사우재기(四友齋記)」 원문과 번역문 보기 - 발표자 : 방서우
- 17세기 말엽 : 김창흡의 「낙치설(落齒說)」 원문 보기
- 18세기 말엽 : 박제가의 「백화보서(百花譜序)」 원문 보기 - 발표자 : 박시현
- 18세기 말엽 : 박지원의 「일야구도하기(一夜九渡河記)」 원문과 번역문 보기 - 발표자 : 엄다슬
- 18세기 말엽 : 박지원의 「수소완정하야방우기(酬素玩亭夏夜訪友記)」 원문과 번역문 보기
- 18세기 말엽 : 박지원의 「상기(象記)」 번역문 보기
- 18세기 말엽 : 박지원의 「호곡장론(好哭場論)」 원문 보기 - 발표자 : 박은지
- 19세기 초엽 : 정약용의 「조승문(弔蠅文)」 원문과 번역문 보기
- 19세기 초엽 : 정약용의 「수오재기(守吾齋記)」 원문과 번역문 보기 - 발표자 : 이민주
Hangeul Essay
- 16세기 말엽 : 아내가 죽은 남편 이응태에게 보낸 편지
- 17세기 중엽 : 참의 황여일 처 숙부인 이씨 유서
- 19세기 초엽 : 유씨 부인(兪氏婦人)의 「조침문(弔針文)」 - 발표자 : 문유미
Modern Essay
Before the 1930s
- 1905년 : 장지연의 「시일야방성대곡」
- 1924년 : 방정환의 「어린이 찬미」 - 발표자 : 최윤정
- 1925년 : 이광수의 「우덕송」
- 1925년 : 최남선의 「심춘순례서」
- 1925년 : 신채호의 「낭객의 신년만필」
- 1925년 : 나도향의 「그믐달」 - 발표자 : 박시현
- 1926년 : 최서해의 「담요」 - 발표자 : 심욱현
- 1929년 : 민태원의 「청춘예찬」 - 발표자 : 신이룬
- 1929년 : 한용운의 「명사십리」
- 발표연도 미확인 : 심훈의 「조선의 영웅」
- 발표연도 미확인 : 노천명의 「향토유정기」
- 발표연도 미확인 : 김동리의 「보름달」
After the 1930s
- 1930년 : 김동인의 「수정 비둘기」
- 1936년 : 백석의 「편지」 - 발표자 : 이민영
- 1937년 : 현진건의 「불국사 기행」
- 1937년 : 이상의 「권태」 - 발표자 : 문유미
- 1938년 : 이효석의 「낙엽을 태우면서」 - 발표자 : 강예빈
- 1939년 : 김진섭의 「백설부」
- 1947년 : 김구의 「나의 소원」 - 발표자 : 방서우
- 1949년 : 계용묵의 「구두」 - 발표자 : 유혜정
- 1952년 : 이희승의 「딸깍발이」
- 1954년 : 이병기의 「풍란」 - 발표자 : 박은지
- 1964년 : 이양하의 「나무」
- 1971년 : 법정의 「무소유」 - 발표자 : 이민영
- 1973년 : 박연구의 「바보네 가게」
- 1974년 : 윤오영의 「달밤」
- 1976년 : 정병욱의 「잊지 못할 윤동주」
- 1977년 : 이양하의 「실록예찬」
- 1996년 : 법정의 「새들이 떠나간 숲은 적막하다」 - 발표자 : 이정민
- 2003년 : 목성균의 「명태에 관한 추억」
- 피천득의 「수필」
- 피천득의 「인연」 - 발표자 : 박시현
- 피천득의 「나의 사랑하는 생활」 - 발표자 : 심욱현
- 윤오영의 「양잠설」
- 윤오영의 「방망이 깎던 노인」 - 발표자 : 엄다슬
- 이관희의 「아름다운 불륜」
- 김영월의 「달과 나」
- 김소운의 「가난한 날의 행복」
- 유달영의 「슬픔에 관하여」
- 김동명의 「어머니」
- 정태헌의 「동백꽃」
- 윤명희의 「비밀번호」
- 권남희의 「못을 뽑다」
- 박선님의 「판토마임」
- 이어령의 「폭포와 분수」
- 조지훈의 「지조론」
- 안병욱의 「얼굴」
- 이하윤의 「메모광」
- 김서연의 「로시난테」
- 최은정의 「다듬이 소리」
- 구자분의 「그리움」 - 발표자 : 이민영
- 주영준의 「대문 여는 소리」
- 박영자의 「유리」
- 하재준의 「코스모스」
- 한영자의 「침묵으로 말하는 집」
- 문주생의 「쇠별꽃」
- 노영순의 「검은 한복」
- 임하경의 「와불」
- 문정희의 「흙을 밟고 싶다」 - 발표자 : 방서우
- 봉영희의 「재봉틀」
- 장현숙의 「제비꽃이 피었습니다」
- 문형동의 「국물 이야기」
- 오덕렬의 「애쑥」
- 박경리의 「거리의 악사」
- 이태준의 「물」
- 허세욱의 「초승달이 질 때」 - 발표자 : 최윤정
- 장영희의 「미안합니다」 - 발표자 : 이민주
- 장영희의 「하필이면」 - 발표자 : 이민주
- 장영희의 「나와 남」 - 발표자 : 신이룬
- 신영복의 「당신이 나무를 더 사랑하는 까닭」 - 발표자 : 박은지
- 박완서의 「내리막길의 어려움」 - 발표자 : 문유미
- 혜민의 「어른들 장난감」 - 발표자 : 이정민
- 이정원의 「앵초꽃 열쇠」 - 발표자 : 강예빈
Data Network Practice
What is an Essay?
Birth of Korean Modern Essay
Useful Information
How to use Mediawiki
- 위키 콘텐츠의 체계 구상
- 위키 문서 제작 방법
- 위키백과 - 위키문법
- 위키백과 - 위키문법 요약
- 2016 디지털 인문학 교육 워크샵 - 03 wiki 콘텐츠 편찬 방법(동영상 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