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기여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20년 10월 25일 (일) 12:50 (차이 | 역사) . . (+123) . . 돌담 쌓기 (최신)
- 2020년 10월 25일 (일) 12:33 (차이 | 역사) . . (+253) . .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기와와 벽돌:벽돌의 이로움 (최신)
- 2020년 10월 25일 (일) 12:17 (차이 | 역사) . . (+253) . .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담장:돌담 쌓기 (최신)
- 2020년 10월 25일 (일) 12:13 (차이 | 역사) . . (0) . . 이운지:문방아제:유연 얻는 방법 (최신)
- 2020년 10월 25일 (일) 12:11 (차이 | 역사) . . (+26) . . 기름잔 (최신)
- 2020년 10월 25일 (일) 12:10 (차이 | 역사) . . (+34) . . 소연법 (최신)
- 2020년 8월 31일 (월) 11:01 (차이 | 역사) . . (+1,321) . . 새글 이운지:문방아제:소분으로 먹자루 만드는 법 (새 문서: 백선토(白墡土, 좋은 흙) 1.5냥, 활석(滑石)<ref>활석(滑石):마그네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무른 성질의 암석.</ref> 0.5냥, 한수석(寒水石)<ref>한...) (최신)
- 2020년 8월 31일 (월) 10:58 (차이 | 역사) . . (-6) . . 이운지:문방아제:자황으로 먹 만드는 법 (최신)
- 2020년 8월 31일 (월) 10:52 (차이 | 역사) . . (+12) . . 이운지:문방아제:자황으로 먹 만드는 법
- 2020년 8월 31일 (월) 10:52 (차이 | 역사) . . (+801) . . 새글 이운지:문방아제:자황으로 먹 만드는 법 (새 문서: 자황자황(雌黃)<ref>자황(雌黃):유황·비소의 화합물. 고운 황색을 띤다. 맛이 맵고 독이 있어서 습사(濕邪)를 없애고 벌레를 죽인다. 잘못...)
- 2020년 8월 31일 (월) 10:48 (차이 | 역사) . . (+875) . . 새글 이운지:문방아제:주사를 섞어 점 찍거나 글씨 쓰는 법 (새 문서: 은주(銀硃)를 등황(藤黃)에 넣고 물을 부어 고루 갈면 아교를 쓰는 것보다 품질이 뛰어나다. 《속사방》<ref>출전 확인 안 됨.</ref> 또 다른...) (최신)
- 2020년 8월 31일 (월) 10:22 (차이 | 역사) . . (+4,658) . . 새글 이운지:문방아제:주사로 먹 만드는 법 (새 문서: 은주(銀硃, 황화수은)로 약즙을 만드는 법은 모두 ‘자황으로 먹 만드는 법’과 같다. 【안. ‘자황으로 먹 만드는 법’은 아래에 보인다....) (최신)
- 2020년 8월 30일 (일) 17:01 (차이 | 역사) . . (0) . . 묵상 (최신)
- 2020년 8월 30일 (일) 16:59 (차이 | 역사) . . (+2,535) . . 새글 묵상 (새 문서: ==Definition== <strong>묵상</strong>는 먹을 올려 놓는 받침대이다.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에 내용이 나온다. ==Semantic Dat...)
- 2020년 8월 30일 (일) 16:57 (차이 | 역사) . . (+803) . . 새글 이운지:문방아제:묵상 (새 문서: 만호(㻴瑚, 옥석의 일종)로 만든 묵상(墨牀)<ref>묵상(墨牀):먹을 갈고 난 후에 올려 두는 먹 받침대.</ref>도 있고 상아(象牙)로 만든 묵상도...) (최신)
- 2020년 8월 30일 (일) 16:53 (차이 | 역사) . . (0) . . 묵갑 (최신)
- 2020년 8월 30일 (일) 16:53 (차이 | 역사) . . (0) . . 묵갑
- 2020년 8월 30일 (일) 16:53 (차이 | 역사) . . (+2,546) . . 새글 묵갑 (새 문서: ==Definition== <strong>묵갑</strong>는 먹을 담는 상자이다.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에 내용이 나온다. ==Semantic Data== ===No...)
- 2020년 8월 30일 (일) 16:49 (차이 | 역사) . . (+1,038) . . 새글 이운지:문방아제:묵갑 (새 문서: 자단(紫檀)·오목(烏木)·두판남(豆瓣楠)<ref>두판남(豆瓣楠):녹나무 또는 녹나무 목재. 두백남(鬥柏楠)·투백남목(骰柏楠木)이라고도 한다....) (최신)
- 2020년 8월 30일 (일) 16:46 (차이 | 역사) . . (+3,996) . . 새글 이운지:문방아제:우리나라의 먹 만드는 법 (새 문서: 순연(純煙, 순수한 그을음) 10근·아교(阿膠) 4근·물 10근을 준비한다. 먼저 물 9근에 아교를 담가 구리동이에 붓고 불 위에 놓는다. 물과 아...) (최신)
- 2020년 8월 30일 (일) 16:39 (차이 | 역사) . . (0) . . 패즙 (최신)
- 2020년 8월 30일 (일) 16:39 (차이 | 역사) . . (-10) . . 패즙
- 2020년 8월 30일 (일) 16:38 (차이 | 역사) . . (+2,846) . . 새글 패즙 (새 문서: ==Definition== <strong>패즙</strong>는 옻나무 진을 끓여 만든 칠이다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에서는 먹을 닦을 때 사용했다....)
- 2020년 8월 30일 (일) 16:31 (차이 | 역사) . . (+12) . . 이운지:문방아제:사용법 (최신)
- 2020년 8월 30일 (일) 16:31 (차이 | 역사) . . (+212) . . 이운지:문방아제:사용법
- 2020년 8월 30일 (일) 16:31 (차이 | 역사) . . (+6,347) . . 새글 이운지:문방아제:사용법 (새 문서: 일반적으로 먹을 갈 때 천천히 가는 것을 꺼리지 않는다. 옛말에 “먹을 갈 때는 병이 든 사람처럼 한다.”라 했다. 일반적으로 먹을 갈 때...)
- 2020년 8월 30일 (일) 15:26 (차이 | 역사) . . (+1) . . 이운지:문방아제:보관법 (최신)
- 2020년 8월 30일 (일) 15:26 (차이 | 역사) . . (+2,872) . . 새글 이운지:문방아제:보관법 (새 문서: 먹을 잘 간수하려면 표범 가죽으로 만든 주머니에 넣어 두어 습기를 멀리하는 것이 좋다. 《문방보식(文房寶飾)<ref>문방보식(文房寶飾):...)
- 2020년 8월 30일 (일) 15:01 (차이 | 역사) . . (0) . . 숙칠 (최신)
- 2020년 8월 30일 (일) 15:01 (차이 | 역사) . . (+2,992) . . 새글 숙칠 (새 문서: ==Definition== <strong>숙칠</strong>는 옻나무 진을 끓여 만든 칠이다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에서는 먹을 닦을 때 사용했다....)
- 2020년 8월 30일 (일) 15:00 (차이 | 역사) . . (-3) . . 패회 (최신)
- 2020년 8월 30일 (일) 15:00 (차이 | 역사) . . (0) . . 배롱 (최신)
- 2020년 8월 30일 (일) 15:00 (차이 | 역사) . . (-3) . . 배롱
- 2020년 8월 30일 (일) 14:55 (차이 | 역사) . . (0) . . 배롱
- 2020년 8월 30일 (일) 14:55 (차이 | 역사) . . (+2,629) . . 새글 배롱 (새 문서: ==Definition== <strong>배롱</strong>는 화로 위에 씌워 젖은 물건을 말리는 도구이다.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에서는 먹을 말...)
- 2020년 8월 30일 (일) 14:48 (차이 | 역사) . . (+73) . . 이운지:문방아제:재에서 꺼내기 (최신)
- 2020년 8월 30일 (일) 14:47 (차이 | 역사) . . (+2,926) . . 새글 이운지:문방아제:재에서 꺼내기 (새 문서: 먹을 재에서 꺼내 깨끗이 턴 뒤 가는 체에 벌여놓고 그늘에서 1~2일 동안 햇볕을 쬔다. 다시 먹을 깨끗이 털고 바람 부는 곳에 둔 뒤 1~2일...)
- 2020년 8월 30일 (일) 14:35 (차이 | 역사) . . (0) . . 패회
- 2020년 8월 30일 (일) 14:34 (차이 | 역사) . . (+2,780) . . 새글 패회 (새 문서: ==Definition== <strong>패회</strong>는 먹 만드는 자재이다. 물기가 스민 볏집의 재이며, 찍어낸 먹을 패회로 덮어 둔다. 《임원경제지 이운지(林...)
- 2020년 8월 30일 (일) 14:28 (차이 | 역사) . . (+6,107) . . 새글 이운지:문방아제:재에 넣기 (새 문서: 먹을 덮을 때는 반드시 물기가 스민 볏짚의 재를 사용해야 하니, 이 재를 ‘패회(敗灰)’라 한다. 그 볏짚재로 구덩이를 만들면 성질이 맹...) (최신)
- 2020년 8월 30일 (일) 14:21 (차이 | 역사) . . (+12) . . 이운지:문방아제:먹틀로 찍어내기 (최신)
- 2020년 8월 30일 (일) 14:21 (차이 | 역사) . . (+10) . . 이운지:문방아제:먹틀로 찍어내기
- 2020년 8월 30일 (일) 14:20 (차이 | 역사) . . (+5,139) . . 새글 이운지:문방아제:먹틀로 찍어내기 (새 문서: 찍는 법:일반적으로 먹틀의 밑판은 곧은 것이 중요하고, 차라리 클지언정 작아서는 안 된다. 평판(平版, 위 판)은 위는 둥그렇고, 아래는...)
- 2020년 8월 30일 (일) 14:20 (차이 | 역사) . . (+9) . . 새글 파일:인탈도(이운지).jpg (최신)
- 2020년 8월 30일 (일) 13:39 (차이 | 역사) . . (+19) . . 비단 무늬 (최신)
- 2020년 8월 30일 (일) 13:39 (차이 | 역사) . . (+2,629) . . 새글 비단 무늬 (새 문서: ==Definition== <strong>비단 무늬</strong>는 먹의 무늬이다.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에 내용이 실려있다. ==Semantic Data== ==...)
- 2020년 8월 30일 (일) 13:36 (차이 | 역사) . . (+28) . . 은빛 별무늬 (최신)
- 2020년 8월 30일 (일) 13:35 (차이 | 역사) . . (+2,668) . . 새글 은빛 별무늬 (새 문서: ==Definition== <strong>은빛 별무늬</strong>는 먹의 무늬이다.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에 내용이 실려있다. ==Semantic Data==...)
- 2020년 8월 30일 (일) 13:35 (차이 | 역사) . . (+28) . . 금빛 별무늬 (최신)
- 2020년 8월 30일 (일) 13:33 (차이 | 역사) . . (+2,666) . . 새글 금빛 별무늬 (새 문서: ==Definition== <strong>금빛 별무늬</strong>는 먹의 무늬이다.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에 내용이 실려있다. ==Semantic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