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목록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20년 10월 24일 (토) 16:04 제로 (역사) [3,978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strong>제로(提爐, 휴대용 화로)</strong>는 여행 중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화로 또는 주머니 난로를 가리킨다. 서유구(徐有榘...)
- 2020년 10월 24일 (토) 15:59 제합 (역사) [3,789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strong>제합(提盒, 휴대용 합)</strong>은 손잡이가 달려있는 찬합이다. 손잡이가 있는 여러 층의 곽으로 형태는 일정하지 않으며...)
- 2020년 10월 24일 (토) 15:51 이운지:명승지 여행:여행 도구:여행 도구를 넣는 2가지 형태의 어깨 짐 (역사) [3,567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여행 도구를 넣는 2가지 형태의 어깨 짐'''</br></br> ''갑견(甲肩)<ref>갑견(甲肩):첫째 짐상자. 견(肩)은 한 사람이 어깨에 지고 갈...)
- 2020년 10월 24일 (토) 15:50 이운지:명승지 여행:여행 도구:등합 (역사) [878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등합(藤盒, 등나무 합)'''</br> 등나무를 엮어서 합을 만드는데, 합의 모양은 둥글거나 네모나기도 하고, 6각이나 8각이기도 하고,...)
- 2020년 10월 24일 (토) 15:49 이운지:명승지 여행:여행 도구:호로합 (역사) [2,144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호로합(葫蘆盒, 호리병 모양의 합)'''</br> 단단한 나무를 갈이틀로 깎아 큰 호리병 모양을 만든 다음 세로로 잘라 2짝 1벌을 만...)
- 2020년 10월 24일 (토) 15:34 이운지:명승지 여행:여행 도구:향구 (역사) [1,985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향구(香具, 휴대용 향 도구)'''</br> 산을 유람하는 사람이 고요한 절에 머무르거나 여관에서 묵을 때에 하루라도 향이 없을 수...)
- 2020년 10월 24일 (토) 15:33 이운지:명승지 여행:여행 도구:행장 (역사) [2,152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행장(行帳, 여행용 장막)'''</br> 산사(山寺)나 야외의 자리에서는 매번 모기나 바람에 시달리므로 지금 이 장막을 만든다. 4개의...)
- 2020년 10월 24일 (토) 15:31 이운지:명승지 여행:여행 도구:좌전 (역사) [1,199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좌전(坐氈, 털방석)'''</br> 좌전은 꽃이 필 때 땅에 까는데, 때마다 녹비(鹿皮, 사슴가죽)로 만들어 사람들마다 1장씩 쓰면 털이...)
- 2020년 10월 24일 (토) 14:58 이운지:명승지 여행:여행 도구:의갑 (역사) [2,317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의갑(衣匣, 옷 상자)'''</br> 의갑은 가죽을 입힌 삼나무로 만드는데, 높이는 0.5~0.6척이다. 덮개와 바닥은 널빤지를 두르지 않고...)
- 2020년 10월 24일 (토) 14:57 이운지:명승지 여행:여행 도구:비구갑 (역사) [3,744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비구갑(備具匣, 여행 상비품 상자)'''</br> 비구갑은 가벼운 나무로 만들고, 겉은 가죽을 덧대어 감싼 뒤, 배갑(拜匣)<ref>배갑(拜...)
- 2020년 10월 24일 (토) 14:56 이운지:명승지 여행:여행 도구:제로 (역사) [3,788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제로(提爐, 휴대용 화로)'''</br> 만드는 방식은 제합과 같다. 높이는 1.8척, 너비는 1척, 길이는 1.2척으로 3칸[撞]을 만든다. 아래 1...)
- 2020년 10월 24일 (토) 14:55 이운지:명승지 여행:여행 도구:제합 (역사) [3,087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제합(提盒, 휴대용 합)'''</br></br> 높이는 총 1.8척, 길이는 1.2척, 깊이는 1척으로 하여 작은 찬장과 같은 방식으로 바깥 몸체를 만...)
- 2020년 10월 24일 (토) 14:54 이운지:명승지 여행:여행 도구:다구 (역사) [7,459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다구(茶具, 휴대용 차 도구)'''</br> 멀리 유람하여 객지에서 숙박할 때 풍로(風爐)<ref>풍로(風爐):바람이 통하는 화로. 《이운지...)
- 2020년 10월 24일 (토) 14:48 이운지:명승지 여행:여행 도구:주구 (역사) [6,907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주구(酒具, 휴대용 술그릇)'''</br> 산길이 험하여 절뚝거리는 나귀에 술을 실으니 어찌 주구가 없을 수 있겠는가? 예전에는 편제(...)
- 2020년 10월 24일 (토) 14:45 주구 (역사) [3,656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strong>주구(酒具, 휴대용 술그릇)</strong>는 술을 마시는 데 쓰는 여러 가지의 그릇이다. 주기(酒器)라고도 한다. 서유구(徐有榘)...)
- 2020년 10월 24일 (토) 14:33 이운지:서재의 고상한 벗들(하):서실의 기타도구:서상 (역사) [2,260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서상'''</br><br/> 넓은 방에는 넓고 폭이 큰 책상을 사용하고, 작은 방이나 침실에는 폭이 좁고 작은 책상을 사용해야 한다. 책상...)
- 2020년 10월 24일 (토) 14:27 이운지:서재의 고상한 벗들(하):종이:진지 (역사) [4,278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진지(鎭紙)'''</br> 옛날에 구리로 만든 청록색을 띤 청개구리 모양 으로 속이 빈 구리 좌상(坐像)이 있었는데, 무게는 1근 남짓...)
- 2020년 10월 24일 (토) 14:14 이운지:서재의 고상한 벗들(상):붓:붓걸이 (역사) [5,603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붓걸이'''</br> <strong>옥붓걸이</strong>에는 산 모양이 있고, 누운 신선 모양이 있다. 옥으로 만든 새끼 고양이와 어미 고양이 모...)
- 2020년 10월 23일 (금) 09:53 월별 행사 (역사) [5,469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월별행사</strong>는 매월 행하던 세시 풍속의 목록이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class="wikitable" style="text-a...)
- 2020년 10월 23일 (금) 09:34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세시 풍속의 총 목록:월별행사 (역사) [27,561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월별 행사'''<br/> 좋은 절기의 좋은 날을 세상 사람들이 즐긴 지 오래되었다. 때로는 하나의 고사(古事)로 인해 남아 있기도 하고...)
- 2020년 10월 22일 (목) 17:39 시골에서의 놀이 (역사) [3,315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시골에서의 놀이</strong>는 시골 마을에 살면서 1년 동안 지내는 세시 풍속들이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 2020년 10월 22일 (목) 17:30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세시 풍속의 총 목록:시골에서의 놀이 (역사) [5,882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시골에서의 놀이'''<br/> 시골 마을에 살면 사시사철 즐거운 일이 매우 많다. 예를 들면 1월의 잔설 속에서 향기로운 쑥이 새로 돋...)
- 2020년 10월 22일 (목) 17:15 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와구(누울 때 쓰는 도구):죽부인 (역사) [1,216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각주==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섬용지 분류:임원경제지 섬용지 분류:기거지...)
- 2020년 10월 22일 (목) 17:14 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와구(누울 때 쓰는 도구):소가죽베개 (역사) [304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각주==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섬용지 분류:임원경제지 섬용지 분류:기거지...)
- 2020년 10월 22일 (목) 17:13 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와구(누울 때 쓰는 도구):나전베개 (역사) [304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각주==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섬용지 분류:임원경제지 섬용지 분류:기거지...)
- 2020년 10월 22일 (목) 17:13 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와구(누울 때 쓰는 도구):대자리베개 (역사) [966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각주==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섬용지 분류:임원경제지 섬용지 분류:기거지...)
- 2020년 10월 22일 (목) 17:05 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와구(누울 때 쓰는 도구):퇴침 (역사) [1,391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각주==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섬용지 분류:임원경제지 섬용지 분류:기거지...)
- 2020년 10월 22일 (목) 17:05 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와구(누울 때 쓰는 도구):완침 (역사) [1,801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각주==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섬용지 분류:임원경제지 섬용지 분류:기거지...)
- 2020년 10월 22일 (목) 17:03 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와구(누울 때 쓰는 도구):접베개 (역사) [885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각주==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섬용지 분류:임원경제지 섬용지 분류:기거지...)
- 2020년 10월 22일 (목) 17:03 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와구(누울 때 쓰는 도구):등침 (역사) [1,014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각주==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섬용지 분류:임원경제지 섬용지 분류:기거지...)
- 2020년 10월 22일 (목) 17:02 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와구(누울 때 쓰는 도구):개가죽요 (역사) [1,069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각주==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섬용지 분류:임원경제지 섬용지 분류:기거지...)
- 2020년 10월 22일 (목) 17:02 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와구(누울 때 쓰는 도구):산양가죽요 (역사) [752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각주==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섬용지 분류:임원경제지 섬용지 분류:기거지...)
- 2020년 10월 22일 (목) 17:00 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와구(누울 때 쓰는 도구):오소리가죽요 (역사) [879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각주==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섬용지 분류:임원경제지 섬용지 분류:기거지...)
- 2020년 10월 22일 (목) 16:58 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와구(누울 때 쓰는 도구):수숫대자리 (역사) [810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각주==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섬용지 분류:임원경제지 섬용지 분류:기거지...)
- 2020년 10월 22일 (목) 16:52 수세 (역사) [3,522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수세(守歲, 밤 새기)</strong>는 섣달 그믐날 한해의 마지막 날을 지키기 위해 불을 밝히고 밤새도록 자지 않는 세시...)
- 2020년 10월 22일 (목) 16:32 설날 (역사) [3,833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strong>설날의 집안 잔치</strong>는 우리나라 명절의 하나로, 정월 초하룻날 남녀노소에게 잔치를 베풀며 대접하는 풍속이다. ==...)
- 2020년 10월 22일 (목) 16:19 심의 (역사) [4,898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심의(深衣) 제도</strong>는 백세포(白細布)로 만들고 깃, 소맷부리 등 옷의 가장자리에 검은 비단으로...)
- 2020년 10월 22일 (목) 16:03 석가탄신일 (역사) [4,366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석가탄신일</strong>은 사월 <font color="blue">초파일</font> 석가모니가 탄생한 날로, 이날을 축하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 2020년 10월 22일 (목) 15:29 생일회 (역사) [3,145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생일회(生日會, 생일 모임)</strong>는 친족들이 모여 생일 맞은 사람의 건강과 장수를 기원하고 친목을 도모하는...)
- 2020년 10월 22일 (목) 15:12 상치회 (역사) [3,770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상치회(尙齒會, 경로 모임)</strong>는 노인들에게 연회를 베풀어 주는 경로 모임이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
- 2020년 10월 22일 (목) 14:41 피서음 (역사) [3,732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피서음(避暑飮, 피서하며 술 마시기)</strong>은 음력 6월에서 7월 사이의 초복ㆍ중복ㆍ말복에 시원한 곳에서 술을...)
- 2020년 10월 22일 (목) 14:17 복날 (역사) [4,510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복날[伏日]</strong>은 음력 6월에서 7월 사이, 초복ㆍ중복ㆍ말복을 말하며 개장국을 먹는 풍속이 있었다. ==Semantic...)
- 2020년 10월 22일 (목) 13:55 범주회 (역사) [3,766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범주회(泛舟會, 뱃놀이 모임)</strong>는 달밤에 간소한 음식을 준비해서 즐기는 뱃놀이 모임이다. ==Semantic Data== =...)
- 2020년 10월 22일 (목) 13:24 초청 (역사) [3,669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모임 운영의 규약 - 초청</strong>은 모임을 운영할 때 손님을 초청하는 방법이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 2020년 10월 22일 (목) 10:45 동지 (역사) [3,798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동지의 집안 잔치</strong>는 동짓날 사당에 제사를 지내고 어른에게 절하며 팥죽을 쑤어 먹는 세시풍속이다. ==Sem...)
- 2020년 10월 22일 (목) 10:11 동제 (역사) [3,081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동제(冬除)</strong>는 동지 전날 밤에 불을 밝히고 밤을 새는 세시풍속이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cla...)
- 2020년 10월 22일 (목) 09:53 대보름 (역사) [4,415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대보름의 다리밟기</strong>는 정월대보름날 밤에 다리[橋]를 밟으며 노는 세시풍속으로, 답교(踏橋) 또는 ‘답교...)
- 2020년 10월 22일 (목) 09:42 단오절 (역사) [3,862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단오절의 쑥떡(艾糕)</strong>는 음력 5월 5일에 쑥떡을 만들어 먹는 세시풍속이다. 또한 창포물로 세수하고 머리를...)
- 2020년 10월 22일 (목) 09:31 간화국 (역사) [3,572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늦봄의 간화국(看花局, 꽃구경 모임)</strong>는 <font color="blue">한식</font> 전후에 꽃구경을 하며 술과 음식으로 손님...)
- 2020년 10월 22일 (목) 09:22 납회 (역사) [3,491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납회(臘會, 납일 모임)</strong>는 동지 후 3번째 미일(未日)인 납일에 술과 음식을 먹으며 한 해를 보내는 세시풍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