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운지:명승지 여행:여행 도구:제로

pungseok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18) 제로(提爐, 휴대용 화로)
만드는 방식은 제합과 같다. 높이는 1.8척, 너비는 1척, 길이는 1.2척으로 3칸[撞]을 만든다. 아래 1 칸은 네모난 상자처럼 만들고, 그 안에 물 끓이는 구리화로를 장착하는데, 몸체가 네모난 상자 모양과 같다. 이를 아래 상자 모양 안에 끼워 앉힌다.
중간 칸은 바닥에 2개의 구멍을 나누어 내고, 왼쪽 구멍에는 불을 지펴 차 단지를 올려 두고서 차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오른쪽 구멍에는 끓는 물을 붓고 그 위에 통처럼 생겼으면서 뚜껑이 달린 작은솥 1개를 올려 솥 안에 술을 중탕(中湯)한다. 긴 하루의 오후에 이 솥으로 죽을 끓여 손님에게 대접할 수도 있다.
화로 옆에 하나의 작은 구멍을 뚫어 이 구멍으로 숯을 꺼내고 바람이 들어가게 한다. 단지와 솥이 화로가 있는 칸 위로 껑충 솟아 너무 드러나면 고아하지 않기 때문에 중간 칸 위쪽의 바깥에 아래 칸의 네모난 상자처럼 1칸을 만든다. 다만 그 칸에 바닥을 만들었다가 솥이나 화로의 윗부분이 걸리는 일이 없도록 하면 단지나 솥이 밖으로 보이지 않게 된다.
아래 한 칸은 비어 있고 중간 한 칸은 채워져 있어 합쳐서 2칸이고, 그 위에 다시 1칸을 더하고 바닥과 덮개를 설치하여 숯을 쟁여 넣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총 3칸이 1가(架)[1]를 이룬다. 위에 자물쇠를 채울 수 있게 하고, 앞의 제합과 짝이 되게 한다. 《준생팔전》[2]

이 칸은 하나의 네모난 상자처럼 만들어 숯을 담아두었다가 쓸 때를 대비한다. 가운데 1칸은 위쪽을 비워서 호리병과 노구솥 두 물건이 칸 위로 튀어나 오지 않게 덮어주니, 식라(食籮)[3]의 양식과 같다.

이 노구솥은 불 위로 옮겨 죽을 끓일 수 있다.
───────────────────────────────
노구솥 바닥이 뜨거운 물속에 0.3척 잠기게 한다.
물을 뜨겁게 하여 술을 데운다.
이 단지는 차를 뜨겁게 할 수 있고, 물 위에서 차를 데우기도 한다.
───────────────────────────────

격화조(隔火條)[4]
불구멍

별도로 둥근 구리 술잔 모양을 만들고 뒤집어 놓은 뒤 뜨겁게 데울 단지를 그 위에 놓는다. 구리 술잔 모양에는 매화 모양의 구멍을 뚫어 불기운이 통하여 위로 올라가게 한다.[5][6]

각주

  1. 가(架):물건을 놓는 시렁. 여기서는 세 칸으로 구성된 제로 1개의 단위를 가리킨다. 요즘 흔히 쓰는 ‘세트’ 라는 말과 같다.
  2. 《遵生八牋》 卷8 〈起居安樂牋〉下 “溪山逸游條” ‘游具’(《遵生八牋校注》, 261쪽).
  3. 식라(食籮):음식을 담아 메고 다닐 수 있게 대나무 등의 나무를 엮어서 만든 상자.
  4. 격화조(隔火條):화로나 향로의 불을 덮어 불의 세기를 조절하는 기와조각.
  5. 이상의 원도와 원도에 적혀 있는 내용도 출처가 《준생팔전》 이다.
  6.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 4,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9), 406~40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