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운지:명승지 여행:여행 도구:여행 도구를 넣는 2가지 형태의 어깨 짐

pungseok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26) 여행 도구를 넣는 2가지 형태의 어깨짐

갑견(甲肩)[1]

왼쪽의 옷상자 1개에는 옷·이불·베개·대야·양치 도구·수건·발싸개·빗·거울·약 등을 넣어 둔다.[2]

오른쪽 음식상자 1개는 대나무로 2칸을 만들고, 평평한 바닥과 덮개 4개를 만든다. 여기에 찬합 3개를 넣는데, 각각의 찬합마다 과자 접시 10개와 작은 주합(酒榼)[3] 1개는 여러 되의 술을 담아서 따를 때를 대비하여 쓸 표주박 1개, 술잔 3개를 둔다.
옻칠한 통 모양의 합에는 말린 고기·말린 과일· 좋은 채소 각각 몇 종류와 떡 약간을 담아 두어 먹고 마시는 데에 대비하고, 불시의 갑작스런 접대에 대응한다.
다만 앞의 찬합 3개에는 서로 겹치는 물품이 들어 있으니 1칸에다 넣고, 나머지는 따로 둔다. 하지만 여름철에는 과일과 포를 모두 휴대해서는 안 된다.


을견(乙肩)

대나무로 2칸을 만드는데 아래는 함[櫃]으로 만들고 위에는 빈 칸으로 둔다.
왼쪽 칸 위층에는 책상자 1개·종이·붓·먹·벼 루·가위·운략(韻略)[4]·잡다한 서책들을 둔다.
왼쪽 아래 함 속에는 사발과 접시 각각 6개, 수저 각각 4벌, 생과일 몇 개, 과도를 둔다.
오른쪽 칸 위층에는 금(琴) 1개와 대나무 상자에 담은 접이식 바둑판 1개를 둔다.
오른쪽 아래 함 속에는 바둑알, 차 2~3종류, 납차[臘茶] [5]【곧 맷돌에 갈아서 끓인 것.】, 잔과 받침대 각 3개, 사발, 표주박, 숟가락 등을 둔다.
함께 넣는 기타 물건으로는 손도끼·작두·약초 캐는 호미·납촉(蠟燭, 밀랍으로 만든 초)·지팡이·흙길에 신는 장화·우비·산립(繖笠)[6]·취사용 작은 냄비· 급수자(急須子)[7]·기름통을 둔다. 《망회록(忘懷錄)》[8][9]

명나라의 화가 대진의 춘유만귀도(대만 고궁박물원).png

각주

  1. 갑견(甲肩):첫째 짐상자. 견(肩)은 한 사람이 어깨에 지고 갈 만한 분량의 짐이다.
  2. 여기에 실린 《망회록》기사의 원문에는 내용을 구별하기 위해 한 칸씩 띄워서 쓴 대목이 있다. 그런 곳의 번역문도 한 줄 띄웠다.
  3. 주합(酒榼):술이나 술그릇과 술안주를 담아서 들고 다닐 수 있게 만든 찬합. 주합(酒盒).
  4. 운략(韻略):시를 짓는 데 참고하기 위한 용도의 간략한 운서(韻書).
  5. 납차[臘茶]:중국 건주(建州)에서 생산되는 차. 납면차[蠟面茶]라고도 한다. 우려낸 찻물의 빛깔이 밀납을 녹인 것처럼 우윳빛을 띠고 있어서 붙여진 이름.
  6. 산립(繖笠):비나 햇볕을 피하기 위해 쓰는 넓은 갓.
  7. 급수자(急須子):빠르고 편하게 물을 데울 수 있는 주전자 모양의 그릇.
  8. 《說郛》 卷74 上 〈忘懷錄〉 (《文淵閣四庫全書》 880, 184~185쪽).
  9.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 4,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9), 416~41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