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목록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20년 9월 23일 (수) 11:44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흙손질:치받이 (역사) [2,321 바이트] 정명현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br/> 치받이(앙벽)<ref>치받이(앙벽):서까래 위에 산자를 엮고 지붕을 이은 다음 밑에서 흙을 바르는 일이나 그 흙.</ref> 지붕의 서...)
- 2020년 9월 23일 (수) 11:34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방과 캉:이중 온돌 까는 법 (역사) [2,902 바이트] 정명현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br/> 근세에 서울의 재력 있는 집에서는 이중 온돌[複堗, 복돌]을 만들기도 한다.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땅을 평평하게 골라...)
- 2020년 9월 23일 (수) 11:12 사면차 (역사) [2,649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사면차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사면차</strong>는 밀가루를 체 치는 도구이다. 서유구(徐有榘)의 <font color="blue">《임원경제지...)
- 2020년 9월 23일 (수) 11:02 사롱 (역사) [2,634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사롱 <ref></ref>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사롱</strong>는 가루를 체로 거를 때 사용하는 도구이다. 서유구(徐有榘)의 <font color="...)
- 2020년 9월 23일 (수) 10:58 HasComponent (역사) [1,383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6)체(篩)<ref>체의 모양은 다음과 같다. 섬네일|가운데|체 </ref> 체의 테두리는 소나무 또는 버드나무로 만든다. 아름드리나...)
- 2020년 9월 23일 (수) 10:55 체 (역사) [2,626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체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체</strong>는 곡물을 가루 낸 뒤, 고운 가루를 때 사용하는 도구이다. 서유구(徐有榘)의 <font color="...)
- 2020년 9월 23일 (수) 10:44 우리나라에서 인력으로 맷돌 돌리는 방법 (역사) [2,942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우리나라에서 인력으로 맷돌 돌리는 방법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우리나라에서 인력으로 맷돌 돌리는 방법</strong>는 우리...)
- 2020년 9월 23일 (수) 10:21 중국의 맷돌 돌리는 법 (역사) [2,776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중국의 맷돌 돌리는 법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쇠절굿공이</strong>는 곡물을 가루 낼 때 사용하는 도구이다. 서유구(徐有榘)...)
- 2020년 9월 23일 (수) 10:16 보리맷돌 (역사) [2,680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보리맷돌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보리맷돌</strong>은 보리를 가루 낼 때 사용하는 도구이다. 서유구(徐有榘)의 <font color="blue"...)
- 2020년 9월 23일 (수) 10:05 콩맷돌 (역사) [2,645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콩맷돌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콩맷돌</strong>은 곡물을 가루 낼 때 사용하는 도구이다. 서유구(徐有榘)의 <font color="blue">《임...)
- 2020년 9월 23일 (수) 09:49 쇠절굿공이 (역사) [2,678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쇠절굿공이</strong>는 곡물을 가루 낼 때 사용하는 도구이다. 서유구(徐有榘)의 <font color="blue">《임원...)
- 2020년 9월 23일 (수) 09:32 용수 (역사) [2,569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용수</strong>는 양조할 때 쓰는 그릇으로, 술을 떠내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서유구(徐有榘)의 <font...)
- 2020년 9월 22일 (화) 23:10 온돌 제도 (역사) [3,544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온돌 제도</strong>는 우리나라의 온도 제도의 6가지 결점을 시작으로, 문제점에 대한 대안 및 중국의...)
- 2020년 9월 22일 (화) 23:03 캉 제도 (역사) [3,270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캉</strong>은 만주 지역에서 구들을 가리키는 용어로, 캉을 만드는 제도와 굴뚝을 만드는 법 등이 실...)
- 2020년 9월 22일 (화) 22:55 방과 캉은 제도가 다르다 (역사) [3,486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방과 캉은 제도가 다르다</strong>는 우리나라의 방 제도와 중국의 캉 제도에 대한 차이를 설명하고 있...)
- 2020년 9월 22일 (화) 17:17 섬용지:복식 도구:옷과 갖옷:심의 제도에 관한 변증 (역사) [61,144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strong>심의 제도에 관한 변증</strong><br/> <strong>속임구변<ref>속임구변:한대(漢代) 심의의 임(衽)은 길(몸판)의 앞부분을 말하고, 속...)
- 2020년 9월 22일 (화) 16:53 심의 제도에 관한 변증 (역사) [4,272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심의 제도에 관한 변증[深衣辨證]</strong>은 심의의 규격과 모양을 자세히 설명하면서 원 제도를 규명...)
- 2020년 9월 21일 (월) 17:04 이운지:서재의 고상한 벗들(하):종이:여러 색종이 만드는 법:주사 색종이 만드는 법 (역사) [1,827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주사(硃砂)색종이(주사전) 만드는 법:질 좋은 종이 1필을 고른 다음 6/10은 아교를, 4/10는 명반을 섞 은 즙을 종이 위에 1번 바른다....)
- 2020년 9월 21일 (월) 10:19 정명현 (역사) [54 바이트] 정명현 (토론 | 기여) (새 문서: 임원경제지 입력작업중 분류:정명현)
- 2020년 9월 21일 (월) 10:18 김광명 (역사) [54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임원경제지 입력작업중 분류:김광명)
- 2020년 9월 21일 (월) 10:16 김용미 (역사) [54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임원경제지 입력작업중)
- 2020년 9월 19일 (토) 19:29 PSC:임원경제:다구 (역사) [3,632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GoTo| 임원경제지 이운지 다구}} ==Semantic Data== ===Contextual Nodes===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 2020년 9월 19일 (토) 19:18 PSS: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다구 (역사) [3,948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clickable_Button|PSS: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 ⇨ 다구(茶具) ==PST: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
- 2020년 9월 18일 (금) 19:12 이운지:서재의 고상한 벗들(하):종이:여러 색종이 만드는 법:아황색종이 (역사) [1,077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아황(鵝黃)색종이(아황전):회화나무꽃 1냥을 검붉 은 색을 띨 때까지 볶고, 찬물 1주발에 달여 즙을 낸다. 여기에 은분을 넣고 풀을...)
- 2020년 9월 18일 (금) 19:08 이운지:서재의 고상한 벗들(하):종이:여러 색종이 만드는 법:오색종이 만드는 법 (역사) [1,592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오색종이(오색전) 만드는 법:반드시 두텁고 실하 여 옮기거나 뒤집어도 견딜 수 있는 종이를 고른다. 만약 흰 종이를 만들려면...)
- 2020년 9월 18일 (금) 19:02 이운지:서재의 고상한 벗들(하):종이:여러 색종이 만드는 법:접시꽃색종이 만드는 법 (역사) [1,605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접시꽃색종이(규전) 만드는 법:5~6월에 접시꽃 이파리를 이슬과 합하여 딴 다음 흐물흐물하게 찧어 즙을 낸다. 여기에 어린 백록...)
- 2020년 9월 18일 (금) 17:38 이운지:서재의 고상한 벗들(하):종이:종이 두드리는 법 (역사) [4,332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종이 100장마다 1석으로 삼아 두드린다. 이때 말 린 종이 10장 단위마다 물을 뿌려 축축해진 종이 1 장을 그 위에 겹친다. 이와 같이...)
- 2020년 9월 18일 (금) 17:32 이운지:서재의 고상한 벗들(하):종이:접시꽃색종이 만드는 법 (역사) [1,207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접시꽃색종이(규전) 만드는 법:5~6월에 접시꽃 이파리를 이슬과 합하여 딴 다음 흐물흐물하게 찧어 즙을 낸다. 여기에 어린 백록...)
- 2020년 9월 18일 (금) 17:09 이운지:서재의 고상한 벗들(하):종이:주사 색종이 만드는 법 (역사) [1,457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주사(硃砂)색종이(주사전) 만드는 법:질 좋은 종이 1필을 고른 다음 6/10은 아교를, 4/10는 명반을 섞 은 즙을 종이 위에 1번 바른다....)
- 2020년 9월 18일 (금) 16:53 이운지:명승지 여행:산에 오를 때의 부적과 주문:도수부 (역사) [1,297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강이나 하천을 건널 때 붉은색으로 ‘우(禹)’<ref>우(禹):중국 고대 하(夏)나라 임금으로 치수(治水)를 잘하여 순(舜)임금의 뒤를 이어 왕...)
- 2020년 9월 18일 (금) 16:52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다구:기국 (역사) [438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⑥기국(器局) 【대나무로 짜서 네모 상자를 만든다. 다구를 수납할 때 쓰는 물건이다.】 ==각주==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
- 2020년 9월 18일 (금) 16:51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다구:수조 (역사) [457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⑤수조(水曹) 【곧 자기항아리나 질그릇장군이다. 샘물을 보관했다가 화정(火鼎, 불솥)에 제공한다.】 ==각주== 분류: 한양도성...)
- 2020년 9월 18일 (금) 16:50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다구:오부 (역사) [430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④오부(烏府) 【대나무로 바구니를 만든다. 숯을 담아 차를 달이는 용도로 쓴다.】 ==각주==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
- 2020년 9월 18일 (금) 16:49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다구:운둔 (역사) [434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③운둔(雲屯) 【자기항아리이다. 국자로 샘물을 뜰 때에 쓰며 끓일 물을 제공한다.】 ==내용== ==각주==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
- 2020년 9월 18일 (금) 16:48 이운지:명승지 여행:산에 오를 때의 부적과 주문:입산주 (역사) [5,875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산림 속에 들어갈 때는 왼손으로 청룡(靑龍)<ref>청룡(靑龍):육갑(六甲)에 해당하는 동쪽 방위를 말한다. 곧 갑자(甲子)·갑술(甲戌...)
- 2020년 9월 18일 (금) 16:46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다구:죽협 (역사) [883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죽협(竹夾, 대젓가락)<br> 때로는 복숭아나무·버드나무·포규(蒲葵)나무<ref>포규(蒲葵)나무:야자과에 속하는 상록 교목. 열대 및...)
- 2020년 9월 18일 (금) 16:42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다구:표주박 (역사) [2,602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표주박[瓢] <br> ‘희표(㰕杓, 구기)’라고도 한다. 박을 쪼개서 만들거나 나무를 깎아서 만든다. 서진(西晉)의 사인(舍人)<ref>사인(...)
- 2020년 9월 18일 (금) 16:37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다구:녹수낭 (역사) [1,714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녹수낭(漉水囊, 차 거름망 주머니) <br> 일상적으로 쓰는 녹수낭 같은 경우, 그 틀은 생동(生銅)<ref>생동(生銅):다른 금속을 섞지...)
- 2020년 9월 18일 (금) 16:34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다구:수방 (역사) [920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수방(水方, 물통) <br> 영수목[椆木]<ref>영수목[椆木]:상록수의 일종. 물속에서 오래 있어도 변치 않아 상앗대로 많이 쓴다.</ref>【...)
- 2020년 9월 18일 (금) 16:32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다구:찻숟가락 (역사) [1,398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찻숟가락[則] <br> 바다 조개·굴·대합의 껍데기 따위를 쓰거나 구리·쇠·대나무 비책(匕策)<ref> 비책(匕策):나무나 쇠 등의 금속...)
- 2020년 9월 18일 (금) 16:28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다구:나합 (역사) [1,347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나합(羅合, 체와 찬합) <br> 찻가루를 체로 쳐서 찬합에 넣고 뚜껑을 덮어 보관한다. 찻숟가락[則]은 나합 속에 넣어둔다. 나(羅, 체...)
- 2020년 9월 18일 (금) 16:26 이운지:명승지 여행:산에 오를 때의 부적과 주문:승산부 (역사) [3,956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일반적으로 도(道)를 닦거나 약을 제조하거나 난 을 피하여 은거하려는 자들 중에 산에 들어가지 않 은 경우가 없다. 그러나 산에...)
- 2020년 9월 18일 (금) 16:23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다구:연(碾, 맷돌) (역사) [1,818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연(碾)201 <br> 차 가는 맷돌은 귤나무로 만들며, 차선으로는 배나무·뽕나무·오동나무·구지뽕나무로 만들기도 한다. 맷돌 내부는...)
- 2020년 9월 18일 (금) 16:18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다구:지낭 (역사) [969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지낭(紙囊, 종이주머니)<br> 섬등지(剡藤紙)<ref>섬등지(剡藤紙):섬현(剡縣) 지역의 등나무 껍질로 만든 종이. 섬현은 중국 절강성(...)
- 2020년 9월 18일 (금) 16:15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다구:집게 (역사) [1,097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집게[夾] <br> 작고 푸른 대나무로 만든다. 길이는 1.2척으로 하고, 0.1척 되는 곳에 마디가 남아 있게 자른 다음 마디 위쪽은 쪼개어...)
- 2020년 9월 18일 (금) 16:13 도수부 (역사) [3,593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도수부(渡水符, 물 건널 때의 부적)</strong>는 물을 건널 때 붉은색으로 ‘우(禹)’자를 써서 몸에 차고...)
- 2020년 9월 18일 (금) 16:11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다구:교상 (역사) [739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교상(交牀)<ref>교상(交牀):솥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만든 나무 받침대.</ref><br> 교상 다리는 십자(十字)로 교차시키고 상판의 가운...)
- 2020년 9월 18일 (금) 16:10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다구:솥 (역사) [2,534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솥[鍑] <br> 【음은 ‘보(輔)’다. 때로는 ‘부(釜, 가마)’라 쓰고, 때로는 ‘부(鬴, 가마솥)’라 쓴다.】 <br> 솥은 생철(生鐵, 주철)...)
- 2020년 9월 18일 (금) 16:08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다구:화협 (역사) [896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화협(火筴, 부젓가락) <br> 일명 ‘저(筯, 젓가락)’라 한다. 일상적으로 쓰는 화협이라면 둥글면서 위아래로 곧으며 길이는 1.3척으...)
- 2020년 9월 18일 (금) 16:07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차:다구:탄과 (역사) [1,301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탄과(炭檛, 숯 망치) <br> 쇠로 육각 모양으로 만들고, 길이는 1척이다. 윗부분은 날카롭게, 중간 부분은 두툼하게, 손잡이는 가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