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문화재명칭 영문 표기

"2019 문화재명칭 영문 표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3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2019Heritage}}
 
{{2019Heritage}}
  
* '''[[:File:문화재영문명칭사업_2019-09-19(Edited).pdf|2019 문화재명칭 영문 표기 사업 설명 PPT (English)]]'''
+
==='''[http://dh.aks.ac.kr/~heritage/wiki/images/d/d6/문화재영문명칭사업_2019-09-19(Edited).pdf Korean Cultural Heritage English Naming Guideline & Glossary (English)]'''===
 
+
[[File:명명요소검색.png|100px|center|link=http://dh.aks.ac.kr/~tutor/cgi-bin/heritage2019/index.htm]]
{{Icon Link|
 
|Icon=명명요소검색.png
 
|Size=200px
 
|URL=http://dh.aks.ac.kr/~tutor/cgi-bin/heritage2019/sendQuery.htm
 
}}
 
  
 
=='''일러두기'''==
 
=='''일러두기'''==
1. 이 목록은 문화재의 명칭에 쓰인 용어(이하 ‘문화재 명명 요소’라고 합니다.)와 그 용어들을 문화재 명칭 영문 표기에 사용하는 방법 및 예시를 유형별로 정리한 것입니다.
 
 
 
2. 이 목록의 문화재 명명 요소는 단일 어휘뿐 아니라, 문화재 명칭 속에서 하나의 용어처럼 쓰이는 복합어(여러 어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용어)를 포함합니다. 또한 국문 명칭 상에서는 고유한 이름이지만, 영문 명칭상에서 의미역을 덧붙여 표기하는 용어들도 이 목록에 포함하였습니다.
 
  
 +
1. 이 목록은 문화재의 명칭에 쓰인 용어(이하 ‘문화재 명명 요소’라고 합니다.)와 그 용어들을 문화재 명칭 영문 표기에 사용하는 방법 및 예시를 유형별로 정리한 것입니다.<br/>
 +
2. 이 목록의 문화재 명명 요소는 단일 어휘뿐 아니라, 문화재 명칭 속에서 하나의 용어처럼 쓰이는 복합어(여러 어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용어)를 포함합니다. 또한 국문 명칭 상에서는 고유한 이름이지만, 영문 명칭상에서 의미역을 덧붙여 표기하는 용어들도 이 목록에 포함하였습니다.<br/>
 +
3. 문화재 명명 요소는 ‘유형 문화 유산’(국보·보물·사적·중요 민속 문화재·등록 문화재)의 16개 영역, ‘무형 문화 유산’(중요 무형 문화재), ‘자연 유산’(명승·천연기념물) 등 17개 영역별로 구분하여 정리하였으며, 각 영역별 목록에서는 아래와 같은 3 종의 정보와 자료를 제공합니다. <br/>
 +
:1) 영문 명칭 표기 방법 ..... 해당 영역 명명 요소 용어들을 문화재 명칭 영문 표기에 사용하는 방법 설명<br/>
 +
:2) 명명 요소 ..... 해당 영역 문화재 명칭의 명명 요소 어휘와 영문 대역어<br/>
 +
:3) 사용 용례 ..... 해당 영역 문화재 명칭에 쓰인 복합어, 로마자 표기에 의미역 표기를 덧붙이는 사용 용례 등 <br/>
 +
4. 각 영역의 목록의 일부는 문화재의 하위 유형별로 범주화하였습니다. 목록상에서 문화재의 유형 구분은 【 】 기호로 표시합니다. 유형별 명명 요소와 사용 용례는 우리말의 가나다순으로 정리하였습니다.<br/>
 +
5. 다수의 명명 요소의 조합으로 이름이 만들어지는 문화재의 경우(불상, 도자기 등), 명명 요소를 유형별로 묶어서 제시하였습니다. 명명 요소의 범주 이름은 { } 기호로 표시합니다.<br/>
 +
6. 하나의 우리말 용어에 대해 2 가지 이상의 번역어가 있어서 이를 구분할 필요가 있거나, 용어의 사용을 특정한 의미로 한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해당 용어에 내포된 의미를 〔〕 기호를 사용하여 병기하였습니다. <br/>
 +
:예) 성당〔성공회〕 聖堂 Anglican Church<br/>
 +
::성당〔천주교〕 聖堂 Catholic Church<br/>
 +
::성당〔주교좌 성당〕 聖堂 Cathedral<br/>
  
3. 문화재 명명 요소는 ‘유형 문화 유산’(국보·보물·사적·중요 민속 문화재·등록 문화재)의 15개 영역, ‘무형 문화 유산’(중요 무형 문화재), ‘자연 유산’(명승·천연기념물) 등 17개 영역별로 구분하여 정리하였으며, 각 영역별 목록에서는 아래와 같은 3 종의 정보와 자료를 제공합니다.
+
=='''문화재 영문 명칭 표기 방법'''==
 
 
:1) 영문 명칭 표기 방법 ..... 해당 영역 명명 요소 용어들을 문화재 명칭 영문 표기에 사용하는 방법 설명
 
:2) 명명 요소 ..... 해당 영역 문화재 명칭의 명명 요소 어휘와 영문 대역어
 
:3) 사용 용례 ..... 해당 영역 문화재 명칭에 쓰인 복합어, 로마자 표기에 의미역 표기를 덧붙이는 사용 용례 등
 
 
 
 
 
4. 각 영역의 목록의 일부는 문화재의 하위 유형별로 범주화하였습니다. 목록상에서 문화재의 유형 구분은 【 】 기호로 표시합니다. 유형별 명명 요소와 사용 용례는 우리말의 가나다순으로 정리하였습니다.
 
 
 
 
 
5. 다수의 명명 요소의 조합으로 이름이 만들어지는 문화재의 경우(불상, 도자기 등), 명명 요소를 유형별로 묶어서 제시하였습니다. 명명 요소의 범주 이름은 { } 기호로 표시합니다.
 
 
 
 
 
6. 하나의 우리말 용어에 대해 2 가지 이상의 번역어가 있어서 이를 구분할 필요가 있거나, 용어의 사용을 특정한 의미로 한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해당 용어에 내포된 의미를 〔〕 기호를 사용하여 병기하였습니다.
 
 
 
:예) 성당〔성공회〕 聖堂 Anglican Church
 
::성당〔천주교〕 聖堂 Catholic Church
 
::성당〔주교좌 성당〕 聖堂 Cathedral
 
 
 
=='''명명요소'''==
 
  
 
<div class="NavFrame">
 
<div class="NavFrame">
<div class="NavHead">'''영역별 명명 요소'''</div>
+
<div class="NavHead">'''영역별 명명 요소 및 영문 명칭 표기 방법'''</div>
 
<div class="NavContent">
 
<div class="NavContent">
 
<gallery>
 
<gallery>
44번째 줄: 28번째 줄:
 
File:고창선운사대웅전.jpg|link=불교 건조물|<center>[[불교 건조물|불교 건조물<br/>(유형 문화 유산)]]</center>
 
File:고창선운사대웅전.jpg|link=불교 건조물|<center>[[불교 건조물|불교 건조물<br/>(유형 문화 유산)]]</center>
 
File:구서울역사.jpg|link=근현대 건조물|<center>[[근현대 건조물|근현대 건조물<br/>(유형 문화 유산)]]</center>
 
File:구서울역사.jpg|link=근현대 건조물|<center>[[근현대 건조물|근현대 건조물<br/>(유형 문화 유산)]]</center>
File: 경주포석정지.jpg|link=유적지|<center>[[유적지|유적지, 성, 도요지 등<br/>(유형 문화 유산)]]</center>
+
File: 경주포석정지.jpg|link=유적지|<center>[[유적지, 성, 도요지 등|유적지, 성, 도요지 등<br/>(유형 문화 유산)]]</center>
 
File: 남명조식묘.jpg|link=능묘|<center>[[능묘|능묘<br/>(유형 문화 유산)]]</center>
 
File: 남명조식묘.jpg|link=능묘|<center>[[능묘|능묘<br/>(유형 문화 유산)]]</center>
 
File: 보길도윤선도원림.jpg|link=명승|<center>[[명승|명승<br/>(유형 문화 유산)]]</center>
 
File: 보길도윤선도원림.jpg|link=명승|<center>[[명승|명승<br/>(유형 문화 유산)]]</center>
File:조선왕조실록_태백산.jpg|link=기록물 |<center>[[기록물|전적류<br/>(유형 문화 유산)]]</center>
+
File:조선왕조실록_태백산.jpg|link=기록물 |<center>[[전적류|전적류<br/>(유형 문화 유산)]]</center>
File: 묘법연화경.jpg|link=불교문헌|<center>[[불교문헌|불교 전적<br/>(유형 문화 유산)]]</center>
+
File: 묘법연화경.jpg|link=불교문헌|<center>[[불교 전적|불교 전적<br/>(유형 문화 유산)]]</center>
File:단양신라적성비.jpg|link=금석문 |<center>[[금석문|비석류<br/>(유형 문화 유산)]]</center>
+
File:단양신라적성비.jpg|link=금석문 |<center>[[비석류|비석류<br/>(유형 문화 유산)]]</center>
File:연소답청.jpg|link=회화 |<center>[[회화|회화 및 서예류<br/>(유형 문화 유산)]]</center>
+
File:연소답청.jpg|link=회화 |<center>[[회화 및 서예류|회화 및 서예류<br/>(유형 문화 유산)]]</center>
 
File:내소사영산회괘불탱.jpg|link=불교회화 |<center>[[불교회화|불교회화<br/>(유형 문화 유산)]]</center>
 
File:내소사영산회괘불탱.jpg|link=불교회화 |<center>[[불교회화|불교회화<br/>(유형 문화 유산)]]</center>
 
File: 심복사석조비로자나불좌상.jpg|link=불상|<center>[[불상|불상<br/>(유형 문화 유산)]]</center>
 
File: 심복사석조비로자나불좌상.jpg|link=불상|<center>[[불상|불상<br/>(유형 문화 유산)]]</center>
 
File: 무령왕릉석수.jpg|link=석조각|<center>[[석조각|석조각류<br/>(유형 문화 유산)]]</center>
 
File: 무령왕릉석수.jpg|link=석조각|<center>[[석조각|석조각류<br/>(유형 문화 유산)]]</center>
File:청자오리모양연적.jpg|link=도자기|<center>[[도자기|토도자 공예류<br/>(유형 문화 유산)]]</center>
+
File:청자오리모양연적.jpg|link=도자기|<center>[[토도자 공예류|토도자 공예류<br/>(유형 문화 유산)]]</center>
File:금령총금관.jpg|link=공예 |<center>[[공예|금속, 목조, 나전 공예류<br/>(유형 문화 유산)]]</center>
+
File:금령총금관.jpg|link=공예 |<center>[[금속, 목조, 나전 공예류|금속, 목조, 나전 공예류<br/>(유형 문화 유산)]]</center>
File: 덕온공주당의.jpg|link=도구 물품 복식|<center>[[도구 물품 복식|도구, 물품, 의복류<br/>(유형 문화 유산)]]</center>
+
File: 덕온공주당의.jpg|link=도구 물품 복식|<center>[[도구, 물품, 의복류|도구, 물품, 의복류<br/>(유형 문화 유산)]]</center>
File: 판소리.jpg|link=무형문화유산|<center>[[무형문화유산|무형 문화재<br/>(무형 문화 유산)]]</center>
+
File: 판소리.jpg|link=무형문화유산|<center>[[무형 문화재|무형 문화재<br/>(무형 문화 유산)]]</center>
File:한탄강대교천현무암협곡.jpg|link=자연유산 |<center>[[자연유산|천연기념물<br/>(자연 유산)]]</center>
+
File:한탄강대교천현무암협곡.jpg|link=자연유산 |<center>[[천연기념물|천연기념물<br/>(자연 유산)]]</center>
 
</gallery>
 
</gallery>
 
</div>
 
</div>
 
</div>
 
</div>
 +
<br/>
 +
* '''[http://dh.aks.ac.kr/~heritage/wiki/images/d/d6/문화재영문명칭사업_2019-09-19(Edited).pdf Korean Cultural Heritage English Naming Guideline & Glossary (English)]'''
 +
 +
{{Icon Link||Icon=명명요소검색.png|Size=100px|URL=http://dh.aks.ac.kr/~tutor/cgi-bin/heritage2019/index.htm}}
  
 
[[분류:2019 문화재명칭 영문 표기]]
 
[[분류:2019 문화재명칭 영문 표기]]

2023년 3월 6일 (월) 10:43 기준 최신판


Korean Cultural Heritage English Naming Guideline & Glossary (English)

명명요소검색.png

일러두기

1. 이 목록은 문화재의 명칭에 쓰인 용어(이하 ‘문화재 명명 요소’라고 합니다.)와 그 용어들을 문화재 명칭 영문 표기에 사용하는 방법 및 예시를 유형별로 정리한 것입니다.
2. 이 목록의 문화재 명명 요소는 단일 어휘뿐 아니라, 문화재 명칭 속에서 하나의 용어처럼 쓰이는 복합어(여러 어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용어)를 포함합니다. 또한 국문 명칭 상에서는 고유한 이름이지만, 영문 명칭상에서 의미역을 덧붙여 표기하는 용어들도 이 목록에 포함하였습니다.
3. 문화재 명명 요소는 ‘유형 문화 유산’(국보·보물·사적·중요 민속 문화재·등록 문화재)의 16개 영역, ‘무형 문화 유산’(중요 무형 문화재), ‘자연 유산’(명승·천연기념물) 등 17개 영역별로 구분하여 정리하였으며, 각 영역별 목록에서는 아래와 같은 3 종의 정보와 자료를 제공합니다.

1) 영문 명칭 표기 방법 ..... 해당 영역 명명 요소 용어들을 문화재 명칭 영문 표기에 사용하는 방법 설명
2) 명명 요소 ..... 해당 영역 문화재 명칭의 명명 요소 어휘와 영문 대역어
3) 사용 용례 ..... 해당 영역 문화재 명칭에 쓰인 복합어, 로마자 표기에 의미역 표기를 덧붙이는 사용 용례 등

4. 각 영역의 목록의 일부는 문화재의 하위 유형별로 범주화하였습니다. 목록상에서 문화재의 유형 구분은 【 】 기호로 표시합니다. 유형별 명명 요소와 사용 용례는 우리말의 가나다순으로 정리하였습니다.
5. 다수의 명명 요소의 조합으로 이름이 만들어지는 문화재의 경우(불상, 도자기 등), 명명 요소를 유형별로 묶어서 제시하였습니다. 명명 요소의 범주 이름은 { } 기호로 표시합니다.
6. 하나의 우리말 용어에 대해 2 가지 이상의 번역어가 있어서 이를 구분할 필요가 있거나, 용어의 사용을 특정한 의미로 한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해당 용어에 내포된 의미를 〔〕 기호를 사용하여 병기하였습니다.

예) 성당〔성공회〕 聖堂 Anglican Church
성당〔천주교〕 聖堂 Catholic Church
성당〔주교좌 성당〕 聖堂 Cathedral

문화재 영문 명칭 표기 방법



명명요소검색.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