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향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Web Resource) |
잔글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__NOTOC__ | __NOTOC__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
*[[광주향약]]은 조선시대 태종 때 칠석동 부용정에서 김문발에 의해 시행된 향촌의 자치 규약이다. | *[[광주향약]]은 조선시대 태종 때 칠석동 부용정에서 김문발에 의해 시행된 향촌의 자치 규약이다. | ||
*향약이 전국적으로 보급된 것은 16세기 중종 때이다. 그러나 광주는 훨씬 앞서 1411년(태종 11) 김문발에 의해 시행되었다. 칠석동 동약은 광주향약의 모태이다. | *향약이 전국적으로 보급된 것은 16세기 중종 때이다. 그러나 광주는 훨씬 앞서 1411년(태종 11) 김문발에 의해 시행되었다. 칠석동 동약은 광주향약의 모태이다. | ||
8번째 줄: | 7번째 줄: | ||
*[[부용정]](芙蓉亭)은 김문발이 1411년 관직에서 물러나 고향 [[칠석동]]으로 내려온 후 건립한 정자이다. 처음 [[광주향약]]을 시행하였던 곳, 전국 최초의 향약 시행처로 뜻깊은 장소이다. 부용정은 정면 3칸, 측면 3칸 규모로 광주광역시 지정문화유산이다. 부용정에는 [[양응정]], [[고경명]], 이안눌, 박제형 등 후대 명유(名儒)들의 누정제영(樓亭題詠)을 새긴 편액이 많이 걸려 있다. | *[[부용정]](芙蓉亭)은 김문발이 1411년 관직에서 물러나 고향 [[칠석동]]으로 내려온 후 건립한 정자이다. 처음 [[광주향약]]을 시행하였던 곳, 전국 최초의 향약 시행처로 뜻깊은 장소이다. 부용정은 정면 3칸, 측면 3칸 규모로 광주광역시 지정문화유산이다. 부용정에는 [[양응정]], [[고경명]], 이안눌, 박제형 등 후대 명유(名儒)들의 누정제영(樓亭題詠)을 새긴 편액이 많이 걸려 있다. | ||
*[[양응정]](梁應鼎, 1519~1581)은 1567년~1568년 동안 광주목사로 재직하였다. 당시 광주목사 양응정, 고경명, 김형과 인근의 선비들이 모여 부용정에서 시회(詩會)를 열었다. | *[[양응정]](梁應鼎, 1519~1581)은 1567년~1568년 동안 광주목사로 재직하였다. 당시 광주목사 양응정, 고경명, 김형과 인근의 선비들이 모여 부용정에서 시회(詩會)를 열었다. | ||
− | |||
− | |||
== Semantic Data == | == Semantic Data == | ||
36번째 줄: | 33번째 줄: | ||
|- | |- | ||
|} | |} | ||
− | |||
− | |||
== Web Resource == | == Web Resource == | ||
73번째 줄: | 68번째 줄: | ||
== Semantic Network Graph == | == Semantic Network Graph == | ||
{{SemanticGraph | key=광주향약}} | {{SemanticGraph | key=광주향약}} | ||
− | |||
[[분류:Concept]] [[분류:Concept/2023]] [[분류:이수경]] [[분류:역사/2023]] | [[분류:Concept]] [[분류:Concept/2023]] [[분류:이수경]] [[분류:역사/2023]] |
2024년 1월 23일 (화) 10:51 판
Definition
- 광주향약은 조선시대 태종 때 칠석동 부용정에서 김문발에 의해 시행된 향촌의 자치 규약이다.
- 향약이 전국적으로 보급된 것은 16세기 중종 때이다. 그러나 광주는 훨씬 앞서 1411년(태종 11) 김문발에 의해 시행되었다. 칠석동 동약은 광주향약의 모태이다.
- 김문발(金文發, 1359~1418)은 광주 출신으로 부용정을 세우고, 부용정에서 여씨형제(呂氏兄弟)의 남전향약(藍田鄕約)과 주자(朱子)의 백록동규약(白鹿洞規約)을 본받아 향약을 시행하였다. 김문발의 주도로 향약이 시행되었으나 그때 실시한 향약의 내용이나 조목은 남아있지 않다.
- 이선제(李先薺, 1389~1454)가 다시 주도하여 널리 행해졌다. 광주향약 조목이 확인된다.
- 부용정(芙蓉亭)은 김문발이 1411년 관직에서 물러나 고향 칠석동으로 내려온 후 건립한 정자이다. 처음 광주향약을 시행하였던 곳, 전국 최초의 향약 시행처로 뜻깊은 장소이다. 부용정은 정면 3칸, 측면 3칸 규모로 광주광역시 지정문화유산이다. 부용정에는 양응정, 고경명, 이안눌, 박제형 등 후대 명유(名儒)들의 누정제영(樓亭題詠)을 새긴 편액이 많이 걸려 있다.
- 양응정(梁應鼎, 1519~1581)은 1567년~1568년 동안 광주목사로 재직하였다. 당시 광주목사 양응정, 고경명, 김형과 인근의 선비들이 모여 부용정에서 시회(詩會)를 열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광주향약 | Concept | 광주향약 | 광주향약 | 光州鄕約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광주향약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광주향약.jpg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광주향약 | 칠석동 | ~에서 시작하였다. | ||
부용정 | 광주향약 | ~에서 열렸다. | ||
김문발 | 광주향약 | ~이 처음으로 시작하였다. | ||
이선제 | 광주향약 | ~이 발전시켰다. | ||
양응정 | 부용정 | ~이 부용정에서 열린 시회에 참석하였다. | ||
고경명 | 부용정 | ~이 부용정에서 열린 시회에 참석하였다.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디지털광주문화대전 | 광주향약 | http://aks.ai/GC60000735 | |
해설 | 디지털광주문화대전 | 김문발 | http://aks.ai/GC60001738 | |
해설 | 디지털광주문화대전 | 이선제 | http://aks.ai/GC60001767 | |
참고 | 전남매일 | 전국에서 처음 향약이 시작된 곳(2023.10.19. 권수용) | http://m.jndn.com/article.php?aid=1697704048371898203 |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논문 | 박순, 「조선전기 광주지방의 향약과 동계」, 『동서사학』 Vol.5, 한국동서사학회, 1999. | RISS | https://www.riss.kr/link?id=A3153826 |
논문 | 이종일, 「조선시대 광주 향약의 성립과정 연구」, 『향토문화』 Vol.29, 향토문화개발협의회, 2009. | RISS | https://www.riss.kr/link?id=A105442327 |
단행본 | 이문효, 『광주향약의 형성 과정-필문 이선제 선생의 업적을 중심으로』, 국민출판, 2022. | https://www.google.com/search?q=9788981656461 | |
단행본 | 김희태 외, 『부용정 양과동정』, 심미안, 2019. | https://www.google.com/search?q=9788963813028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