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경명
기본 정보
이름 | 고경명 |
---|---|
한자명 | 高敬命 |
위도(latitude) | 35.15008220000001 |
경도(longitude) | 126.8559071 |
생몰년도 | 1533년~1592년 |
성별 | 남성 |
출생지 | 광주 |
정의 및 개요
주요 활동/업적/저서/작품 등
- 1533년 광주 압보촌(鴨保村)에서 태어났다. 1558년 식년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해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에 임명되었고 공조좌랑, 사헌부 지평, 홍문관 교리를 하다가 1563년에 이량(李樑)사건으로 울산군수로 좌천된 후 파직되었다.
- 이후 고향에 돌아와 18년간 지내다가 1581년(선조 14) 영암군수로 임명되었고, 종계변무주청사 김계휘(金繼輝)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 이어서 서산군수, 한산군수, 성균관사예(成均館司藝), 순창군수(1588년), 승문원판교(1590년)을 하였고, 1591년에 동래부사를 하다가 서인(西人)이 실각하자 파직되어 고향으로 돌아왔다.
- 시서화에 모두 뛰어났으며, 특히 그의 시는 높은 문학적 평가를 받으며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저서로는 시문집 『제봉집』, 무등산 기행문 「유서석록(遊瑞石錄)」, 각처에 보낸 격문을 모은 『정기록(正氣錄)』 등이 있다.
지역/사건/단체 내 역할 또는 영향력
-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담양에서 6,000여 명의 임진왜란 호남 의병을 이끌고 북상하다가 7월 10일에 충남 금산(錦山)에서 왜군에 맞서 싸우다가 둘째 아들 고인후(高因厚), 부장 유팽로·안영과 함께 전사하였다.
- 1593년 6월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큰 아들 고종후(高從厚)도 사망하여 3부자가 의병으로 순절하였다.
- 의정부좌찬성에 추증되었고, 광주의 포충사(褒忠祠), 금산의 성곡서원(星谷書院)·종용사(從容祠), 순창의 화산서원(花山書院)에 배향되었다.
관련 항목
의미관계망
이미지
지도
참고자료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Remark(Note) |
---|---|---|---|---|
고경명 | 고종후 | hasSon | 장남 | |
고경명 | 고인후 | hasSon | 차남 | |
고경명 | 고용후 | hasSon | 막내아들 | |
고경명 | 포충사 | isEnshrinedIn | 배향 사원 | |
고경명 | 마상격문 | creator | 의병을 모으기 위해 지은 격문 | |
고경명 | 제봉로 | isRelatedTo | 제봉 고경명을 기리기 위해 고경명의 호로 도로명 주소를 짓다. | |
고경명 | 임진왜란 호남 의병 | leads | 임진왜란 당시 호남 의병장 | |
유서석록 | 고경명 | creator | 고경명이 지은 글 | |
정기록 | 고경명 | creator | 고경명이 지은 글 | |
정기록 | 제봉집 | isPartOf | 문집에 실린 글 | |
유서석록 | 제봉집 | isPartOf | 문집에 실린 글 | |
제봉문집목판 | 제봉집 | isRelatedTo | 문집제작 목판 | |
제봉문집목판 | 포충사 | currentLocation | 문집제작 목판 보관소 | |
제봉집 | 고경명 | creator | 고경명의 문집 | |
제봉집 | 고용후 | publisher | 제봉집 간행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