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경명

From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Jump to: navigation, search
고경명

기본 정보

이름 고경명
한자명 高敬命
위도(latitude) 35.15008220000001
경도(longitude) 126.8559071
생몰년도 1533년~1592년
성별 남성
출생지 광주





정의 및 개요

  • 고경명(高敬命, 1533~1592)은 조선 전기의 문인이자 임진왜란 당시 금산전투에서 순절한 의병장으로, 자는 이순(而順) 호는 제봉(霽峰) 시호는 충렬(忠烈)이다.


주요 활동/업적/저서/작품 등

  • 1533년 광주 압보촌(鴨保村)에서 태어났다. 1558년 식년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해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에 임명되었고 공조좌랑, 사헌부 지평, 홍문관 교리를 하다가 1563년에 이량(李樑)사건으로 울산군수로 좌천된 후 파직되었다.
  • 이후 고향에 돌아와 18년간 지내다가 1581년(선조 14) 영암군수로 임명되었고, 종계변무주청사 김계휘(金繼輝)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 이어서 서산군수, 한산군수, 성균관사예(成均館司藝), 순창군수(1588년), 승문원판교(1590년)을 하였고, 1591년에 동래부사를 하다가 서인(西人)이 실각하자 파직되어 고향으로 돌아왔다.
  • 시서화에 모두 뛰어났으며, 특히 그의 시는 높은 문학적 평가를 받으며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저서로는 시문집 『제봉집』, 무등산 기행문 「유서석록(遊瑞石錄)」, 각처에 보낸 격문을 모은 『정기록(正氣錄)』 등이 있다.


지역/사건/단체 내 역할 또는 영향력

  •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담양에서 6,000여 명의 임진왜란 호남 의병을 이끌고 북상하다가 7월 10일에 충남 금산(錦山)에서 왜군에 맞서 싸우다가 둘째 아들 고인후(高因厚), 부장 유팽로·안영과 함께 전사하였다.
  • 1593년 6월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큰 아들 고종후(高從厚)도 사망하여 3부자가 의병으로 순절하였다.
  • 의정부좌찬성에 추증되었고, 광주의 포충사(褒忠祠), 금산의 성곡서원(星谷書院)·종용사(從容祠), 순창의 화산서원(花山書院)에 배향되었다.

관련 항목




의미관계망



이미지

틀:이미지스와이퍼

지도



참고자료

Type Resource Title/Index URL
웹리소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고경명(高敬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3297
웹리소스 두산백과 고경명[高敬命,1533~1592]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15423
웹리소스 한국일보 외앗날 혹은 붕어섬… 구름바위 마을의 추억을 더듬는 길 (2022-07-06, 최흥수 기자)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2070510590000868?did=NA
이미지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유서석록 http://digerati.aks.ac.kr/DhLab/2022/gwangju/image/이재열/유서석록.jpg
이미지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정기록과 제봉수초격문 http://digerati.aks.ac.kr/DhLab/2022/gwangju/image/이재열/정기록과_제봉수초격문.jpg
이미지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포충사 사당 http://digerati.aks.ac.kr/DhLab/2022/gwangju/image/이재열/포충사_사당.jpg
이미지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제봉유묵 http://digerati.aks.ac.kr/DhLab/2022/gwangju/image/이재열/제봉유묵.jpg
이미지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고경명 초상 http://digerati.aks.ac.kr/DhLab/2022/gwangju/image/이재열/고경명_초상.jpg
간행물 논문 김미선, 「조선시대 기행일기의 문학교육적 활용」, 『동아인문학』 52, 동아인문학회, 2020.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30310
간행물 논문 권순열, 「霽峯 高敬命의 使行詩 硏究」, 『한국시가문화연구』 26, 한국시가문화학회, 2010.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478467
간행물 논문 황수정, 「고경명 제화시의 의경과 미적 특질」, 『한국한시연구』 20, 한국한시학회, 2012.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06670
간행물 논문 황수정, 「고경명의 「應製御屛六十二詠」 연구」, 『한국언어문학』 90, 한국언어문학회, 2014.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12019
간행물 논문 변종현, 「고경명 한시의 풍격 연구」, 『동양학』 37,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05.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0944628
간행물 논문 황수정, 「高敬命의 醉詩 硏究」, 『동아인문학』 24, 동아인문학회, 2013.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67762
간행물 논문 이향준, 「호남 지역 유배-지식인의 몇 가지 양상」, 『호남학』 vol.1, no.43,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08.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301243
간행물 논문 탁현숙, 「제봉(霽峯)의 <유서석록(遊瑞石錄)> 서술특성」, 『인문학연구』 46,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98961
간행물 논문 김대현, 「조선전기 ‘무등산권 赤壁’ 공간의 문학작품 연구」, 『한국시가문화연구』 34, 한국시가문화학회, 2014.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10429
간행물 단행본 박은숙, 『고경명 시 연구』, 집문당, 1999. https://www.google.com/search?q=9788930306935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Remark(Note)
고경명 고종후 hasSon 장남
고경명 고인후 hasSon 차남
고경명 고용후 hasSon 막내아들
고경명 포충사 isEnshrinedIn 배향 사원
고경명 마상격문 creator 의병을 모으기 위해 지은 격문
고경명 제봉로 isRelatedTo 제봉 고경명을 기리기 위해 고경명의 호로 도로명 주소를 짓다.
고경명 임진왜란 호남 의병 leads 임진왜란 당시 호남 의병장
유서석록 고경명 creator 고경명이 지은 글
정기록 고경명 creator 고경명이 지은 글
정기록 제봉집 isPartOf 문집에 실린 글
유서석록 제봉집 isPartOf 문집에 실린 글
제봉문집목판 제봉집 isRelatedTo 문집제작 목판
제봉문집목판 포충사 currentLocation 문집제작 목판 보관소
제봉집 고경명 creator 고경명의 문집
제봉집 고용후 publisher 제봉집 간행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