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림숲"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 광주_태봉산은 광주시 북구 신안동 121번지 일대에 있었던 산이다. 높이 약 50m, 면적 약 3천평 정도의...) |
(→Contextual Relation(Semantic Network Graph)) |
||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2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__NOTOC__ | __NOTOC__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 [[ | + | * [[유림숲|유림숲]]은 옛날 광주읍성의 북문 쪽(현 [[충장로]] 5가와 [[광주제일고등학교]] 인근)에서 현재의 누문동, 유동, 임동을 거쳐 [[무등경기장]] 정문 쪽까지 이어져 있던 울창한 숲과 숲길을 말한다. |
− | + | *조선 후기에 조성된 인공숲으로 추측되며, 300여 년간 광주를 숲의 고을로 지켜왔으나 1968년에 시가지 정비 계획이 추진되면서 모두 사라졌다. [[광주_태봉산]] , [[경양방죽]]과 같은 시기에 없어졌다. | |
− | + | *조선은 하천의 범람을 막기 위해 둑을 쌓은 후 거기에 숲을 만들었는데, 유림숲도 그 중의 하나이다. 이 숲들은 수해를 방지하는 기능과 함께 바람도 막아주고 전시에는 수비를 용이하게 해주는 역할까지 해주었다. 광주 사람들은 가뭄이 들면 이 숲에서 기우제를 지냈으며, 광주에서 행여나 좋은 기운이 빠져 나가는 것을 유림숲이 막아준다고 믿었다. 처음에는 숲의 이름처럼 버드나무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세월이 흐르면서 나무의 종류도 80여 종으로 차차 다양해지고 규모도 울창해졌다. | |
− | * | + | *옛날에는 광주에서 한양으로 올라갈 때 이 길을 거쳐 장성을 지나 상경하였고, 반대로 한양에서 광주읍성으로 들어올 때는 반드시 이 숲 길을 지나야 했다. 광주에 부임한 지방 수령들은 여기에서 사슴, 꿩, 호랑이 등을 사냥하기도 했는데, 입을 모아 유림숲의 아름다움과 풍성함을 칭송했다고 한다. |
− | * | + | *유림숲이 사라진 자리에는 도로, 병원, 학교, 공장 시설, 주택가 등이 들어섰고, 현재는 [[유동]], [[임동]] 등 동네 이름에서만 그 흔적을 엿볼 수 있다. |
− | * | ||
− | |||
− | |||
==Semantic Data== | ==Semantic Data== | ||
15번째 줄: | 12번째 줄: | ||
! style="width: 100px" | id||class||groupName||partName||label||hangeul||hanja||english||infoUrl||iconUrl | ! style="width: 100px" | id||class||groupName||partName||label||hangeul||hanja||english||infoUrl||iconUrl | ||
|- | |- | ||
− | |[[ | + | |[[유림숲 ]]|| Place ||자연|| 숲 || 유림숲(柳林) )||유림숲|||柳林 || Willow Forest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유림숲 ||http://gjarchive.kr/photo-archives/view/collections/photo/cp0504/1917-cp0504-0427.jpg |
|- | |- | ||
|} | |} | ||
23번째 줄: | 20번째 줄: | ||
!source||target||relation||attribute | !source||target||relation||attribute | ||
|- | |- | ||
− | |[[ | + | |[[유림숲]]||[[유동]]|| || 동네 이름의 유래 |
|- | |- | ||
− | |[[ | + | |[[유림숲]]||[[임동]]|| || 동네 이름의 유래 |
|- | |- | ||
− | |[[ | + | |[[유림숲]]||[[버드리]]|| || 유림숲길의 별칭 |
|- | |- | ||
− | |[[ | + | |[[유림숲]]||[[버드나무]]|| || 주류 수목 |
|- | |- | ||
− | |[[ | + | |[[유림숲]]||[[공북문]]|| || 숲의 시작점 |
|- | |- | ||
− | |[[ | + | |[[유림숲]]||[[제방림]]|| || 숲 조성 목적 |
|- | |- | ||
− | |[[ | + | |[[유림숲]]||[[송종면]]|| ||1900년대 유림숲 보존 주장한 광주군수 |
|- | |- | ||
− | |[[ | + | |[[유림숲]]|| [[입탑보]] || || 관련 수리 시설 |
|- | |- | ||
− | |[[ | + | |[[유림숲]]||[[조정만]]|| || 1708년 광주목사, 숲에서의 사냥 과정을 시로 씀 |
|- | |- | ||
− | |[[ | + | |[[유림숲]]||[[양경지]]|| || 유림숲에서의 사냥을 시로 씀 |
|- | |- | ||
− | |[[ | + | |[[유림숲]]||[[광주_태봉산]] || || 같은 시기에 없어짐 |
|- | |- | ||
− | |[[ | + | |[[유림숲]]||[[경양방죽]]|| || 같은 시기에 없어짐 |
|- | |- | ||
− | |[[ | + | |} |
+ | ===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source||target||relation | ||
+ | |- | ||
+ | |[[유림숲]]||[[1968년_광주_시가지_정비 ]]||isVictimOf | ||
+ | |- | ||
+ | |[[유림숲]]||[[광주읍성_공북문]]||isPreviouslySituatedOn | ||
|- | |- | ||
− | |[[ | + | |[[유림숲]]||[[송종면]]||isRelatedTo |
|- | |- | ||
− | |[[ | + | |[[유림숲]]||[[시_柳林藪觀獵次杜工部冬狩行韻寄雪岳山人要和戊子]]||isDepictedIn |
|- | |- | ||
− | |[[ | + | |[[유림숲]]||[[시_次趙光州柳林觀獵韻]]||isDepictedIn |
|- | |- | ||
− | |[[ | + | |[[유림숲]]||[[제방림]]||type |
|- | |- | ||
− | |[[ | + | |[[유동]]||[[유림숲]]||isNamedAfter |
|- | |- | ||
− | |[[ | + | |[[임동]]||[[유림숲]]||isNamedAfter |
|- | |- | ||
− | |[[ | + | |[[입탑보]]||[[유림숲]]||isPreviouslySituatedOn |
|- | |- | ||
− | |[[광주_태봉산]]||[[ | + | |[[경양방죽]]||[[1968년_광주_시가지_정비 ]]||isVictimOf |
+ | |- | ||
+ | |[[광주_태봉산]]||[[1968년_광주_시가지_정비 ]]||isVictimOf | ||
+ | |- | ||
+ | |[[시_柳林藪觀獵次杜工部冬狩行韻寄雪岳山人要和戊子]]||[[조정만]]||creator | ||
+ | |- | ||
+ | |[[시_次趙光州柳林觀獵韻]]||[[양경지]]||creator | ||
|- | |- | ||
|} | |} | ||
69번째 줄: | 79번째 줄: | ||
== Spatial Data == | == Spatial Data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id|| | + | ! id || latitude || longitude || address |
|- | |- | ||
− | | | + | |유림숲||35.159720 ||126.900750 || 광주광역시 북구 태봉로, 서림로 인근 |
|- | |- | ||
− | |}{{구글지도 | 위도=35. | + | |}{{구글지도 | 위도=35.159720 | 경도= 126.900750 |줌=16}} |
==Web Resource== | ==Web Resource== | ||
79번째 줄: | 89번째 줄: | ||
!type||resource||title||description||url | !type||resource||title||description||url | ||
|- | |- | ||
− | |해설||광주광역시 시청각자료실|| | + | |해설||광주광역시 시청각자료실||유림숲 |||| http://gjarchive.kr/cp05/3716 |
|- | |- | ||
− | |해설||광주광역시 서구 문화원 빛고을 문화 || | + | |해설||광주광역시 서구 문화원 빛고을 문화 ||유림숲 |||| http://www.gjsgcc.or.kr/ko/60?query=유림숲 |
|- | |- | ||
− | |해설 || 광주역사문화자원 스토리텔링 || | + | |해설 || 광주역사문화자원 스토리텔링 ||유림숲 |||| http://gjstory.or.kr/sub.html?pid=115 |
|- | |- | ||
− | |참고|| | + | |참고||광주드림 || [광주갈피갈피] '유동,'임동' 지명만 남기고 숲은 사라져(2004-11-30, 조광철 학예연구사-현재 광주역사민속박물관 학예연구실장) ||||http://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331879 |
|- | |- | ||
− | |참고||광주드림 || [광주갈피갈피] | + | |참고||광주드림|| [광주갈피갈피] 버드나무 울창했던 유림숲(2007-04-08, 조광철)||||http://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363097 |
|- | |- | ||
− | |참고||광주드림|| [ | + | |참고||광주드림 || [풍경+생각] 유림숲을 꿈꾼다.(2008-08-11, 조선 기자) |||| http://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388877 |
|- | |- | ||
− | |참고||광주드림 || [광주갈피갈피] | + | |참고||광주드림 || [광주갈피갈피] 아득한 얘기로 전해지는 숲(2009-08-12, 조광철) |||| http://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406941 |
|- | |- | ||
− | |참고||광주드림 || [광주갈피갈피] | + | |참고||광주드림 || [광주갈피갈피] 광주도 '관방제림'같은 숲이 있었다.(2012-05-22, 조광철) |||| http://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439688 |
|- | |- | ||
− | |참고||광주드림 || [광주갈피갈피] | + | |참고||광주드림 || [광주갈피갈피] "광주 원님 어디를 가나 입만 뻥긋하면 유림숲 자랑"(2022-05-11, 조광철) |||| http://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614500 |
− | |||
− | |||
|- | |- | ||
|} | |} | ||
105번째 줄: | 113번째 줄: | ||
!type||bibliographic_index||online_resource||url | !type||bibliographic_index||online_resource||url | ||
|- | |- | ||
− | | | + | |단행본||박선홍, 『광주 1백년』1, 개화기 이후 광주의 삶과 풍속, 광주광역시 광주문화재단 심미안, 2012.||Riss|| http://www.riss.kr/link?id=M13024305 |
|- | |- | ||
− | |단행본|| | + | |단행본||정운채, 조광철, 정기진, 주인택, 김형주, 김지현, 『光州 : 사진으로 만나는 도시 光州의 어제와 오늘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2007.|| Riss ||http://www.riss.kr/link?id=M11195880 |
− | |||
|- | |- | ||
|} | |} | ||
114번째 줄: | 121번째 줄: | ||
== Notes == | == Notes ==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분류:Place]][[분류: 김윤희]] | + | |
+ | ==Semantic Network Graph== | ||
+ | |||
+ | <html> | ||
+ | <iframe width="90%" height="4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gwangju&project=gwangju&key=유림숲"></iframe> | ||
+ | <br/>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gwangju&project=gwangju&key=유림숲'"> | ||
+ | </html> | ||
+ | |||
+ | [[분류:Place]][[분류: 김윤희]][[분류:가]] |
2023년 1월 8일 (일) 15:57 기준 최신판
Definition
- 유림숲은 옛날 광주읍성의 북문 쪽(현 충장로 5가와 광주제일고등학교 인근)에서 현재의 누문동, 유동, 임동을 거쳐 무등경기장 정문 쪽까지 이어져 있던 울창한 숲과 숲길을 말한다.
- 조선 후기에 조성된 인공숲으로 추측되며, 300여 년간 광주를 숲의 고을로 지켜왔으나 1968년에 시가지 정비 계획이 추진되면서 모두 사라졌다. 광주_태봉산 , 경양방죽과 같은 시기에 없어졌다.
- 조선은 하천의 범람을 막기 위해 둑을 쌓은 후 거기에 숲을 만들었는데, 유림숲도 그 중의 하나이다. 이 숲들은 수해를 방지하는 기능과 함께 바람도 막아주고 전시에는 수비를 용이하게 해주는 역할까지 해주었다. 광주 사람들은 가뭄이 들면 이 숲에서 기우제를 지냈으며, 광주에서 행여나 좋은 기운이 빠져 나가는 것을 유림숲이 막아준다고 믿었다. 처음에는 숲의 이름처럼 버드나무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세월이 흐르면서 나무의 종류도 80여 종으로 차차 다양해지고 규모도 울창해졌다.
- 옛날에는 광주에서 한양으로 올라갈 때 이 길을 거쳐 장성을 지나 상경하였고, 반대로 한양에서 광주읍성으로 들어올 때는 반드시 이 숲 길을 지나야 했다. 광주에 부임한 지방 수령들은 여기에서 사슴, 꿩, 호랑이 등을 사냥하기도 했는데, 입을 모아 유림숲의 아름다움과 풍성함을 칭송했다고 한다.
- 유림숲이 사라진 자리에는 도로, 병원, 학교, 공장 시설, 주택가 등이 들어섰고, 현재는 유동, 임동 등 동네 이름에서만 그 흔적을 엿볼 수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유림숲 | Place | 자연 | 숲 | 유림숲(柳林) ) | 유림숲 | 柳林 | Willow Forest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유림숲 | http://gjarchive.kr/photo-archives/view/collections/photo/cp0504/1917-cp0504-0427.jpg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유림숲 | 유동 | 동네 이름의 유래 | |
유림숲 | 임동 | 동네 이름의 유래 | |
유림숲 | 버드리 | 유림숲길의 별칭 | |
유림숲 | 버드나무 | 주류 수목 | |
유림숲 | 공북문 | 숲의 시작점 | |
유림숲 | 제방림 | 숲 조성 목적 | |
유림숲 | 송종면 | 1900년대 유림숲 보존 주장한 광주군수 | |
유림숲 | 입탑보 | 관련 수리 시설 | |
유림숲 | 조정만 | 1708년 광주목사, 숲에서의 사냥 과정을 시로 씀 | |
유림숲 | 양경지 | 유림숲에서의 사냥을 시로 씀 | |
유림숲 | 광주_태봉산 | 같은 시기에 없어짐 | |
유림숲 | 경양방죽 | 같은 시기에 없어짐 |
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source | target | relation |
---|---|---|
유림숲 | 1968년_광주_시가지_정비 | isVictimOf |
유림숲 | 광주읍성_공북문 | isPreviouslySituatedOn |
유림숲 | 송종면 | isRelatedTo |
유림숲 | 시_柳林藪觀獵次杜工部冬狩行韻寄雪岳山人要和戊子 | isDepictedIn |
유림숲 | 시_次趙光州柳林觀獵韻 | isDepictedIn |
유림숲 | 제방림 | type |
유동 | 유림숲 | isNamedAfter |
임동 | 유림숲 | isNamedAfter |
입탑보 | 유림숲 | isPreviouslySituatedOn |
경양방죽 | 1968년_광주_시가지_정비 | isVictimOf |
광주_태봉산 | 1968년_광주_시가지_정비 | isVictimOf |
시_柳林藪觀獵次杜工部冬狩行韻寄雪岳山人要和戊子 | 조정만 | creator |
시_次趙光州柳林觀獵韻 | 양경지 | creator |
Spatial Data
id | latitude | longitude | address |
---|---|---|---|
유림숲 | 35.159720 | 126.900750 | 광주광역시 북구 태봉로, 서림로 인근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 | url |
---|---|---|---|---|
해설 | 광주광역시 시청각자료실 | 유림숲 | http://gjarchive.kr/cp05/3716 | |
해설 | 광주광역시 서구 문화원 빛고을 문화 | 유림숲 | http://www.gjsgcc.or.kr/ko/60?query=유림숲 | |
해설 | 광주역사문화자원 스토리텔링 | 유림숲 | http://gjstory.or.kr/sub.html?pid=115 | |
참고 | 광주드림 | [광주갈피갈피] '유동,'임동' 지명만 남기고 숲은 사라져(2004-11-30, 조광철 학예연구사-현재 광주역사민속박물관 학예연구실장) | http://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331879 | |
참고 | 광주드림 | [광주갈피갈피] 버드나무 울창했던 유림숲(2007-04-08, 조광철) | http://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363097 | |
참고 | 광주드림 | [풍경+생각] 유림숲을 꿈꾼다.(2008-08-11, 조선 기자) | http://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388877 | |
참고 | 광주드림 | [광주갈피갈피] 아득한 얘기로 전해지는 숲(2009-08-12, 조광철) | http://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406941 | |
참고 | 광주드림 | [광주갈피갈피] 광주도 '관방제림'같은 숲이 있었다.(2012-05-22, 조광철) | http://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439688 | |
참고 | 광주드림 | [광주갈피갈피] "광주 원님 어디를 가나 입만 뻥긋하면 유림숲 자랑"(2022-05-11, 조광철) | http://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614500 |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_index | online_resource | url |
---|---|---|---|
단행본 | 박선홍, 『광주 1백년』1, 개화기 이후 광주의 삶과 풍속, 광주광역시 광주문화재단 심미안, 2012. | Riss | http://www.riss.kr/link?id=M13024305 |
단행본 | 정운채, 조광철, 정기진, 주인택, 김형주, 김지현, 『光州 : 사진으로 만나는 도시 光州의 어제와 오늘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2007. | Riss | http://www.riss.kr/link?id=M11195880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