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교음(連翹飮)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연교음 |
한글표제 | 연교음 |
한자표제 | 連翹飮 |
상위어 | 의학(醫學) |
하위어 | 감초(甘草), 구맥(瞿麥), 당귀(當歸), 등심(燈心), 목통(木通), 맥문동(麥門冬), 방풍(防風), 생건지황(生乾地黃), 악실(惡實), 연교(連翹), 적작약(赤芍藥), 천궁(川芎), 천화분(天花粉), 치자(梔子), 형개(荊芥), 황금(黃芩) |
관련어 | 발열(發熱) |
분야 | 문화/의학·약학/처방 |
유형 | 약 |
집필자 | 김남일 |
약재 | 연교(連翹), 적작약(赤芍藥), 당귀(當歸), 형개(荊芥), 방풍(防風), 악실(惡實), 천궁(川芎), 치자(梔子), 황금(黃芩), 구맥(瞿麥), 목통(木通), 생건지황(生乾地黃), 천화분(天花粉), 맥문동(麥門冬), 감초(甘草), 등심(燈心) |
약효 | 악창(惡瘡)으로 인해 전신이 가렵고 아픈 것. 혈풍창(血風瘡) 등을 치료함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연교음(連翹飮)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정조실록』 18년 7월 23일, 『정조실록』 18년 7월 24일 |
연교, 적작약, 당귀 등으로 이루어져, 악창으로 온몸이 아프고 가려운 것과 혈풍창 등을 치료하는 처방.
개설
연교음(連翹飮)은 연교(連翹)·적작약(赤芍藥)·당귀(當歸)·형개(荊芥)·방풍(防風)·약실(惡實)·천궁(川芎)·치자(梔子)·황금(黃芩)·구맥(瞿麥)·목통(木通)·생건지황(生乾地黃)·천화분(天花粉)·맥문동(麥門冬)·감초(甘草) 각 7푼에 등심(燈心) 한 덩이를 넣고 달인다.
『유증활인서』에서 제시한 연교음은 소아의 모든 열병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연교·방풍·치자·구운 감초를 각각 같은 양으로 가루를 만들어, 매회 2돈을 물로 달여 찌꺼기를 제거하고 복용한다.
『증치준승』에는 종기[癰腫]나 부스럼[瘡癤]을 치료하는 처방으로 나온다. 연교(連翹)·방풍(防風) 각 3냥, 제니(薺苨)·백작약(白芍藥)·황금·현삼(玄蔘) 각 2냥, 인삼(人蔘)·복령(茯苓)·볶은 길경(桔梗)·전호(前胡)·구운 감초 각 1냥, 날 황기(黃芪) 4냥, 볶은 상근백피(桑根白皮) 1.5냥을 가루로 만들어, 매회 5돈을 물로 달여 찌꺼기를 제거하고, 하루 2번 복용한다.
『조선왕조실록』에 보면, 정조대에 내의원 제조가 왕을 접견하여 가미한 연교음을 올렸다(『정조실록』 18년 7월 23일) (『정조실록』 18년 7월 24일). 『승정원일기』에는 이 외에도 1793년(정조 17) 6월 28일을 비롯하여 효종, 영조 시기에 여러 차례 연교음과 관련된 기록이 있다. 『일성록』에는 1794년(정조 18)에 가미한 연교음을 진어하였다고 나와 있다.
제조법
연교(連翹)·적작약(赤芍藥)·당귀(當歸)·형개(荊芥)·방풍(防風)·약실(惡實)·천궁(川芎)·치자(梔子)·황금(黃芩)·구맥(瞿麥)·목통(木通)·생건지황(生乾地黃)·천화분(天花粉)·맥문동(麥門冬)·감초(甘草) 각 7푼에 등심(燈心) 한 덩이를 넣고 달인다.
효능
악창(惡瘡)으로 온몸이 아프고 가려운 것, 혈풍창(血風瘡)을 치료한다.
참고문헌
- 『동의보감(東醫寶鑑)』
- 『방약합편(方藥合編)』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일성록(日省錄)』
- 東洋醫學大辭典編纂委員會 編, 『東洋醫學大辭典』, 慶熙大學校出版局, 1999.
- 万友生 外, 『中医方劑大辭典』, 永信文化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