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항(姜沆)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총론

[1567년(명종22)~1618년(광해군10) = 52세]. 조선 중기 선조(宣祖) 때 활동한 문신, 일본에 퇴계학(退溪學)을 전파한 유학자. 자는 태초(太初), 호는 수은(睡隱)이다. 본관은 진주(晉州)인데, 좌찬성강희맹(姜希孟)의 아들 강학손(姜鶴孫)이 전라도 영광(靈光)으로 귀양 갔기 때문에, 그 자손들이 그 곳에서 일가를 이루고 살게 되었다. 그는 강학손의 현손(玄孫)이고, 우계(羽溪)성혼(成渾)의 문인이다.

선조 초기의 활동

1567년(명종22) 전라도 영광군(靈光郡) 남쪽 불갑산(佛甲山) 유봉리(流峰里)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자질이 특이하고 기억력이 남달리 뛰어나서 스스로 학문을 할 줄 알았으므로 남이 번거롭게 가르칠 필요가 없었다. 중형 강준(姜濬)에게 글을 배웠는데, 강준은 율곡(栗谷)이이(李珥)의 문인이었다. 1588년(선조21) 진사시(進士試)에 2등으로 합격하였으나, 1591년(선조24) 신묘사화(辛卯士禍)가 일어나서 큰 형 강해(姜瀣)가 화를 당하니, 평생 가슴 아프게 생각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군량미와 군기를 모아서 전라도 의병대장 고경명(高敬命)에게 보냈다. 1593년(선조26) 세자[광해군]가 전주(全州)에 머물면서 정시(庭試) 문과를 베풀었는데, 나이 27세로서 병과에 급제하였다.

1594년(선조28) 교서관(校書館)정자(正字)에 분속(分屬)되었다가, 승정원 가주서(仮注書)로서 경연(經筵)의 자리에 입시(入侍)하여 선조를 만나 뵌 적이 있었다. 1595년 성균관(成均館)박사(博士)로 승진하였고, 1596년 봄에 성균관전적(典籍)으로 옮겼으며, 겨울에 공조좌랑에 제수되었다가, 다시 형조좌랑으로 옮겼다.

일본의 포로 생활과 성리학 전파

1597년(선조30) 강항은 휴가를 얻어 고향 영광으로 돌아갔다가, 때마침 정유재란(丁酉再亂)을 만났다. 가족과 함께 배를 타고 섬으로 피난 가다가 왜적 사토(佐渡)의 부하에게 사로잡혀, 영광에서 순천(順天)을 거쳐서 일본이요주(伊豫州) 오쓰성(大津城: 사토의 성)으로 끌려갔다가, 다시 오사카성(大坂城), 후지미성(伏見城: 도요토미의 새 수도)으로 옮겼다. 그곳에서 강항은 일본 승려 순수좌(舜首座)후지와라 세이가(藤原醒窩)와 단마수(但馬守)아카마쓰 히로미치(赤松廣通) 등을 만나서, 주자의 성리학(性理學)과 조선의 퇴계학(退溪學)을 전수하여, 근세 일본 성리학이 퇴계학을 중심으로 발전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순수좌는 일본 성리학의 개조(開祖)로서 유명한 후지와라 세이가인데, 순수좌는 그가 불문(佛門)에 있을 때의 칭호이다. 1600년(선조33) 강항 일행은 순수좌와 아카마쓰의 도움을 받아서 무사히 귀국할 수 있었다.

강항은 귀국 후, 일본에서 3년 동안 포로생활을 하면서 보고들은 것을 기록한 『문견록(聞見錄)』 한 권을 조정에 바쳤는데, 이것이 뒤에 『간양록(看羊錄)』으로 간행되었다. 선조가 이것을 읽고 강항을 서울로 불러 직접 왜적의 실정을 물어보고 말 한 필을 하사하였다.

선조 후기의 은둔생활

강항은 고국에 돌아와서 아버지와 임금을 다시 뵙는 것만으로도, 자기의 뜻과 소원이 모두 이루어졌다고 생각하여, 환란 중에 겪었던 일들을 세상 사람들에게 일일이 말하지 않았다. 또 자신을 죄인이라 자처하고 시골에 숨어서 오직 형제들과 함께 몸소 농사를 지어서 늙은 부모를 봉양하며 생애를 마치고자 했다.

1602년(선조35) 승의랑(丞議郞)대구교수(大丘敎授)에 임명하였으나, 부임하였다가 바로 고향으로 돌아갔다. 1606년(선조39) 회답사(回答使)여우길(呂祐吉) 등이 일본에 갔는데, 일본 사람들이 “강 낭중(姜郎中)이 지금 무슨 벼슬에 있습니까?” 묻고, 강항의 충성과 절개를 높이 평가하였다. 1608년 순천교수(順天敎授)에 임명되었으나 역시 부임하지 않고 향리에서 독서와 후학 양성에만 전념하여, 윤순거(尹舜擧) 등 많은 제자를 길러냈다.

이때 허균(許筠)이 편지를 보내어 그와 손잡기를 간청하였으나 즉시 거절하고 다시는 접촉하지 않았다. 그래서 나중에 허균이 반역죄로 처형을 당할 때 그는 무사할 수 있었다. 1615년(광해군7) 부친상을 당하여 여묘살이를 하다가 건강을 해쳐 1618년(광해군10) 병석에서 끝내 일어나지 못하니, 이때 나이가 52세였다.

저서로는 『간양록(看羊錄)』, 『운제록(雲堤錄)』, 『수은집(睡隱集)』 등이 있다.

성품과 일화

강항은 사람됨이 독실하고 사리에 밝았으며, 순수하고 온화하며 소박하였다. 강항의 문학에 대한 재주는 천부적으로 타고나서, 붓만 대면 문장이 만들어져 도도한 것이 마치 강물이 흐르고 바다가 출렁이는 듯하였다. 아무리 대작이라도 글이 풀어져 나오는 것이 마치 미리 지어 놓은 것 같았으며, 일찍이 초고를 작성한 적이 없었다. 글을 읽는 것도 매우 빨라서 다른 사람들이 한 두 줄도 아직 읽지 않았는데 벌써 책장을 넘기니, 이른바 ‘열 줄을 한꺼번에 읽는 사람[十行俱下者]’이었다. 글씨는 비록 곱게 쓰지 않았지만, 또한 거칠게 쓰지도 않았다. 문집(文集)을 편찬할 때에는 모두 손수 쓰면서 피곤함을 몰랐으며, 얼마 걸리지 않아 책을 만들어 냈다. 강항은 가르치는 것을 자기의 소임으로 삼아서, 날마다 강설(講說)하는 것을 그만두지 않았다. 남부 지방의 선비들 중에서 문장에 이름이 있는 사람들은 거의 강항의 문하에서 배출되었다. 윤순거·윤선거(尹宣擧: 윤휴의 아버지) 형제, 유계(兪棨) 등이 모두 그의 문인이다. 이로 말미암아 날마다 제자들과 수창하고 화답한 글들이 많이 흩어져 없어지고 수습하지 못하였는데, 『운제록(雲堤錄)』 몇 권은 집안사람들이 수집한 것이다. 또 『건차록(巾車錄)』 1종은 난리 중에 기록한 책이며, 『강감회요(綱鑑會要)』, 『좌씨정화(左氏精華)』, 『문선찬주(文選纂註)』 몇 종은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해 편찬한 책들이다.

묘소와 제향

묘소는 전라도 영광군 불갑산 유봉(酉峰)의 산기슭에 있는데, 그의 제자 윤순거가 지은 행장이 있다. 전라도 영광군 용계사(龍溪祠)와 내산서원(內山書院)에 제향되었고, 일본의 효고현(兵庫縣)에 있는 류노(龍野) 성주 아카마쓰 히로마치 기념비에 그 이름이 새겨져 있다.

관력, 행적

참고문헌

  • 『선조실록(宣祖實錄)』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수은집(睡隱集)』
  • 『간양록(看羊錄)』
  • 『금계집(錦溪集)』
  • 『난중잡록(亂中雜錄)』
  • 『석주집(石洲集)』
  • 『해상록(海上錄)』
  • 『해사일기(海槎日記)』
  • 『동사강목(東史綱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