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명(玄冥)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2:13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오행(五行) 중 수(水)를 다스리고, 겨울과 북쪽을 주관하는 신령.

개설

현명은 오행 중 수를 관리하는 신령이기 때문에 ‘수정(水正)’으로 별칭되었는데, 이때 ‘정(正)’은 관장(官長)을 의미하였다. 또한, 추위를 다스리기 때문에 ‘사한(司寒)’으로도 불렸다. 조선시대에 국가 제례로 편입되어 중사(中祀)인 우사(雩祀)의 여섯 신령, 즉 구망(句芒)·축융(祝融)·욕수(蕨收)·현명(玄冥)·후토(后土)·후직(后稷) 가운데 하나로서 강우를 기원하면서 올리는 제례 및 소사(小祀)인 사한 제례의 봉행 대상이 되었다.

내용

현명의 연원에 대해서는 몇 가지 설이 전해지는데, 그중 하나는 현명은 본래 백제(白帝) 소호씨(少皥氏)의 네 아들, 즉 중(重)·해(該)·수(脩)·희(熙) 중에서 수와 희로서, 인간의 얼굴에 새의 몸을 하였고[人面鳥身], 양쪽 귀, 그리고 두 발 아래에 두 마리의 푸른 뱀이 매달려 있으며, 머리 두 개 달린 용을 타고 다니는 신묘하고도 괴이한 인물이었다는 설이다. 수와 겨울을 다스리는 상제인 전욱(顓頊)을 보좌하여 공덕을 쌓았고, 그 공로를 인정받아 겨울과 수의 신령으로 승격되고 제향 대상이 되었다고 한다. 소호씨는 오제(五帝)의 첫 번째 군주인 황제(黃帝)의 아들로서 동이족(東夷族)의 시조라고도 전해진다. 다른 설에 의하면 오제의 세 번째 군주인 제곡(帝嚳)을 보좌하는 오행관(五行官)의 하나로서 수와 겨울·북쪽을 다스렸고, 그로 인해 수정으로 칭해지게 되었다고 한다. 제곡을 보좌한 오행관은 현명 외에도, 목(木)과 봄·동쪽을 다스리는 관리인 목정(木正) 구망, 화(火)와 여름·남쪽을 다스리는 관리인 화정(火正) 축융, 금(金)과 가을·서쪽을 다스리는 관리인 금정(金正) 욕수, 토(土)와 중앙을 다스리는 관리인 토정(土正) 후토 등이었다.

조선초기에 국가 제례 체계를 대대적으로 정비하는 과정에서, 이들 오정(五正)은 오곡(五穀)의 신인 후직과 함께 강우를 기원하며 올리는 우사 제례의 봉행 대상이 되었다. 또한 현명은 사한 제례의 봉행 대상이기도 하였다. 관련 의례로는 ‘우사의(雩祀儀)’, ‘친향우사단기우의(親享雩社壇祈雨儀)’, ‘우사단기우의(雩祀壇祈雨儀)’, ‘향사한의(享司寒儀)’ 등이 있다.

참고문헌

  •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例)』
  • 『예기(禮記)』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