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직역(史直驛)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10일 (일) 01:46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강원도의 도로망인 평릉도에 속한 역으로, 오늘날의 강원도 삼척시 사직동에 위치해 있었음.

개설

고려시대에는 성종에서 문종 연간에 역로(驛路)를 22역도(驛道)-525속역(屬驛) 체제로 정비하였는데, 이때 사직역(史直驛)은 명주도(溟州道)에 속한 삼척에 위치해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세조 때 역로를 41역도-543속역 체제로 개편하는 과정에서 평릉도(平陵道)를 구성하는 역의 하나가 되었고, 이후 갑오개혁 때까지 존속하였다.

설립 경위 및 목적

『고려사(高麗史)』 참역(站驛) 조에 따르면 사직역은 고려시대부터 강원도 삼척 지역에 설치되어 있었는데, 명주도에 소속된 28개소의 역 가운데 하나였다. 정확한 설치 시기는 알 수 없지만, 995년(고려 성종 14)에서 1067년(고려 문종 21) 사이에 역제(驛制)를 22역도-525속역 체제로 정비하는 과정에서 명주도에 소속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는 세종대에 전국적인 역도-역로 조직이 마련되면서 평릉역(平陵驛)·교가역(交可驛) 등과 함께 강원도의 역도(驛道)인 평릉도에 속했다.

조직 및 역할

영조 때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삼척 편에 따르면, 사직역에는 대마(大馬) 1필, 기마(騎馬) 1필, 복마(卜馬) 8필, 역리(驛吏) 21명, 역노(驛奴) 25명, 역비(驛婢) 6명이 배정되어 있었다. 또한 58결(結) 68부(負) 6속(束)의 역원전(驛院田)이 딸려 있었다.

변천

1462년(세조 8)에 병조의 건의에 따라 각 도의 역참을 파하고 역로를 정비하여 찰방(察訪)역승(驛丞)을 두었는데, 사직역은 평릉역(平陵驛)을 비롯한 14개소의 역과 함께 평릉도 역승에 포함되었다(『세조실록』 8년 8월 5일). 그런데 강원도의 역들은 역 사이의 거리가 매우 멀어서, 사직역도 가장 가까운 역인 임계역(臨溪驛)과의 거리가 80여 리나 되었다고 한다. 그리하여 1470년(성종 1)에는 관역(館驛)을 더 설치하자는 강원도관찰사예승석(芮承錫)의 건의에 따라 사직역과 임계역 사이에 1개의 역을 추가로 설치하였다(『성종실록』 1년 7월 9일). 조선후기까지 사직역은 평릉도에 속한 역의 하나로 존속하다가, 1896년(건양 1) 1월에 대한제국 칙령(勅令)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관한 건’에 따라 폐지되었다.

사직역은 다른 회화식 지도에는 역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군사 요지인 관방(關防) 과 전국의 군현을 총 6책으로 나누어 그린 회화식 지도책인 『지승(地乘)』에는 ‘사직고(史直庫)’로 표기되어 있다. 사직역은 삼척도호부에서 남쪽으로 3리 거리에 있었는데, 오늘날의 위치로는 강원도 삼척시 사직동에 해당한다.

한편, 『관동지(關東誌)』에서는 사직역의 ‘사직’을 가리켜 옛날 실직국(悉直國)의 방언으로, ‘실직’이 ‘사직’보다 먼저 쓰였다고 설명하였다. 또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삼척도호부 편에는, 삼척도호부는 옛 실직국인데 ‘사직’은 곧 ‘실직’이 방언으로 변한 것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실직국은 실직곡국(悉直谷國) 혹은 실직(悉直)이라 불린 부족 국가로,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지만 삼국시대 이전부터 삼척 지역에 있다가 파사왕(婆娑王)대에 신라에 합병되었다. 이 ‘실직’이라는 방언이 와전되면서 ‘사직’이 되었으며, 오늘날의 사직동이라는 지명도 여기에서 유래한 것이다.

참고문헌

  • 『삼국사기(三國史記)』
  • 『고려사(高麗史)』
  • 『여지도서(輿地圖書)』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관동지(關東誌)』
  • 『지승(地乘)』
  • 조병로, 『한국근세 역제사연구』, 국학자료원, 2005.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