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릉도(平陵道)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에 강원도 삼척의 평릉역을 중심으로 설치한 역도.

개설

평릉도(平陵道)는 조선시대의 41역도(驛道) 가운데 하나로, 강릉(江陵)을 중심으로 서쪽으로 대관령 방면, 남쪽으로 삼척(三陟)에서 평해(平海), 북쪽으로 양양(襄陽) 등지로 이어지는 역로를 관할하였다.

내용 및 특징

평릉도는 상운도(祥雲道)·은계도(銀溪道)·보안도(保安道)와 더불어 강원도 지역에 설치된 역도로, 강릉과 대관령을 연결하는 역로를 비롯해, 강릉-명주-삼척-울진-평해, 강릉-주문진-양양-속초-간성 등으로 이어지는 역로를 관장하였다. 조선초기에는 역승(驛丞)이 주재하였으나, 이후 찰방(察訪)이 파견되어 역무를 맡아보았다. 『경국대전』에 따르면, 평릉도에는 평릉역과 교가역(交可驛)을 비롯해 동덕역(冬德驛)·대창역(大昌驛)·구산역(丘山驛)·목계역(木界驛)·안인역(安仁驛)·낙풍역(樂豊驛)·신흥역(新興驛)·사직역(史直驛)·용화역(龍化驛)·옥원역(沃原驛)·흥부역(興富驛)·수산역(守山驛)·덕신역(德神驛)·달효역(達孝驛) 등 16개 역이 소속되어 있었다. 평릉도의 관할 역로는 소로(小路)였으며, 속역은 모두 소역(小驛)에 속하였다.

변천

평릉도는 고려시대의 22역도 가운데 명주도(溟洲道)에 속한 평릉역·사직역·교가역(橋柯驛)·용화역·옥원역·수산역(壽山驛)·덕신역·흥부역(興府驛) 등을 계승해 성립하였다. 『세종실록』「지리지」에 따르면, 평릉도는 평릉역·사직역·교가역·용화역·옥원역·흥부역·수산역·덕신역·달효역 등 9개 역으로 편성되었다.

그 뒤 세조 연간인 1462년(세조 8)에 전국의 역로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평릉도의 모든 속역과 대창도(大昌道)에 속한 대창역·구산역·목계역·동덕역·낙풍역 등 총 15개 역을 평릉도의 관할로 삼았다. 이후 조선전기의 역참 제도가 확립된 『경국대전』 체제에서는 평릉역·교가역·동덕역 등 총 16개 속역을 관할하였다.

조선시대 후기에 접어들어서는 1785년(정조 9) 이후에 달효역이 폐지되었으며, 신립역(新立驛)이 신설되었다. 순조 연간에 편찬된 『만기요람(萬機要覽)』에 따르면, 평릉도는 평릉역·교가역·사직역·신흥역·용화역·원옥역·흥부역·수산역·덕신역·달효역·낙풍역·안인역·대창역·목계역·구산역·동덕역 등 16개 속역으로 구성되었다. 이후 갑오개혁 때까지 존속하다가, 1896년(고종 33) 1월에 대한제국 칙령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관한 건’에 따라 역참 제도가 폐지되면서 철폐되었다.

P00012485 01.PNG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경국대전(經國大典)』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 『만기요람(萬機要覽)』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여지도서(輿地圖書)』
  • 조병로, 『조선전기 역제사연구』, 국학자료원, 2005.
  • 김경추, 「역로조직과 입지에 관한 연구:강원도를 중심으로」, 『지리학연구』34-2, 2000.
  • 오일순, 「고려시대 역제의 변동과 잡색역」,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 정요근, 「고려전기 역제의 정비와 22역도」, 『한국사론』45, 2001.
  • 정요근, 「고려·조선초의 역로망과 역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