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례역(參禮驛)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8년 1월 8일 (월) 16:43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후기 전라도의 도로망인 삼례도에 속한 역으로, 오늘날의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 삼례리에 위치해 있었음.

개설

고려시대 성종에서 문종 연간에 전국의 역제(驛制)를 22역도(驛道)-525속역(屬驛) 체제로 정비했는데, 삼례역(參禮驛)은 이때 전공주도(全公州道) 전주(全州)에 위치해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세종대와 세조대에 걸쳐 전국적인 역도-역로 체제가 확립되면서 삼례도(參禮道)에 속하게 되었는데, 삼례도에 소속된 13개소의 역 가운데 본역(本驛)에 해당하였다. 이후 갑오개혁 때까지 존속하였다.

설립 경위 및 목적

『고려사(高麗史)』 참역(站驛) 조에 의하면, 삼례역은 995년(고려 성종 14)에서 1067년(고려 문종 21) 사이에 역제(驛制)를 22역도-525속역 체제로 정비하는 과정에서 전공주도에 속하게 되었다. 전공주도에는 총 21개소의 역이 소속되어 있었는데, 삼례역은 그 중 아래쪽에 위치한 역이었다. 조선시대에는 세종 때 전국적인 역도-역로 조직이 마련되면서 반석역(半石驛)·오원역(烏原驛) 등과 함께 전라도 삼례도의 관할 역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삼례역은 한양에서 경기도 지역을 거쳐 전라도로 들어갈 때 맨 처음 경유하는 역이었다.

조직 및 역할

1872년(고종 9)에 편찬된 『호남읍지(湖南邑誌)』「삼례도역지(參禮道驛誌)」에 따르면, 삼례역에는 역리(驛吏) 20명, 역노(驛奴) 18명, 역비(驛婢) 18명, 역보(驛保) 382명, 솔정(率丁) 191명, 일수(日守) 267명, 번인(番人) 101명이 배속되어 있었다. 역마는 15필이었고, 역마를 맡아 기르던 마호(馬戶) 역시 15명이었다. 또 아사(衙舍) 5칸, 중삼문(中三門) 3칸, 외삼문(外三門) 및 문루(門樓) 6칸, 작청(作廳) 7칸, 형리청(刑吏廳) 4칸, 장교청(將校廳) 초가 3칸, 사령청(使令廳) 초가 3칸으로 구성된 역사(驛舍)가 있었다고 한다. 그에 비해 1895년(고종 32)에 편찬된 『호남역지(湖南驛誌)』「삼례도역지사례(參禮道驛誌事例)」에는 관노 6명, 관비 2명, 장교 2명, 아전 25명, 지인(知印) 8명, 사령 12명, 서자(書者) 12명, 마호 15명, 구종(驅從) 8명이 배속되어 있다. 한편 1794년(정조 18)에 각 도의 백성이 부담하는 물품과 수량을 조사하여 정리한 『부역실총(賦役實總)』에 따르면, 삼례역의 차비전(差備錢)은 515냥이었다.

변천

삼례역은 1462년(세조 8)에 병조의 건의에 따라 각 도의 역참을 파하고, 역로를 정비해 찰방(察訪)역승(驛丞)을 새로 두는 작업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삼례도찰방이 관할하는 13개소의 역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세조실록』 8년 8월 5일). 삼례도의 본역인 삼례역에는 종6품 찰방이 머물면서 역민의 관리와 역마의 보급 등 삼례도와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였다. 삼례역은 이후 조선후기까지 존속하다가, 1896년(건양 1) 1월 대한제국 칙령(勅令)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관한 건’에 따라 폐지되었다.

삼례역은 고려시대 전공주도의 마지막 역이자 조선시대 삼례도의 가장 첫 번째 역으로 전라도로 들어갈 때 반드시 지나는 역이었기 때문에, 역의 인마(人馬)를 남용하는 폐단이 종종 나타났다. 삼례역의 위치는 『여지도서(輿地圖書)』에는 전주부 동쪽 35리, 『대동지지(大東地志)』에는 전주부 북쪽 30리로 기록되어 있는데, 「조선총독부 중추원 역원 조사표」에 따르면 전주부 북쪽 35리 삼례면 삼례읍에 있었다고 한다. 이처럼 조선시대에는 전주부에 속했으며 오늘날의 위치로는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 삼례리에 해당한다. 삼례읍과 삼례리의 ‘삼례’라는 명칭은 조선시대에 삼례도찰방이 이곳에 있었던 데서 유래하였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여지도서(輿地圖書)』
  • 『대동지지(大東地志)』
  • 『호남읍지(湖南邑誌)』
  • 『호남역지(湖南驛誌)』
  • 『부역실총(賦役實總)』
  • 조병로, 『한국근세 역제사연구』, 국학자료원, 2005.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