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현도(省峴道)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8년 1월 1일 (월) 21:09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에 경상도의 청도·밀양·현풍·경산·대구 등에 설치된 역을 관할한 역도(驛道).

개설

성현도(省峴道)는 고려시대의 금주도(金州道)와 경주도(慶州道)가 조선전기 세종 연간인 1423년(세종 5)을 전후한 시기에 개편되면서 성립하였다. 이때 성현도는 용가역(龍駕驛)·수안역(水安驛)·수산신역(守山新驛)·무흘이역(無訖伊驛)·동음신역(冬音新驛)·풍각신역(豐角新驛)·온정역(溫井驛)·내야역(內也驛)·일문역(一門驛)·쌍산역(雙山驛)·서지역(西之驛)·청도신역(淸道新驛)·매전역(買田驛)·유천역(楡川驛) 등 14개 속역으로 편성되었으며, 청도에서 밀양·현풍·경산을 거쳐 대구에 이르는 역로를 관할하였다. 1462년(세조 8)에 성현역(省峴驛)·범어역(凡於驛)·금천역(琴川驛)·금동역(金洞驛)·양동역(良洞驛)·유산역(幽山驛)·무흘역(無訖驛)·창인역(昌仁驛)·영포역(靈浦驛)·오서역(鰲西驛)·수안역·유천역·용가역·매전역·서지역·온정역·일문역·내야역·쌍산역 등 19개 속역으로 확대되었다. 그 뒤 성종대의 『경국대전(經國大典)』 체제에서는 16개 속역으로 편성되었다. 성현도에는 종6품의 찰방(察訪)이 임명되어 관할 속역을 지휘, 감독하였다.

내용 및 특징

성현도는 고려시대의 역참 제도에서 비롯되었다. 『고려사』 참역(站驛) 조와 『세종실록』「지리지」를 비교해 보면, 고려시대에 금주도와 경주도에 속했던 역들이 일부 성현도로 계승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금주도의 속역에는 무을이역(無乙伊驛)·영안역(永安驛)·용가역(用家驛)·내야역(內也驛)·성을현(省乙峴)·유천역(楡川驛)·서지역(西之驛)·매전역(買田驛)·병산역(竝山驛)·일문역(一門驛)·온정역(溫井驛) 등이 있었고, 경주도에는 범어역(凡於驛)·압량역(押梁驛)이 소속되어 있었다. 이러한 금주도와 경주도의 속역은 조선시대에 들어와 역의 신설과 이설 및 통폐합 과정에서 대부분 성현도의 속역으로 재편되었다.

성현도의 편성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1423년 7월에 황산도의 속역이 성현도에 합속되었다는 기록으로 미루어 볼 때 그 이전에 편성되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성현도는 『세종실록』「지리지」에 따르면, 용가역·수안역·수산신역·무흘이역·동음신역·풍각신역·온정역·내야역·일문역·쌍산역·서지역·청도신역·매전역·유천역 등 14개 속역으로 편성되었으며, 역승이 이를 관할하였다. 그러나 1460년(세조 6)에 성현도 10개 속역과 황산도 15개 속역이 황산도로 통합되었다.

1462년(세조 8) 8월에는 병조의 건의에 따라 각 도의 역참과 역로를 대대적으로 정비하여 찰방과 역승을 함께 두는 2원 체제를 갖추었다. 성현도는 이때 다시 분리되어, 성현역·범어역·금천역·수안역·금동역·양동역·용가역·유산역·무흘역·유천역·매전역·서지역·오서역·온정역·일문역·내야역·쌍산역·창인역·영포역 등 19개 속역으로 재편되었다. 이후 성종대에 다시 역의 이설과 통합 및 역도의 재편 과정을 거쳐, 『경국대전』 체제에서는 청도의 오서역, 대구의 범어역·설화역·유산역·금천역, 밀양의 금동역·양동역 등 7개 역이 신설되고, 그 대신 청도신역·수산신역·이동음신역·풍각신역이 폐지되면서 16개 속역으로 확립되었다.

변천

성현도는 고려시대에 금주도와 경주도에 속했던 역들을 계승해 조선전기에 성립된 역도로, <표 1>에서 보이듯이 세종 연간에는 15개 속역으로, 『경국대전』이 완성된 성종 연간에는 16개, 『여지도서(輿地圖書)』가 편찬된 영조 연간에는 11개, 『대동지지(大東地志)』가 편찬된 고종 초기에는 19개, 『성현도역지(省峴道驛誌)』가 편찬된 고종 후기에는 14개 속역으로 편성되었다. 다음 <지도1>은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에 성현도의 속역을 나타낸 것이다.

T00012352 01.PNG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경국대전(經國大典)』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대동지지(大東地志)』
  • 『만기요람(萬機要覽)』
  • 『여지도서(輿地圖書)』
  •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 『해동지도(海東地圖)』
  • 『조선후기지방지도(朝鮮後期地方地圖)』
  • 『동여도(東輿圖)』
  • 『성현도역지(省峴道驛誌)』
  • 조병로, 『한국근세역제사연구』, 국학자료원, 2005.
  • 조병로, 「조선후기 경상도 省峴驛의 운영과 驛馬확보」, 『동국사학』51, 2011.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