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진(順天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10일 (일) 02:01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순천진 |
한글표제 | 순천진 |
한자표제 | 順天鎭 |
상위어 | 주진(州鎭), 병영(兵營), 순영(巡營) |
하위어 | 제진(諸鎭), 속읍(屬邑) |
동의어 | 거진(巨鎭), 순천진관(順天鎭管), 순천진영(順天鎭營), 순천토포영(順天討捕營) |
관련어 | 병마첨절제사(兵馬僉節制使), 순천영장(順天營將), 순천토포사(順天討捕營),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병마절제사(兵馬節制使), 병마동첨절제사(兵馬同僉節制使), 병마절제도위(兵馬節制都衛), 순찰사(巡察使) |
분야 | 정치/군사·국방/편제 |
유형 | 집단·기구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왕대 | 조선 |
집필자 | 서태원 |
폐지 시기 | 1895년(고종 32)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순천진(順天鎭)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고종실록』 6년 4월 1일 |
조선시대 전라도 순천부에 설치한 육군 거진.
개설
순천진은 1457년(세조 3) 진관체제가 시행될 때 전라도 육군의 거진(巨鎭)으로 설치되었다. 순천진은 순천부사가 병마첨절제사를 겸하여 평시에는 제진(諸鎭) 군병의 훈련과 점검을 주도하면서, 유사시에는 순천진관을 중심으로 방어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1592년 임진왜란 초기 육지 전투에서 조선군이 일본군의 조총과 진관체제(鎭管體制)의 문제점 등으로 고전하자, 정부는 1594년(선조 27)부터 지방을 개혁하는 가운데 순천진영도 설치하였다.
순천진영의 군병은 『군국총목』에 따르면 7,735명이었다. 순천진영은 속읍(屬邑) 군병의 훈련과 점검을 담당하였고, 민란의 진압과 도적 체포 등 치안도 담당하였다.
순천진영은 1895년(고종 32) 을미개혁 때 폐지되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순천진은 조선전기의 거진 순천진관으로, 군익도(軍翼道)체제를 대신하여 1457년(세조 3) 진관체제가 시행되면서 설립되었다. 진관체제는 군익도의 ‘도’가 행정구역의 도와 혼동되는 것을 막고, ‘도’라는 지역적 성격보다 ‘진’이 갖는 군사기지의 성격을 분명히 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조선후기 임진왜란 초기에 육지 전투에서 일본군의 조총과 더불어 수령이 육군의 군사 지휘관을 겸임한 진관체제의 문제점 등으로 조선군이 고전하자, 이를 시정하기 위해 순천진영을 설립했다. 즉 조정은 명나라의 『기효신서』를 도입하여 포수 중심의 삼수병(三手兵)을 육성하고, 군대 편제도 ‘영(營)-사(司)-초(哨)-기(旗)-대(隊)’로 바꾸었다. 또한 영장(營將)을 파견하여 수령 대신 군병을 지휘하게 하는 등, 1594년(선조 27)부터 지방군을 개편하는 가운데 순천진영도 설치된 것이다.
조직 및 역할
조선전기에 거진인 순천진은 순천부사가 병마첨절제사를 겸임하여, ‘순천, 낙안, 보성, 광양, 구례, 흥양, 능성, 동복, 화순’ 등 제진의 훈련과 점검을 담당하였다. 유사시 제진의 군병을 집결시켜 순천진관을 방어하는 일을 담당하였다.
조선후기 전라도 전영(前營)인 순천진영은, 조선전기 거진인 순천진의 역할을 대신하였다. 속읍은 ‘순천, 장흥, 진도, 낙안, 보성, 강진, 흥양, 동복, 광양, 해남’이었고, 『호남읍지』에 의하면 건물로 ‘동헌 12칸, 내아 5칸, 행랑 2칸, 장청 8칸, 집사청·배리청·군뢰청·삼문·폐문루 2층 각각 3칸’이 있었다.
군병은 ‘별장 2명, 천총 3명, 파총 9명, 초관 51명, 교련관 10명, 기패관 64명, 지구관 1명, 기고관 2명, 교사 54명, 화포교사 10명, 훈도 10명, 군뢰 50명, 대기수 128명, 대포수 10명, 취고수 40명, 당보군 195명, 취반노 10명, 마군 555명, 보군 5,120명, 잡색군 423명, 각초하수솔 825명, 군기감관 10명, 대변병방 1, 대변군관 50명, 토포병방 2명, 토포군관 80명, 토포군사 20명’ 등 7,735명이었다. 재정은 ‘수미(需米) 73섬 7말 5되, 시탄가미(柴炭價米) 70섬, 생물가미(生物價米) 64섬’이었다.
순천진영은 영장순력(營將巡歷)을 통해 속읍 속오군 등의 훈련과 무기·복장 상태를 점검하였다. 1869년(고종 6) 광양민란이 진압된 뒤에도 만약을 대비하여 성에 군병을 주둔시켜 방어에 참여하였다(『고종실록』 6년 4월 1일).
1665년(현종 6) 순천영장이 토포사를 겸함에 따라 순천진영은 토포영이 되어 도적 등을 체포하였는데, ‘토포병방·토포군관·토포군사’는 치안을 위한 진영의 인적 구성원이었다.
1655년(효종 6) 흥양 유생이 제물을 가지고 향교에 들어가려다가 순천진영장 백홍성이 결진(結陣)을 이유로 길을 비켜주지 않아 시비가 붙었다. 이에 유생들이 순천영장을 처벌하라는 통문을 돌린 사건도 발생하였다.
변천
조선전기 순천진관은 임진왜란 중에 진영제도가 실시됨에 따라 순천진영으로 바뀌었다. 순천진영의 속읍은, 순천진관의 9개에서 ‘구례, 능성, 화순’이 제외되는 대신 ‘장흥, 진도, 강진, 해남’이 추가됨으로써 10개가 되었다. 1654년(효종 5) 이후 순천영장의 파견이 확정됨으로써 순천부사의 속읍에 대한 군사 지휘권은 순천영장에게 넘어갔다. 1665년부터 토포영도 겸하였다.
한편 순천진영은 1895년 을미개혁 때 폐지되었다.
참고문헌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 『일성록(日省錄)』
- 『각사등록(各司謄錄)』
- 『경국대전(經國大典)』
- 『속대전(續大典)』
- 『대전회통(大典會通)』
- 『여지도서(輿地圖書)』
- 『호남읍지(湖南邑誌)』
- 『군국총목(軍國摠目)』
- 『양역실총(良役實總)』
- 『기효신서(紀效新書)』
- 김우철, 『조선후기 지방군제사』, 경인문화사, 2001.
- 민현구, 『조선초기의 군사제도와 정치』, 한국연구원, 1983.
- 서태원, 『조선후기 지방군제연구-영장제를 중심으로-』, 혜안, 1999.
- 차문섭, 『조선시대 군제연구』, 단국대학교출판부, 1973.
- 서태원, 「조선후기 청주진영연구」,『호서사학』42, 2005.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