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광석(朴光錫)"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XML 가져오기) |
(XML 가져오기)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인명사전|대표표제=박광석|한글표제=박광석|한자표제=朴光錫|이칭=|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분야=정치·행정가/관료/문신|유형=인물|지역=한국|시대=조선 후기|왕대=정조~순조|집필자=박은화|자= 중익(仲翼) |호= 노포(老圃) |봉작=|시호=|출신=양반|성별=남자|출생=1764년(영조 40)|사망=1845년(헌종 11)|본관=순천(順天)|주거지= 대구 |묘소소재지=|증조부= 박처유(朴處裕) |조부= 박명리(朴命履) |부= 박성수(朴聖洙) |모_외조=부림홍씨(缶林洪氏): 홍필구(洪必龜)의 딸|형제=|처_장인=이씨( | + | {{인명사전|대표표제=박광석|한글표제=박광석|한자표제=朴光錫|이칭=|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분야=정치·행정가/관료/문신|유형=인물|지역=한국|시대=조선 후기|왕대=정조~순조|집필자=박은화|자= 중익(仲翼) |호= 노포(老圃) |봉작=|시호=|출신=양반|성별=남자|출생=1764년(영조 40)|사망=1845년(헌종 11)|본관=순천(順天)|주거지= 대구 |묘소소재지=|증조부= 박처유(朴處裕) |조부= 박명리(朴命履) |부= 박성수(朴聖洙) |모_외조=부림홍씨(缶林洪氏): 홍필구(洪必龜)의 딸|형제=|처_장인=이씨(李氏): 이동점(李東漸)의 딸|자녀=|유명자손=|저술문집=『노포문집(老圃文集)』|작품=|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10000518|실록연계=}} |
=='''총론'''== | =='''총론'''== | ||
− | [1764년(영조 40)~1845년(헌종 11) = 82세]. 조선 후기 정조~순조 때 활동한 문신. 행직(行職)은 한성부우윤(漢城府右尹)이다. 자는 중익(仲翼)이고, 호는 노포(老圃)이며, 본관은 순천(順天)이다. 아버지는 박성수(朴聖洙)이며, 어머니 부림홍씨(缶林洪氏)는 홍필구(洪必龜)의 딸이다. 부인 이씨( | + | [1764년(영조 40)~1845년(헌종 11) = 82세]. 조선 후기 정조~순조 때 활동한 문신. 행직(行職)은 한성부우윤(漢城府右尹)이다. 자는 중익(仲翼)이고, 호는 노포(老圃)이며, 본관은 순천(順天)이다. 아버지는 박성수(朴聖洙)이며, 어머니 부림홍씨(缶林洪氏)는 홍필구(洪必龜)의 딸이다. 부인 이씨(李氏)는 이동점(李東漸)의 딸이다. |
=='''정조~헌종 시대 활동'''== | =='''정조~헌종 시대 활동'''== |
2018년 1월 9일 (화) 22:44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박광석 |
한글표제 | 박광석 |
한자표제 | 朴光錫 |
분야 | 정치·행정가/관료/문신 |
유형 | 인물 |
지역 | 한국 |
시대 | 조선 후기 |
왕대 | 정조~순조 |
집필자 | 박은화 |
자 | 중익(仲翼) |
호 | 노포(老圃) |
출신 | 양반 |
성별 | 남자 |
출생 | 1764년(영조 40) |
사망 | 1845년(헌종 11) |
본관 | 순천(順天) |
주거지 | 대구 |
증조부 | 박처유(朴處裕) |
조부 | 박명리(朴命履) |
부 | 박성수(朴聖洙) |
모_외조 | 부림홍씨(缶林洪氏): 홍필구(洪必龜)의 딸 |
처_장인 | 이씨(李氏): 이동점(李東漸)의 딸 |
저술문집 | 『노포문집(老圃文集)』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박광석(朴光錫) |
총론
[1764년(영조 40)~1845년(헌종 11) = 82세]. 조선 후기 정조~순조 때 활동한 문신. 행직(行職)은 한성부우윤(漢城府右尹)이다. 자는 중익(仲翼)이고, 호는 노포(老圃)이며, 본관은 순천(順天)이다. 아버지는 박성수(朴聖洙)이며, 어머니 부림홍씨(缶林洪氏)는 홍필구(洪必龜)의 딸이다. 부인 이씨(李氏)는 이동점(李東漸)의 딸이다.
정조~헌종 시대 활동
1795년(정조 19)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였다. 1805년(순조 5) 성균관(成均館)전적(典籍)에 임명되었고, 이어 사헌부(司憲府) 감찰(監察)이 되었다. 1809년(헌종 9) 남포현감(藍浦縣監)으로 나갔다. 이때 선세(船稅)가 과중하여 백성들이 곤경에 빠져 있음을 알고 조정에 건의하여 이를 시정하도록 하였다. 그 뒤 들어와 부교리(副敎理)·동부승지(同副承旨)·호조 참의(參議) 등을 역임하고, 다시 안변부사(安邊府使)로 나갔다. 이때에도 그는 송사(訟事)를 공정하게 처리하는 등 선정을 베풀었다. 그는 그 뒤 한성부우윤을 비롯하여 부총관(副摠管) 등을 지냈다. 1819년(순조 19)에 채제공(蔡濟恭)의 신원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1845년(헌종 11)에 82세로 세상을 떠나자 임금이 사제문(賜祭文)을 내렸다. 저서로는 『노포문집(老圃文集)』 3권이 있다.
참고문헌
- 『순조실록(純祖實錄)』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