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기수(朴岐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XML 가져오기)
 
1번째 줄: 1번째 줄:
  
  
{{인명사전|대표표제=박기수|한글표제=박기수|한자표제=朴岐壽|이칭=|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분야=정치·행정가/관료/문신, 정치·행정가/척신|유형=인물|지역=한국|시대=조선 후기|왕대=순조~헌종|집필자=박은화|자= 봉래(鳳來) |호=|봉작=|시호=|출신=양반|성별=남자|출생=1792년(정조 16)|사망=1847년(헌종 13)|본관=반남(潘南)|주거지= 서울 |묘소소재지=|증조부= 박사석(朴師錫) |조부= 박준원(朴準源) |부=(양부)박종경(朴宗慶) (친부)박종보(朴宗輔)|모_외조=(양모)덕수이씨(德水李氏): 이술모(李述模)의 딸 (생모)대구서씨(大丘徐氏): 서광수(徐廣修)의 딸|형제=(고종사촌)순조(純祖): 정조(正祖)의 아들, 수빈 박씨(綏嬪朴氏)의 아들|처_장인=임천조씨(林川趙氏): 조학빈(趙學彬)의 딸|자녀=(형)박주수(朴周壽) (동생)박호수(朴鎬壽): 박종익의 양자|유명자손=|저술문집=|작품=|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10000524|실록연계=}}
+
{{인명사전|대표표제=박기수|한글표제=박기수|한자표제=朴岐壽|이칭=|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분야=정치·행정가/관료/문신, 정치·행정가/척신|유형=인물|지역=한국|시대=조선 후기|왕대=순조~헌종|집필자=박은화|자= 봉래(鳳來) |호=|봉작=|시호=|출신=양반|성별=남자|출생=1792년(정조 16)|사망=1847년(헌종 13)|본관=반남(潘南)|주거지= 서울 |묘소소재지=|증조부= 박사석(朴師錫) |조부= 박준원(朴準源) |부=(양부)박종경(朴宗慶) (친부)박종보(朴宗輔)|모_외조=(양모)덕수이씨(德水李氏): 이술모(李述模)의 딸 (생모)대구서씨(大丘徐氏): 서광수(徐廣修)의 딸|형제=(고종사촌)순조(純祖): 정조(正祖)의 아들, 수빈 박씨(綏嬪朴氏)의 아들|처_장인=임천조씨(林川趙氏): 조학빈(趙學彬)의 딸|자녀=(형)박주수(朴周壽) (동생)박호수(朴鎬壽): 박종익의 양자|유명자손=|저술문집=|작품=|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10000524|실록연계=}}
  
 
=='''총론'''==
 
=='''총론'''==
  
[1792년(정조 16)~1847년(헌종 13) = 56세]. 조선 후기 순조~헌종 때 활동한 문신. 행직(行職)은 이조 [[판서(判書)]]이다. 자는 봉래(鳳來)이다. 본관은 반남(潘南)이다. 할아버지는 형조 판서[[박준원(朴準源)]]이며, 아버지는 이조 판서[[박종경(朴宗慶)]]인데, 큰아버지 호조 판서박종보(朴宗輔)에게 입양되었다. 생모 대구서씨(大丘徐氏)는 서광수(徐廣修)의 딸이고, 양모 덕수이씨(德水李氏)는 군수(郡守)이술모(李述模)의 딸이다. 그의 고모인 수빈 박씨(綏嬪朴氏)은 순조의 생모이므로 순조와는 고종 사촌간이다. 부인 임천조씨(林川趙氏)는 조학춘(趙學春)의 딸이다. 종조부인 성리학자 박윤원(朴胤源)의 문인이다.
+
[1792년(정조 16)~1847년(헌종 13) = 56세]. 조선 후기 순조~헌종 때 활동한 문신. 행직(行職)은 이조 [[판서(判書)]]이다. 자는 봉래(鳳來)이다. 본관은 반남(潘南)이다. 할아버지는 형조 판서[[박준원(朴準源)]]이며, 아버지는 이조 판서[[박종경(朴宗慶)]]인데, 큰아버지 호조 판서박종보(朴宗輔)에게 입양되었다. 생모 대구서씨(大丘徐氏)는 서광수(徐廣修)의 딸이고, 양모 덕수이씨(德水李氏)는 군수(郡守)이술모(李述模)의 딸이다. 그의 고모인 수빈 박씨(綏嬪朴氏)은 순조의 생모이므로 순조와는 고종 사촌간이다. 부인 임천조씨(林川趙氏)는 조학춘(趙學春)의 딸이다. 종조부인 성리학자 박윤원(朴胤源)의 문인이다.
  
 
=='''순조 시대 활동'''==
 
=='''순조 시대 활동'''==

2018년 1월 9일 (화) 22:42 기준 최신판




총론

[1792년(정조 16)~1847년(헌종 13) = 56세]. 조선 후기 순조~헌종 때 활동한 문신. 행직(行職)은 이조 판서(判書)이다. 자는 봉래(鳳來)이다. 본관은 반남(潘南)이다. 할아버지는 형조 판서박준원(朴準源)이며, 아버지는 이조 판서박종경(朴宗慶)인데, 큰아버지 호조 판서박종보(朴宗輔)에게 입양되었다. 생모 대구서씨(大丘徐氏)는 서광수(徐廣修)의 딸이고, 양모 덕수이씨(德水李氏)는 군수(郡守)이술모(李述模)의 딸이다. 그의 고모인 수빈 박씨(綏嬪朴氏)은 순조의 생모이므로 순조와는 고종 사촌간이다. 부인 임천조씨(林川趙氏)는 조학춘(趙學春)의 딸이다. 종조부인 성리학자 박윤원(朴胤源)의 문인이다.

순조 시대 활동

1810년(순조 10) 사마시(司馬試)의 생원(生員)진사(進士) 두 시험에 모두 합격하고, 1817년(순조 17) 정시(庭試)문과(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설서(說書)가 되었다. 그 뒤 여러 벼슬을 역임하고, 1821년(순조 21) 홍문관(弘文館)부교리(副校理)가 되었다. 1824년(순조 24) 3월 이조 참의(參議)가 되고, 1827년(순조 27) 7월 성균관(成均館)대사성(大司成)이 되었으며, 8월에 예방(禮房) 승지(承旨)가 되었다. 1828년(순조 28) 사옹원(司饔院)제조(提調)가 되었다. 1830년(순조 30) 도승지(都承旨)가 되었다가 그 해 11월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가 되었다. 1832년(순조 32) 8월 이조 참판(參判)이 되었고, 1833년(순조 33) 8월 경기 관찰사(京畿觀察使)가 되었다.

헌종 시대 활동

1835년(헌종 1) 예조 판서가 되었다가 6월 공조 판서가 되었다. 1836년(헌종 2) 광주유수(廣州留守)가 되었고, 1837년(헌종 3) 5월 다시 예조 판서가 되었다. 1838년(헌종 4) 4월 병조 판서가 되었다. 1839년(헌종 5) 4월 하순에 형조 판서가 되었다가 일주일 만에 함경도감사(咸鏡道監司)가 되었다. 1842년(헌종 8) 12월 의정부(議政府) 좌참찬(左參贊)이 되고, 1843년(헌종 9) 7월 다시 병조 판서가 되었다. 1844년(헌종 10) 2월 다시 공조 판서가 되고, 4월에 다시 의정부 좌참찬이 되었으며, 6월에 이조 판서가 되었다. 1845년(헌종 11) 1월 예조 판서가 되고, 6월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이 되었다. 1846년(헌종 12) 행 돈녕부 판사가 되고, 8월에 다시 한성부판윤이 되었다. 이어 의금부(義禁府)판사(判事)가 되었는데, 그 해 11월 1일에 파직되었다가 11월 20일에 다시 한성부판윤이 되었다. 1847년(헌종 13) 1월 다시 병조 판서가 되었는데, 그 해 56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참고문헌

  • 『순조실록(純祖實錄)』
  • 『헌종실록(憲宗實錄)』
  • 『국조방목(國朝榜目)』
  • 『사마방목(司馬榜目)』
  • 『국조인물지(國朝人物志)』
  • 『매산집(梅山集)』
  • 『운석유고(雲石遺稿)』
  • 『임하필기(林下筆記)』
  • 『진신보(搢紳譜)』
  • 『반남박씨세보(潘南朴氏世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