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화역(龍化驛)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용화역 |
한글표제 | 용화역 |
한자표제 | 龍化驛 |
상위어 | 평릉도(平陵道) |
관련어 | 명주도(溟州道), 역도(驛道), 속역(屬驛), 역승(驛丞), 찰방(察訪), 역리(驛吏), 역노(驛奴), 역비(驛婢) |
분야 | 경제/교통/육운 |
유형 | 집단·기구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집필자 | 성주현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용화역(龍化驛) |
조선시대 강원도 지역의 역도 중 하나인 평릉도에 속한 역으로, 오늘날의 강원도 삼척시 근덕읍에 위치해 있었음.
개설
고려전기 전국의 525개 역을 22개 역도(驛道)로 편성하는 과정에서, 용화역(龍化驛)은 명주도(溟州道)에 소속되었다. 이후 조선시대에는 세조대에 역제(驛制)를 41역도-543속역 체제로 개편할 때 평릉도(平陵道)를 구성하는 역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강원도 삼척군에 위치하였으며, 갑오개혁 때까지 존속하였다.
설립 경위 및 목적
역(驛)은 중앙 집권 체제를 유지하고, 중앙과 지방의 행정 명령 계통을 확립하기 위한 육상 교통 기관으로 설치되었다. 왕명(王命) 및 긴급한 군사 기밀의 전달, 사신의 왕래에 따른 영송지대(迎送支待) 등을 주로 담당하였으며, 그밖에 진상품이나 공부(貢賦)의 운송 및 왕래인(往來人)의 규찰 등을 맡아보았다. 용화역도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고려시대부터 영동 지역에 설치되었다.
조직 및 역할
역참에는 역역(驛役)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역리(驛吏)와 역노비(驛奴婢) 등을 포함한 다양한 역민(驛民)이 편성되어 있었으며, 역의 재정에 충당하기 위해 역위전(驛位田) 또는 마전(馬田)이 지급되었다. 조선 영조 때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따르면, 용화역에는 역리 3명, 역노 25명, 역비 17명과, 대마(大馬) 1필, 복마(卜馬) 7필 등 총 8필의 역마가 배속되어 있었다. 찰방역(察訪驛)은 평릉역(平陵驛)이다.
변천
『고려사(高麗史)』 참역(站驛) 조에 따르면 용화역은 고려시대 명주도에 소속된 28개 속역 가운데 하나로, 동계의 삼척에 위치해 있었다. 정확한 설치 시기는 알 수 없지만, 고려의 역제가 22역도-525속역 체제로 정비된 1061년(고려 문종 15)에서 1136년(고려 인종 14) 사이에 명주도에 소속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초에 전국적인 역도-속역 체계를 마련하는 과정에서 평릉도의 속역이 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는 평릉역·사직역(史直驛)·교가역(交可驛)·옥원역(沃原驛)·흥부역(興富驛)·수산역(守山驛)·덕신역(德新驛)·달효역(達孝驛) 등과 함께 평릉도에 속하였다고 기재돼 있다.
그 뒤 세조대에는 1462년(세조 8)에 각 도의 역참을 파하고 역로를 정비하여 찰방(察訪)과 역승(驛丞)을 두었는데, 이때 용화역은 동덕역(冬德驛)·대창역(大昌驛)·구산역(丘山驛)·목계역(木界驛)·안인역(安仁驛)·낙풍역(樂豊驛)·신흥역(新興驛)·사직역·교가역(交柯驛)·옥원역·흥부역·수산역·덕신역·달효역·평릉역 등 15개 역과 더불어 평릉도찰방의 관할이 되었다. 이 편제는 조선시대 전기의 역참 제도가 완비된 『경국대전(經國大典)』 체제에서도 그대로 유지되었다.
『대동지지(大東地志)』에 따르면, 용화역은 관아 남쪽 60리 지점에 위치해 있었다. 오늘날의 행정 구역으로는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에 해당한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여지도서(輿地圖書)』
- 『대동지지(大東地志)』
- 조병로, 『한국근세 역제사연구』, 국학자료원, 2005.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