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준(山尊)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국가 제사 의례에서 술과 물을 담는 제기(祭器)의 하나로 산에 구름이 낀 형세를 몸체에 새기거나 그려 넣은 술동이.

개설

산준은 고대로부터 국가 제례에서 중요하게 사용된 6종의 준(尊) 중 한 종류이다. ‘산뢰(山罍)’라는 별칭으로 보다 널리 사용되었기 때문에, 6준은 실제로는 5준 1뢰를 의미한다. ‘뢰(罍)’는 구름과 우레가 널리 혜택을 베푸는 것이 마치 왕의 은혜가 여러 신하들에게 두루 미치는 것과도 같다는 의미가 있었다. 이런 뜻으로 인해 산준보다는 ‘산뢰’로 많이 지칭되었다.

연원 및 변천

한국과 중국에서는 고래로부터 6종의 준을 각종 국가 제례에서 술과 맑은 물을 담아 두는 용도로 상용해 왔다. 6종의 준은 제례별로 수량과 조합을 달리하면서 사용되었다. 헌관(獻官)이 신위 앞에 술잔을 올리는 의식인 작헌(酌獻)의 절차에서 신령에게 올리기 위해 사용되는 술로서 탁주인 범제(泛齊), 단술인 예제(醴齊), 흰 빛이 도는 앙제(盎齊), 붉은 빛이 도는 체제[緹齊], 찌꺼기가 가라앉는 침제(沈齊) 등의 오제(五齊)를 담았고, 제사 참석자들이 나눠 마시는 용도로 사용되는 3가지 술[三酒]로서 일이 있을 때마다 빚은 술로 제사의 집사자들이 마시는 사주(事酒), 겨울에 빚어 이듬해 봄까지 익힌 석주(昔酒), 겨울에 빚어 이듬해 여름까지 익힌 청주(淸酒) 및 밤에 거울로 달을 비춰 맺힌 이슬을 모아 만든 맑은 물이라고 하는 명수(明水), 제사에서 사용하는 맑고 깨끗한 물로 대개 정화수(井華水)라고 하는 현주(玄酒) 등을 담아 두는 데 사용되었다.

산준, 즉 산뢰는 조선시대의 국가 제례에서 준뢰(尊罍)의 종류 중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국가적인 차원에서 치러지는 큰 제사인 대사(大祀)·중사(中祀)·소사(小祀)·기고(祈告)를 비롯하여 주현(州縣) 등에서 치러지는 대부분의 제례에서 다른 5종의 준, 즉 희준(犧尊), 상준(上尊), 착준(著尊), 호준(豪俊), 대준(大尊) 중 1~5종과 짝을 이루어 2병이 진설되었는데, 그중 1병에는 청주를, 다른 1병에는 현주를 담았다.

형태

산준은 하후씨(夏后氏)의 준이라고도 알려져 있는데, 하나라 시대부터 사용된 준이라는 뜻으로, 그만큼 산준의 연원이 오래되었다는 의미일 것이다. 조선시대의 전례서에 수록된 그림을 보면, 산준의 몸체 윗부분에는 우레 무늬가 새겨져 있고, 아래의 복부에는 산과 산을 덮은 구름무늬가 새겨져 있으며, 산뢰의 어깨 부분 양쪽에는 끈을 꼰 형태의 귀[器耳]가 달려 있다. 남송대의 주희(朱熹)가 지은 『소희주현석전의도(紹熙州縣釋奠儀圖)』에 따르면, 산준의 무게는 6근 4냥(약 3.75㎏), 전체 높이는 9치 8푼 5리(약 30㎝), 입구 지름은 6치 7푼 5리(약 20㎝), 몸체 내부 공간의 깊이는 7치 5푼(약 23㎝)이라고 하며, 이 규격이 조선시대의 국가 전례서에도 그대로 수용되었다.

P00013453 01.PNG

참고문헌

  •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例)』
  • 『춘관통고(春官通考)』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