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준(大尊)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국가 제사에서 술과 물을 담는 제기(祭器).

개설

대준은 고대로부터 국가 제례에서 중요하게 사용된 6종의 준(尊) 중 하나로서, 입구가 넓고 몸체가 불룩하며 문양이나 장식을 새기지 않은 밋밋한 모양의 술동이를 말한다. 6준은 몸체의 외형이나 몸체 표면에 새겨 넣는 문양에 따라, 희생의 문양이 있는 희준(犧尊), 코끼리 문양의 상준(象尊), 받침이 없는 착준(著尊), 몸체가 불룩한 호준(壺尊), 산에 구름이 낀 형세의 문양이 있는 산준(山尊)과 대준 등으로 구분되었다.

연원 및 변천

한국과 중국에서는 고대부터 6종의 준을 각종 국가 제례에서 술과 맑은 물을 담아 두는 용도로 상용해 왔다. 6종의 준은 제례별로 수량과 조합을 달리하였다. 특히 제례를 주관하는 헌관(獻官)이 신위 앞에 술잔을 올리는 의식인 작헌(酌獻)의 절차에서 신령에게 올리기 위해 사용되는 술로서 탁주인 범제(泛齊), 단술인 예제(醴齊), 흰빛이 도는 술인 앙제(盎齊), 붉은빛이 도는 술인 체제[緹齊], 찌꺼기가 가라앉는 술인 침제(沈齊) 등의 오제(五齊)와 제사 참석자들이 나눠 마시는 용도로 사용되는 3가지 술[三酒]로서 일이 있을 때마다 빚은 술로 제사의 집사자들이 마시는 사주(事酒), 겨울에 빚어 이듬해 봄까지 익힌 석주(昔酒), 겨울에 빚어 이듬해 여름까지 익힌 청주(淸酒) 및 달밤에 거울로 달을 비춰 맺힌 이슬을 모아 만든 맑은 물인 명수(明水), 제사에서 사용하는 맑고 깨끗한 물인 현주(玄酒) 등을 담아 두는 데 사용되었다.

대준은 6종의 준 중에서도 사용되는 제례가 가장 적은 편이었다. 성종대 이전까지 시행된 종묘의 협제(祫祭)에서 상준, 희준, 착준, 호준, 산뢰와 짝을 이루어 2병이 진설되었는데, 그중 1병에는 침제, 즉 오제 중에서 가장 늦게 익는 가장 맑은 술을 담았고, 다른 1병에는 명수를 담았다. 대한제국 시기에 시행된 환구제(圜丘祭)에서는 착준, 희준, 산뢰와 짝을 이루어 오제 중의 하나인 예제와 명수를 담았다. 또한 사직 제례의 정위(正位)에는 착준, 산뢰와 짝을 이루어 예제와 명수를 담았고, 사직 기고제(祈告祭)의 정위에는 산뢰와 짝을 이루어 예제와 명수를 담았다.

형태

입구가 넓고 몸체가 불룩하며 문양이나 장식을 새기지 않은 밋밋한 모양이다. 남송대의 주희(朱熹)가 지은 『소희주현석전의도(紹熙州縣釋奠儀圖)』에 따르면, 대준의 전체 높이는 8치 1푼(약 24.5㎝), 기구(器口)의 지름은 5치 7푼(약 17㎝), 복부의 지름은 6치 1푼(약 18㎝), 받침다리의 지름은 3치 8푼(약 11.5㎝), 내부 공간의 깊이는 6치 5푼(약 20㎝)이라고 하였다. 이 규격이 조선시대의 국가 전례서에도 그대로 수용되었다. 대준은 유우씨(有虞氏), 즉 순(舜)임금의 준이라고도 알려져 있는데, 이것은 순임금이 통치하던 시대부터 사용된 준이라는 뜻으로 그만큼 연원이 오래되었다는 의미일 것이다.

P00013452 01.PNG

참고문헌

  •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例)』
  • 『춘관통고(春官通考)』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