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역(金蹄驛)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김제역 |
한글표제 | 김제역 |
한자표제 | 金蹄驛 |
상위어 | 성환도(成歡道) |
관련어 | 속역(屬驛), 역승(驛丞), 역노(驛奴), 역비(驛婢), 역리(驛里), 역촌(驛村), 천안군(天安郡), 찰방(察訪) |
분야 | 경제/교통/육운 |
유형 | 집단·기구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朝鮮) |
집필자 | 이승민 |
폐지 시기 | 1896년(건양 1) 1월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김제역(金蹄驛)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세조실록』 6년 2월 5일, 『세조실록』 8년 8월 5일 |
조선시대 충청도의 도로망인 성환도에 속한 역으로, 오늘날의 충청남도 연기군 소정면에 위치함.
개설
고려시대에는 성종에서 문종 연간에 전국의 역로(驛路)를 22역도(驛道)-525속역(屬驛) 체제로 정비하였는데, 이때 김제역(金蹄驛)은 충청주도(忠淸州道) 풍세(豐歲)에 위치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세종 때 44역도-537속역 체제로 개편되면서 성환도(成歡道)를 구성하는 역의 하나가 되었고, 이후 갑오개혁 때까지 존속하였다.
설립 경위 및 목적
『고려사(高麗史)』 참역(站驛) 조에 따르면 김제역은 고려시대부터 충청도 천안 지역에 있었는데, 충청주도에 속한 34개소의 역 가운데 하나였다. 정확한 설치 시기는 알 수 없지만, 995년(고려 성종 14)에서 1067년(고려 문종 21) 사이에 역로를 22역도-525속역 체제로 정비하는 과정에서 충청주도에 소속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세종대에 전국적인 역도-역로 조직을 갖추는 과정에서 신은역(新恩驛)·연춘역(延春驛)·장명역(長命驛) 등과 함께 성환도에 속하게 되었다.
조직 및 역할
영조 때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천안군 편에 따르면, 김제역에는 말 15필, 역노(驛奴) 45명, 역비(驛婢) 12명이 배속되어 있었으며, 역리(驛吏)는 따로 없었다. 한편 김제역 주변에는 역리(驛里)라는 이름의 역촌(驛村)이 형성되어 있었는데, 남자 78명, 여자 80명 등 총 158명이 48호구를 이루었다.
변천
1460년(세조 6)에는 경기도와 하삼도(下三道)의 역을 정비하였다. 1457년(세조 3) 7월에 역을 관장하던 역승(驛丞)을 없애고 찰방(察訪)으로 하여금 여러 도를 아울러 관리하게 하면서 역로가 멀어 순시하는 데 각종 폐단이 생겼기 때문이다. 그에 따라 충청도에서는 김제역이 소속되어 있는 성환도를 비롯해 일신도(日新道)·증약도(增若道)·율봉도(栗峯道) 등에 속한 22개 역을 한 도로 통합하여 성환도라 칭하여 증약도찰방이 소관 업무를 맡아보게 하였다(『세조실록』 6년 2월 5일). 그 뒤 1462년(세조 8)에는 다시 분할되어 성환역·신은역 등과 함께 성환도찰방의 관할이 되었고(『세조실록』 8년 8월 5일), 이후 조선후기까지 성환도에 속한 역으로 존속하였다. 1896년(건양 1) 1월, 대한제국 칙령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관한 건’에 따라 폐지되었다.
김제역의 위치는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천안군 남쪽 23리 라고 했으며, 『여지도서』에는 천안군 소동면에 있는데 관(官)에서 20리 거리에 있다고 하였다. 이처럼 조선시대에는 천안에 자리 잡고 있었는데, 오늘날의 위치로는 충청남도 연기군 소정면 대곡리 역말에 해당한다. 역말은 조선시대에 김제역이 있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站驛」
- 『여지도서(輿地圖書)』 「天安郡」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天安郡」
- 조병로, 『한국근세 역제사연구』, 국학자료원, 2005.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