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보역(永保驛)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전라도의 도로망인 청암도에 속한 역으로, 오늘날의 전라남도 영암읍에 위치해 있었음.

개설

고려시대 성종에서 문종 연간에 역로(驛路)를 22역도(驛道)-525속역(屬驛) 체제로 정비할 때, 영보역(永保驛)은 승나주도(昇羅州道) 영암(靈嵒)에 위치해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세종대에 정립된 44역도-537속역 체제에서는 벽사도(碧沙道) 관할이었다. 그 뒤 세조대에 41역도-543속역 체제로 개편되면서 청암도(靑巖道)를 구성하는 역의 하나로 확립되었다. 이후 조선후기까지 존속하다가 1896년(건양 1) 1월에 폐지되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고려사(高麗史)』 참역(站驛) 조에 따르면 영보역은 고려시대부터 전라도 영암 지역에 설치되어 있었으며, 승나주도에 속한 30개소의 역 가운데 하나였다. 정확한 설치 시기는 알 수 없으나, 고려의 역제(驛制)가 22역도-525속역 체제로 정비된 995년(고려 성종 14)에서 1067년(고려 문종 21) 사이에 승나주도에 소속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세종대에 전국적으로 역도-역로 조직을 갖추는 과정에서 벽사역(碧沙驛)·파청역(波淸驛) 등과 함께 벽사도 소속이 되었다.

조직 및 역할

영조 때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 영암 편에 따르면, 영보역에는 역마 6필과 역리(驛吏) 15명, 역노(驛奴) 17명, 역비(驛婢) 2명이 배속되어 있었다. 그에 비해 『청암도본외역삼등마화모색성책(靑巖道本外驛三等馬禾毛色成冊)』에는 상등마 2필, 중등마 2필, 하등마 2필 등 총 6필의 역마가 배정되어 있었고, 역마를 맡아 기르는 이중이(李仲伊)라는 이름의 마호(馬戶) 1명이 배속되어 있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변천

1462년(세조 8)에는 병조의 건의에 따라 각 도의 역참을 파하고 역로를 정비해 찰방(察訪)역승(驛丞)을 두게 하였다. 그 과정에서 영보역은 전라우도 청암도찰방이 관할하는 12개 역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세조실록』 8년 8월 5일). 그 뒤 조선후기까지 청암도에 속한 역으로 존속하다가, 1896년 1월에 대한제국 칙령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관한 건’에 따라 폐지되었다.

영보역의 위치는 『여지도서』에는 영암군 관아 북쪽 성 밖이며,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영암군 관아 북쪽 성 아래, 『대동지지(大東地志)』에는 영암군 관아 북쪽 1리 지점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에는 영암현 읍치 북쪽에 영보역의 지명이 표기되어 있다. 한편, 일제강점기에 작성된 「조선총독부 중추원 역원 조사표」에는 영암군 북일시면 영보리에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오늘날의 위치는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춘양리의 영암공설운동장 일대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여지도서(輿地圖書)』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청암도본외역삼등마화모색성책(靑巖道本外驛三等馬禾毛色成冊)』
  • 『대동지지(大東地志)』
  •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 조병로, 『한국근세 역제사연구』, 국학자료원, 2005.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