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錞)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전기 궁중 의식에서 무무(武舞)를 춤출 때 사용한 의물(儀物).

개설

순(錞)은 고려시대에 중국에서 들어왔고, 조선전기에 궁중의 제례와 왕이 신하의 노고를 달래주기 위해 정월 초하루나 동짓날에 베풀던 잔치인 회례연(會禮宴)에 수반되었던 무무의 주변에 놓였다. 악생(樂生)이 두 손으로 순의 철끈을 잡고 들어와 춤추는 사람 옆에 서서, 아악(雅樂)의 셋째 박에 맞추어 순을 흔들다가 넷째 박에서 그치는 방식으로 연주하였다.

연원 및 변천

순은 1116년(고려 예종 11)에 중국 송나라에서 고려로 대성아악(大晟雅樂)이 전래될 때 금순(金錞)이란 명칭으로 유입되었다. 조선전기 세종대의 경우 궁중에서 각종 제사를 올릴 때 수반되었던 춤과 회례연을 거행할 때 수반되는 무무에서 의물로 사용되었다. 제례 의식에서는 한 개, 회례연에서는 두 개가 쓰였다. 즉 사직 제례의 춤 대열에서는 서쪽에 한 개, 종묘·풍운뇌우·선농·선잠·우사·문묘 제례의 춤 대열에서는 동쪽에 한 개가 설치되었다. 회례연에서는 무무의 동쪽과 서쪽에 각각 한 개씩 합이 두 개가 진설되었다[『세종실록』 오례 실례 서례 악현도].

『국조오례의서례(國朝五禮儀序例)』와 『악학궤범(樂學軌範)』에 의하면 성종대에는 풍운뇌우·선농·선잠·우사·문묘 제례의 무무에만 순이 진설되어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종묘제례와 회례연의 무무 주위에 순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세종대와 차별된다. 조선후기에 쓰인 용례는 보이지 않는다.

형태

종을 거꾸로 매달아놓은 듯한 모습인데, 가로대를 설치하여 그 중간에 방울을 매달았으며 손잡이가 있다. 순의 형태에 대해 『문헌통고(文獻通考)』에는 대개 그 모양은 종을 본뜬 것으로, 이마가 크고 배는 졸라맸고 입은 좁고 엎드린 짐승으로 코를 삼고, 안에 방울 모양의 쇠 혀를 달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악학궤범』에 의하면 성종대 순의 치수는 구경(口徑) 7치 1푼, 가장자리 두께 6푼, 길이 8치, 방울 길이 2치 6푼, 방울 구경 2치 2푼이다.

300px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문헌통고(文獻通考)』
  • 『국조오례의서례(國朝五禮儀序例)』
  • 『악학궤범(樂學軌範)』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