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부의(賜賻儀)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국의 조문사절이 부의(賻儀) 물품을 왕에게 전달하는 의식.

개설

중국의 조문사절이 가져온 부의물품을 경복궁 근정전 앞뜰에서 왕에게 전달하는 의식이다. 왕이 승하(昇遐)하면 후계왕은 왕위를 계승하고 교서를 반포한 뒤, 중국에 부음을 알리고 선왕의 시호와 후계왕의 왕위 계승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는 고부청시청승습사(告訃請諡請承襲使)를 보낸다. 부고를 받은 중국에서는 조선에 조문 사절을 보내는데 이들은 국상(國喪)을 애도하는 제문과 부의 물품 및 조선에서 요청한 시호와 후계왕의 즉위를 승인하는 문서를 가져왔다.

연원 및 변천

사부의(賜賻儀) 의례는 조선시대 내내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그 지내는 장소만 기록에 따라 차이가 있다.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는 경복궁 근정전 앞뜰에서 지낸다고 하였다. 사자(使者)가 홍례문(弘禮門) 밖에 도착하면 부의 물품을 실은 수레를 임시로 마련한 거처인 장전(帳殿)에 두었다. 또 왕을 인도하여 곡하는 자리로 나아가는 것을 좌·우통례(左·右通禮)가 담당하였다. 이에 비해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에는 의례를 창덕궁 인정전 앞뜰에서 거행한다고 되어 있어 사자가 진선문(進善門) 밖에 도착하면 부의 물품을 실은 수레를 장전에 둔다고 하였다. 왕을 인도하여 곡하는 자리로 나아가는 것은 좌·우찬례(左·右贊禮)가 담당하였다. 이 의례는 조선의 국가 전례가 제후의 예를 준용하기 때문에 행하는 절차로 황제국을 선포한 대한제국시기에는 시행되지 않았다.

절차 및 내용

중국의 조문 사신이 가져온 부의 물품을 전달받는 절차이다. 의식을 거행하기 1일 전에 충호위(忠扈衛)에서 장전을 설치하고, 액정서(掖庭署)에서 궐정(闕庭)과 칙서와 부의 물품을 놓을 책상, 향안(香案), 왕이 조문 받는 자리, 곡하는 자리, 사신과 종친 문무백관 및 집사자의 자리를 설치한다. 왕비의 자리는 여관(女官)인 상침(尙寢)이 설치한다. 의식을 거행하는 날에 문무백관이 사신을 맞이하러 갈 때에는 조복(朝服)을 입고, 의식에 참여할 때는 상복(喪服)최복(衰服)을 입는다(『태종실록』 8년 9월 24일).

의식은 곡하면서 사신을 맞이한 뒤 부의 물품을 받는 행위로 이루어진다. 먼저 문무백관이 중국 사신이 묶고 있는 태평관에 나아가 사신을 경복궁으로 인도하면, 홍례문에서 사신을 맞이한다. 왕이 곡하면 종친과 문무백관도 함께 곡하고, 왕이 곡을 그치면 함께 곡을 그친다. 부의 물품이 정전(正殿)으로 들어오면 왕은 절하는 자리로 나아가 4번 절한다. 사향(司香) 2인이 3번 향을 올리고, 왕이 조문을 받는 자리로 나아가 꿇어 앉아 조문을 받는다. 조문을 마치면 왕이 곡을 하며 슬픔을 표한다. 왕이 곡을 그치고 일어나 제자리로 돌아가서 4번 절하면 문무백관도 4번 절한다. 예가 끝났다고 아뢰면 왕은 다시 곡을 하다 그친다. 사신이 인례(引禮)의 인도를 받아 나가면 홍례문 밖까지 배웅한다. 왕은 다시 곡하면서 내전(內殿)으로 들어와 곡을 그친다. 종친과 문무백관 역시 왕을 따라 곡하다 그치고 인의의 인도에 따라 밖으로 나가면 의식은 끝난다(『세종실록』 오례 흉례 의식 사부의).

참고문헌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
  • 안희재, 「조선시대 국상의례 연구-국왕국장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