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덕궁(敬德宮)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태종이 즉위하기 전에 살던 개경의 잠저(潛邸).

개설

개경에 있는 태종의 잠저로, 태종 즉위 후 왕실의 별궁(別宮)으로 삼으면서 그 규모가 커졌다. 잠저를 별궁으로 삼는 것은 조선시대 왕실의 전례가 되었다. 경덕궁은 중종대 이후부터는 퇴락하기 시작해서 터만 남게 되었고 숙종과 고종 연간에 중수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나 진행되지는 않았다.

위치 및 용도

경덕궁의 위치는 1693년(숙종 19) 기사에 의하면, 개성의 남문 밖 추동(楸洞)에 있었다(『숙종실록』 19년 8월 30일). 태종이 왕위에 오르기 전 살던 잠저였으며, 개경으로 환도(還都)할 때에는 사신 접대 장소로 사용하였다. 태조의 진전인 목청전(穆淸殿)과 신의왕후(神懿王后)의 능인 제릉(齊陵), 정종과 정안왕후(定安王后)의 능인 후릉(厚陵)을 참배 할 때 경덕궁을 이어소(移御所)로 활용하기도 했다.

P00008264 01.PNG

변천 및 현황

경덕궁의 창건은 언제 이루어졌는지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태종의 잠저였다는 기록을 통해 조선이 건국된 이후일 것으로 추측할 뿐이다.

태조 이성계(李成桂)는 조선 건국 후, 수도를 한양으로 정했다. 그러나 태종이 주도한 왕자의 난 이후 정종이 왕위를 물려받자 다음 해인 1399년(정종 1)에 개경으로 환도해 버렸다. 이때 개경에서 정궁(正宮)의 역할을 한 궁궐이 수창궁(壽昌宮)이다. 그런데 수창궁은 태종이 즉위하던 해인 1400년(정종 2) 12월 22일 화재로 소실되고 만다(『정종실록』 2년 12월 22일). 이후 태종은 시좌소(時座所)에 머물며 정사를 돌봤고, 사신 등을 접대하는 연회는 경덕궁을 활용하곤 했다.

1405년(태종 5) 한양으로 다시 환도한 태종은 1418년(태종 18) 개경에 있는 경덕궁을 왕실의 별궁으로 삼고 박자청(朴子靑)에게 명하여 새롭게 정비하도록 하였다(『태종실록』 18년 2월 6일). 정사를 보는 건물을 짓고, 새로운 누각 북량정(北涼亭)을 세워 규모를 키웠다.

개경에는 태조의 어진을 모신 목청전과 태조의 첫 왕비였던 신의왕후의 무덤인 제릉이 있었다. 태종 사후에 경덕궁은 당대 왕들이 이 두 곳을 살피러 갈 때 머무는 이어소 역할을 했다. 그러나 점점 왕실의 관심이 멀어지면서 퇴락하게 되었고 1693년과 1891년(고종 28)에 개성부의 유생들임 목청전과 더불어 중수할 것을 청하였지만 실행되지 않았다(『숙종실록』 19년 10월 8일).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