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서명응 초상

Encyves Wiki
Jwseo21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8월 8일 (월) 21:40 판 (가족)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서명응 초상
태허, "서명응 형제", 역사를찾아/문집, 『오마이뉴스 블로그 - 역사를찾아』online, 작성일: 2016년 03월 17일.
한자명칭 徐命膺 肖像
작가 미상
제작시기 조선시대
소장처 일본 천리대
유형 초상
크기(세로×가로) 43.6×33.9㎝


정의

조선시대의 문신, 학자인 서명응(1716~1787)의 모습을 그린 초상.

내용

대구 서씨 시조 서한 시제는 충남 예산군 대흥면 하탄방리에서 음력 10월1일에 거행된다


이천서씨는 통일신라 아간대부 서신일(徐神逸),내의령 서필(徐弼),내사령 서희(徐熙),문하시중 서눌(徐訥) 좌복야 서유걸(徐惟傑),평장사 서정(徐靖),우복야 서균(徐均) 판대부사 서린(徐嶙), 평장사 서공(徐恭) 추밀원사 서순(徐淳) 등 7대가 연속 재상이 되어 고려의 최고 문벌 귀족 가문으로 성장한다.


고려 초기에 나라의 기틀의 튼튼히 한 서필(徐弼)이다. 이어 손자 서희(徐熙)와 증손자 서눌(徐訥) 서유걸(徐惟傑) 서유위(徐惟偉) 서주행(徐周行), 고손자 서정(徐靖) 서존(徐存),서균(徐鈞) 서린(徐璘), 서원(徐元) 서공(徐恭) 서성(徐成) 서순(徐淳),서숭조,서희찬,서능(徐稜),서효손,서신계, 서린(徐鱗),서성윤,서념,서원경,서충,서신,서윤,서후상,서윤현 등이 15대를 이어 재상이 되었다.


대구달성서씨(大丘達城徐氏)(달성 서씨 대구 서씨 계보는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주행(徐周行 달성군)-서한(徐閈 군기소윤 종3품.차관)-서신(徐愼 이부판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무질(徐無疾 밀직사 종2품.부총리 재상)-서진(徐晉 판도판서 정3품.장관)-서기준(徐奇俊 문하시중찬성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영(徐穎 문하시중찬성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균형(徐鈞衡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 서익진(徐益進 판전객시사 종2품.부총리 재상)-서침(徐沈 조봉대부 정3품.장관) 서의(徐義 호조전서 정3품.장관) 이다


연산 서씨 계보는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유걸(徐惟傑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존(徐存 병부상서 정3품. 장관)-서청습(徐淸習 판전의시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효리(徐孝理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찬(徐贊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희팔(徐希八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직(徐稷 연성군)-서준영(徐俊英 연성군)- 서보(徐寶 공조전서.정3품 .장관) 으로 이어진다.

부여 서씨 계보는 온조왕(溫祚王)-근초고왕(近肖古王)-무령왕(武寧王)-의자왕(義慈王)-부여융(扶餘隆)-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유걸(徐惟傑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존(徐存 병부상서 정3품. 장관)-서청습(徐淸習 판전의시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효리(徐孝理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찬(徐贊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희팔(徐希八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춘(徐椿 판내부사사 정2품.부총리 재상) 서박(徐樸 봉례공) 으로 이어진다.

남양당성 서씨(남양 서씨 당성 서씨) 계보는 서간(徐趕 태사.남양군. 종1품. 국무총리 재상)-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유걸(徐惟傑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존(徐存 병부상서 정3품. 장관)-서청습(徐淸習 판전의시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효리(徐孝理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찬(徐贊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희팔(徐希八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적(徐迪남양군)으로 이어진다.

서씨일가연합회 [[1]] [[2]]

가족

시조: 서신일 (徐神逸 아간대부. 종1품)

  • 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필(徐弼)(종1품 내의령)
  • 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머니 : 평양 황씨(平壤黃氏)
    • 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희(徐熙)(종1품 내사령)
      • 큰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눌(徐訥)(종1품 문하시중)
      • 큰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유걸(徐惟傑)(정2품 좌복야)
      • 큰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유위(徐惟偉)(정3품 장야서령)
      • 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주행(徐周行)(달성군)
        • 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한(徐閈 정4품 군기소윤)
          • 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신(徐愼 정2품 이부판사)
            • 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무질(徐無疾 종2품 밀직사)
              • 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진(徐晉 정3품 판도판서)
                • 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기준(徐奇俊 정2품 문하시중찬성사)
                  • 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영(徐穎 정2품 문하시중찬성사)
                    • 큰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아버지: 서균형(徐鈞衡 종2품 정당문학)
                      • 큰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침(徐沈 정3품 조봉대부)
                        • 큰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문한(徐文翰 현감)
                          • 큰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제(徐濟, 현감공파(縣監公派)
                          • 큰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도(徐渡, 학유공파(學諭公派)
                          • 큰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섭(徐涉. 판서공파(判書公派)
                        • 큰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문간(徐文幹 현감)
                          • 큰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근중(徐近中, 감찰공파(監察公派)
                        • 큰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문덕(徐文德 현감)
                        • 큰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습(徐漝)
                        • 큰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환(徐渙)
                    • 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아버지: 서익진(徐益進 종2품 판전객시사)
                      • 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의(徐義 정3품 호조전서)
                        • 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미성(徐彌性 정3품 목사(牧使))
                          • 고고고고고고조아버지: 서거광(徐居廣 언양현감)
                            • 고고고고고조아버지:서팽소(徐彭召 사헌부장령)
                              • 큰고고고고조할아버지:서후(徐厚 대사간(大司諫) 정3품)
                              • 큰고고고고조할아버지:서구(徐久)
                              • 큰고고조할아버지:서포(徐包 증참판(贈參判)
                              • 고고고고조할아버지:서고(徐固 예조참의(禮曹參議)
                                • 고고고조할아버지:서해(徐嶰 학자)
                                  • 고고조아버지:서성(徐渻 판중추부사 종1품)
                                    • 큰고조할아버지:서경우(徐景雨 우의정 정1품)
                                      • 큰증조아버지:서원리(徐元履) 함경도 감사(監司))
                                        • 큰할아버지:서문중(徐文重 영의정 정1품)
                                    • 큰고조할아버지:서경수(徐景需 전첨)
                                    • 크고조할아버지:서경빈(徐景霦 현감)
                                    • 고조할아버지:서경주(徐景霌 달성위 선조부마)
                                      • 증조조할아버지 : 서정리(徐貞履 부사)
                                        • 큰할아버지 : 서문상(徐文尙) 병조 참의)
                                          • 큰아버지:서종태 (徐宗泰 영의정 정1품)
                                            • 큰삼촌:서명균 (徐命均 좌의정 정1품)
                                              • 큰조카:서지수 (徐志修 영의정 정1품)
                                                • 큰손조카:서유신(徐有臣 대제학 정2품)
                                                  • 큰증조카:서영보(徐榮輔 대제학 정2품)
                                                    • 큰고조카: 서기순(徐箕淳 대제학 정2품)
                                              • 작은조카:서무수(徐懋修 학자)
                                                • 작은손조카:서유돈(徐有敦 현감)
                                                  • 작은증조카:서당보(徐堂輔 영의정 정1품)
                                        • 할아버지: 서문유(徐文裕 부사)
                                          • 아버지: 서종옥(徐宗玉 이조판서 정2품)
                                            • 형:서명익(徐命翼 이조판서 정2품)
                                              • 아들양자: 서호수(徐浩修 이조판서 정2품)
                                                • 손자: 서유구(徐有榘 대제학 정2품)
                                            • 본인: 서명응 (徐命膺 대제학 정2품)
                                            • 동생: 서명선 (徐命善 영의정 정1품)
                                      • 작은증조조할아버지 : 서정리(徐正履 좌랑)
                                      • 작은증조조할아버지 : 서진리(徐晉履 직장)
                                • 작은고고조할아버지:서엄(徐崦)
                          • 작은고고고고고고조아버지: 서거정 (徐居正 좌찬성 종1품)
  • 큰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목(徐穆)(종1품 문하시중.이천백)

초상의 제작 및 보관

<서명응 초상>은 화면 우측 상단에 ‘대총재 삼관대학사 내각학사 보한재공 육십칠세초상 명응(大冢宰 三官大學士 內閣學士 保晩齋公 六十六歲眞 命膺)’라고 쓴 제기가 있어 보한재 서명응의 초상임을 알 수 있다. 명응이라고 이름을 쓴 것은 나중에 기입한 것으로 보인다. 서명응의 나이 67세면 1782년이 된다. 18세기의 초상화로 보기에는 그 화풍이 이질적이어서 후대의 이모본으로 생각된다.
역사적 인물인 서명응의 모습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인물사적으로 중요한 자료가 되는 작품이다.

초상에 묘사된 모습

<서명응 초상>은 오사모단령 차림의 반신상으로 얼굴은 좌안팔분면으로 그려졌다. 사모는 모체가 낮고 양각의 끝이 둥글며 앞쪽으로 약간 굽은 모습이다. 흑단령은 전 시대보다 깃이 더욱 깊게 패이고 이중 고름을 매고 있어 조선 후기 단령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서명응은 정2품에 올랐으므로 당상관용 운학흉배를 착용하였다.[1] 얼굴은 선염으로 묘사되었다.
서명응의 얼굴에서는 오른쪽 눈 주위에 붉고 큰 반점이 있어 특징적이며 수염의 숱이 아주풍성하고 색이 짙은 모습이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서명응 초상 초상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서명응 초상 서명응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서명응 초상 일본 천리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좌안팔분면 서명응 초상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반신상 서명응 초상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오사모 서명응 초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단령 서명응 초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운학흉배 서명응 초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4.594644 135.846311 서명응 초상일본 천리대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이강철, 『역사 인물 초상화 대사전』, 현암사, 2003, 390쪽.
  2. 태허, "서명응 형제", 역사를찾아/문집, 『오마이뉴스 블로그 - 역사를찾아』online, 작성일: 2016년 03월 17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이강철, 『역사 인물 초상화 대사전』, 현암사,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