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기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설)
7번째 줄: 7번째 줄:
  
 
본관은 대구(大丘). 자는 비연(斐然), 호는 소재(篠齋). 예조판서 [[서문유]](徐文礻+谷)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황주목사 [[서종벽]](徐宗壁)이고, 아버지는 의빈부도사 [[서명민]](徐命敏)이며, 어머니는 온양정씨(溫陽鄭氏)로 이조판서 정창유(鄭昌兪)의 딸이다.
 
본관은 대구(大丘). 자는 비연(斐然), 호는 소재(篠齋). 예조판서 [[서문유]](徐文礻+谷)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황주목사 [[서종벽]](徐宗壁)이고, 아버지는 의빈부도사 [[서명민]](徐命敏)이며, 어머니는 온양정씨(溫陽鄭氏)로 이조판서 정창유(鄭昌兪)의 딸이다.
 +
 +
 +
== 가족 ==
 +
* 증조할아버지: [[서문유]](徐文裕 부사)
 +
** 큰할아버지: [[서종옥]](徐宗玉 이조판서 정2품)
 +
*** 큰아버지:[[서명익]](徐命翼 이조판서 정2품)
 +
**** 사촌(양자.[[서명응]]의 자): [[서호수]](徐浩修 부제학 이조판서 정2품)
 +
***** 큰조카:[[서유본(조선)|서유본]](徐有本 학자)
 +
*** 큰아버지: [[서명응]] (徐命膺 대제학 정2품)
 +
**** 사촌(양자.[[서명장]]의 자): [[서철수]](徐澈修 진사)
 +
***** 아들(양자.[[서호수]]의 자): [[서유구]](徐有榘 대제학 정2품)
 +
**** 큰아버지: [[서명선]] (徐命善 영의정 정1품)
 +
**** 아버지: [[서명성]] (徐命誠 진사)
 +
****** 본인(양자. [[서명응]]의 자):[[서형수(조선)|서형수]](徐瀅修 이조참판)
 +
** 할아버지: [[서종벽]](徐宗璧 목사)
 +
*** 아버지: [[서명민]](徐命敏 호조정랑)
 +
**** 본인: [[서기수]](徐淇修 이조참의)
 +
***** 아들: [[서유훈]](徐有薰 이조판서 정2품)
 +
** 작은할아버지: [[서종수]](徐宗秀 진사)
 +
*** 작은아버지:[[서명신]](徐命臣 제학 형조판서 정2품)
  
 
== 생애 및 활동사항 ==
 
== 생애 및 활동사항 ==

2022년 8월 12일 (금) 15:21 판

정의

조선후기 세자시강원문학, 대사성, 이조참의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대구(大丘). 자는 비연(斐然), 호는 소재(篠齋). 예조판서 서문유(徐文礻+谷)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황주목사 서종벽(徐宗壁)이고, 아버지는 의빈부도사 서명민(徐命敏)이며, 어머니는 온양정씨(溫陽鄭氏)로 이조판서 정창유(鄭昌兪)의 딸이다.


가족

  • 증조할아버지: 서문유(徐文裕 부사)
    • 큰할아버지: 서종옥(徐宗玉 이조판서 정2품)
    • 할아버지: 서종벽(徐宗璧 목사)
      • 아버지: 서명민(徐命敏 호조정랑)
        • 본인: 서기수(徐淇修 이조참의)
          • 아들: 서유훈(徐有薰 이조판서 정2품)
    • 작은할아버지: 서종수(徐宗秀 진사)
      • 작은아버지:서명신(徐命臣 제학 형조판서 정2품)

생애 및 활동사항

1792년(정조 16) 사마시에 합격하고, 1801년(순조 1) 증광 문과에 갑과(甲科) 3등으로 급제하여 한림원기거주(翰林苑起居注)로 임명되었다. 하지만 1806년(순조 6) 시파 김조순과 벽파 김달순 사이의 권력다툼에 연루되어 함경도 갑산(甲山)에 유배되었다. 1811년 해배될 때까지 5년에 걸친 유배생활 동안 오직 독서에 전념하였으며, 자신이 거처하는 방을 ‘목석거(木石居)’라 부르고 일체 세사에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유배에서 풀려나자 친지들과 함께 백두산을 유람한 뒤 그때의 기행문으로 「유백두산기(遊白頭山記)」를 썼다. 1825년(순조 25) 세자시강원문학, 1830년 대사성, 1831년 이조참의 등을 역임하였다. 청빈한 생활에 자족하며 시작에 많은 정열을 쏟았다. 특히, 사영운(謝靈運)·맹호연(孟浩然)·두보(杜甫)를 흠모하였으며, 대체로 자연을 대상으로 한 산수시를 많이 썼다.

저서로는 『소재집(篠齋集)』 4권이 있다.


대구 서씨 시조 서한 시제는 충남 예산군 대흥면 하탄방리에서 음력 10월1일에 거행된다


이천서씨는 통일신라 아간대부 서신일(徐神逸),내의령 서필(徐弼),내사령 서희(徐熙),문하시중 서눌(徐訥) 좌복야 서유걸(徐惟傑),평장사 서정(徐靖),우복야 서균(徐均) 판대부사 서린(徐嶙), 평장사 서공(徐恭) 추밀원사 서순(徐淳) 등 7대가 연속 재상이 되어 고려의 최고 문벌 귀족 가문으로 성장한다.


고려 초기에 나라의 기틀의 튼튼히 한 서필(徐弼)이다. 이어 손자 서희(徐熙)와 증손자 서눌(徐訥) 서유걸(徐惟傑) 서유위(徐惟偉) 서주행(徐周行), 고손자 서정(徐靖) 서존(徐存),서균(徐鈞) 서린(徐璘), 서원(徐元) 서공(徐恭) 서성(徐成) 서순(徐淳),서숭조,서희찬,서능(徐稜),서효손,서신계, 서린(徐鱗),서성윤,서념,서원경,서충,서신,서윤,서후상,서윤현 등이 15대를 이어 재상이 되었다.


대구달성서씨(大丘達城徐氏)(달성 서씨 대구 서씨 계보는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주행(徐周行 달성군)-서한(徐閈 군기소윤 종3품.차관)-서신(徐愼 이부판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무질(徐無疾 밀직사 종2품.부총리 재상)-서진(徐晉 판도판서 정3품.장관)-서기준(徐奇俊 문하시중찬성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영(徐穎 문하시중찬성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균형(徐鈞衡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 서익진(徐益進 판전객시사 종2품.부총리 재상)-서침(徐沈 조봉대부 정3품.장관) 서의(徐義 호조전서 정3품.장관) 이다


연산 서씨 계보는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유걸(徐惟傑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존(徐存 병부상서 정3품. 장관)-서청습(徐淸習 판전의시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효리(徐孝理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찬(徐贊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희팔(徐希八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직(徐稷 연성군)-서준영(徐俊英 연성군)- 서보(徐寶 공조전서.정3품 .장관) 으로 이어진다.

부여 서씨 계보는 온조왕(溫祚王)-근초고왕(近肖古王)-무령왕(武寧王)-의자왕(義慈王)-부여융(扶餘隆)-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유걸(徐惟傑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존(徐存 병부상서 정3품. 장관)-서청습(徐淸習 판전의시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효리(徐孝理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찬(徐贊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희팔(徐希八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춘(徐椿 판내부사사 정2품.부총리 재상) 서박(徐樸 봉례공) 으로 이어진다.

남양당성 서씨(남양 서씨 당성 서씨) 계보는 서간(徐趕 태사.남양군. 종1품. 국무총리 재상)-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유걸(徐惟傑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존(徐存 병부상서 정3품. 장관)-서청습(徐淸習 판전의시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효리(徐孝理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찬(徐贊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희팔(徐希八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적(徐迪남양군)으로 이어진다.

서씨일가연합회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