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곡서원 KU"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인물) |
잔글 (판 1개) |
(차이 없음)
|
2017년 3월 5일 (일) 08:18 기준 최신판
심곡서원(深谷書院/Simgok Seowon) | |
---|---|
지정 번호 | |
지정연월일 | 1972-05-04 |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수지읍 상현리 |
제향 인물 | 조광조(趙光祖) 양팽손(梁彭孫) |
제향일 | |
건립 연대 | 효종1(1650년) |
사액 연대 | 1650년 |
다른 이름 | |
건물 배치 | |
특기사항 |
심곡서원(德川書院)은 1650년(효종1)에 창건되었으며,조광조(趙光祖)의 위패를 모셨다.처음에는 그의 위패를 모현면에 있는 정몽주(鄭夢周)를 배향하던 조광조 (忠烈書院)에 모셨다가, 조광조의 무덤이 있는 이곳으로 옮겼다. 설림과 함께 사액을 받았으며,양팽손(梁彭孫)을 함께 배향했다.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 때에도 남아 있던 47개 서원 가운데 하나이다.
- 타입: 문화유산
- 항목명: 심곡서원(深谷書院/Simgok Seowon)
- 지역: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 203-2[심곡로 16-9]
- 위치: 위도 37.30572 / 경도 127.0767
- 편자: 심곡서원팀 최영희
유래
서원은 조선중기 이후 강학과 선형의 제향을 위해 향촌에 설립된 교육기관으로, 현재 경기도에는 59개 중 26개의 서원만이 남아있다.
용인 심곡서원은 조선 중종 때 사림파의 영수로 급진적인 개혁을 추진하다가 기묘사화(1591)로 희생당한 정암 조광조(趙光祖,1482~1591)를 추모하기 위해 창건된 서원이다.
조광조는 사림파의 영수로 이상정치를 구현하고 훈구세력의 타도와 구제의 개혁 및 새로운 질서의 수립에 나섰다가 1591년(중종14)기묘사화 때 사사되었으나, 1568년(선조1)에 신원되어 문묘에 배향되고 영의적으로 추증되었으며, 퇴계 이황의 의견에 따라 문정이란 시호를 받았다.
그 뒤 그의 학문과 덕행을 흠모하는 후학들에 의해 전국에 많은 향사가 세워졌다. 1570년(선조3)에는 유배지이면서 죽음을 당한 능주에 죽수서원이 세워졌고, 1573년(선조6) 그가 노닐던 도봉산에는 도봉서원이, 1576년 희천에는 양현사가, 1650년(효종1) 용인에는 심곡서원이 세워졌으며, 1818년(순조18)에는 순천에 용강서원 서원이 세워져 배향되었다.
용인은 조광조가 부친을 장례한 후 여막을 짓고 시묘하던 곳이며, 조광조의 묘소가 있는 곳이어서 일찍부터 서원을 세우기 위한 논의가 있었으나 재력이 부족하여 포은 정몽주(鄭夢周, 1337 ~ 1392)를 제향하던 용인 모현면의 충렬서원에 입향하여 오다가, 1650년에 들어서 묘소 인근에 서원을 건립하고 '심곡(深谷)'이란 사액을 받으면서 위패를 옮겨오게 되었으며 1658년에는 양팽손(梁彭孫)을 추가 제향하였다.
문화유산
- 심곡서원은 경사지에 홍살문•외삼문•강당•내삼문•사당을 잇는 중심축을 구성하여 전학후묘(前學後廟) 형식으로 배치되었다. 심곡서원 입구에 하마비가 있다. 경내의 건물로는 사우(祠宇)•일소당日昭堂)•장서각(藏書閣)•내삼문(內三門)•외삼문(外三門) 등이 있고 옆쪽으로 밖과 통하는 사주문과 오백년 느티나무•천원지방 연못 등이 있다. 심곡서원과 가까운 곳에 조광조묘가 있다.
- 용인 지역의 고고학적 조사는 일제시대 도요지 중심으로 시작되었고, 본격적인 조사는 국립박물관에 의해 추진되었다. 조사지역 주변의 문화유적으로 신라의 용인 보정동 고분군이 있으며, 통일신라시대의 성복동 요지가 위치가 있다. 그리고 고려 전기의 문수산 마애보살상.고려시대의 서봉사 현오국사 탑비가 있으며, 조상시대의 채제공선생뇌문비 등 문화재가 있다. 또한 용인 지역은 한성과 가까운 지리적 조건으로 인하여 조선시대 명문가들이 위치하고 있어 유형원,심사정 등 저명한 인물의 분묘와 묘갈 등이 상당수 남아있다.
- 기묘사화(1591)로 인해 화를 입은 조광조, 이자, 조광좌, 조광보등 네 선비가 모여 장수, 강학 하던 사은정이 기흡읍 지곡리에, 남구만 사당이 모현면 갈담리 파담마을에, 포은사당이 모현면 능원리에 있고, 용인 이주국장군고택이 원삼면 문촌리에 있다.
개념
- 1972년 5월 4일 경기도유형문화재 제7호로 지정된 심곡서원은 조광조를 모신 서원이다. 문신이자 성리학자인 조광조(趙光祖)[1482~1519]는 시험을 통한 선발제인 과거제에 추천제를 결합시킨 현량과를 제안한다. 훈구에 대항해 새로이 떠오르는 사림파의 지도자였던 조광조는 과거제로는 사림의 중앙 정계 진출이 어렵다 판단하고, 지방의 사림이 활발히 등용될 수 있는 추천제를 적극 활용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행동은 결국 훈구의 반격인 기묘사화로 이어졌다
- 사화는 ‘사림(士林)의 화’의 준말로서, 1498년(연산군 4)의무오사화, 1504년의갑자사화, 1519년(중종 14)의기묘사화, 1545년(명종 즉위년)의을사사화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장소
심곡서원 주변명소
- 광교산너울길(10㎞)은 심곡서원~매봉약수터~성불사~서봉사지~법륜사~손골성지 코스로 구성됐으며, 구간 내 심곡서원 탐방로도 별도 조성됐다.
- 문수봉.성지순례너울길은 양지면 송문교에서 은이성지, 청정학일마을 등을 거치는 2개 코스(각각13.4㎞, 19.4㎞)로 구성되어 다양한 숲길을 즐길 수 있다.
- 구봉산너울길(12㎞)은 연미향마을~둥지박물관~구봉산~정배산~MBC드라미아 코스로 조성됐다.
- 그외에 코스별로 지역 관광명소, 유적지, 종교성지, 농촌체험마을, 박물관, 그리고 등산로 등이 포함돼 용인의 역사와 문화, 자연생태를 어우르는 산책을 즐길 수 있다. 주변에 가장 가까운 산은 광교산인데 광교산은 법륜사에서 한방에 시루봉까지 올라갈 수 있다.
심곡서원이 위치한 경기도 용인의 지세와 역사학적위치
- 자연지리위치:용인시의 전체적인 지세는 동북부에 광주산맥과 동남부의 차령산맥이 뻗어있고 산간계곡에 작은 하천이 발달하였고 그 주변으로 침식분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형은 기복이 심한 편이다. 이런 지세 속에서 심곡서원은 주산인 소실봉을 뒤로 하고, 앞에는 넓게 펼쳐져 있는 전답고 멀리 안산과 조산은 연봉과 형제봉을 바라보고 있다. 주변 하천으로는 신봉천과 성복천이 있으며, 이 두 하천은 발굴지역 동북측에 위치한 임진산 아래에서 풍덕천에 합류하여 탄천을 지나 서울 잠실 지역에서 한강으로 유입된다.
- 역사학적위치:조선시대에는 유교를 국가의 통치이념으로 채택하였는데, 용인에도 유교와 관련된 유적들이 많이 있다. 지방교육을 위해 세워진 용인향교와 양지향교가 남아 있으며, 지방교육을 담당하였던 기능과 더불어 사림의 기반세력이었던 서원으로는 충렬서원과 심곡서원이 있다.
콘텐츠
청음기획, 음악캠프, 학부모세미나,통일염원광복절기념음악회, 서원연구관련강의,통일염원<파발봉수지도만들기, 희망풍선날리기>, 심곡문화유산답사,심곡아카데미,용인문화유산도슨트양성과정<문화유산체계적공부, 학예연구사자격증, 문화재수리기술자격증>, 심곡아카데미, 심곡서원주말캠핑<심곡서원놀토체험관, 심곡서원주말캠핑>, 꼬마선비체험
- 뉴스:용인 심곡서원 꼬마선비체험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6802234
- 주)A&A문화연구소, A&A아카데미
- http://blog.naver.com/wnsyd?Redirect=Log&logNo=40209858619
사건
- 기묘사화
- 서원건립/복원
- 조영 과정
- 서원철폐령
- 부관참시
- 문헌 도난사건
- 조광조 죽음/사약
- 사액
- 향약 보급운동
- 반정공신 위훈 삭제
- 개혁
- 2월 8월 중정일(中丁日)
- 대원군 비훼철 47개서원
- 심곡서원 관광명소화
인물
- 조광조사진 양팽손산수도
- 조광조(趙光祖, 1482~1519)
- 양팽손(梁彭孫, 1480~1545)
- 박수문(朴守紋, ? ~ ?)
- 김안로(金安老, 1481 ~ 1537)
- 중종(中宗, 1488 ~ 1544)
- 이자( 李耔, ? ~ ?)
- 조광좌(趙光佐, 1483 ~ 1521)
- 조광보(趙光輔, ? ~ ?)
- 길재(吉再, 1353 ~ 1419)
- 정몽주(鄭夢周, 1337 ~ 1392)
- 김종직(金宗直, 1431 ~ 1492)
-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 ~ 1898)
- 연산군燕山君, 1476 ~ 1506)
문헌
- 심곡서원에는 많은 문헌이 소장되어 있었으나, 한국전쟁 때 제반 문헌이 탕실되고, 1987년과 1993년에 걸쳐 많은 양의 서적과 목판본 등을 도난당해 현재 정암집 외에 몇 십권만 전해진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