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거제 외포리 석조약사여래좌상

HeritageWiki
Songyi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4월 19일 (월) 16:53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거제외포리석조약사여래좌상.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804550000 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거제외포리석조약사여래좌상
0
거제 외포리 석조약사여래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거제외포리석조약사여래좌상
영문명칭 0
한자 巨濟 外浦里 石造藥師如來坐像
주소 경상남도 거제시 지세포3길 98 (일운면, 영은사)
지정번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55호
지정일 2007년 9월 6일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시대 시대미상
수량/면적 1구
웹사이트 거제 외포리 석조약사여래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이 석불은 주형광배(舟形光背)에 우견편단(右肩偏袒)의 법의(法衣), 항마촉지(降魔觸地)의 수인(手印)을 결하고 있는 총고 72㎝의 단아한 불상이다. 안면부의 훼손상태가 심하지만 광배의 가장자리에 화염당초문(火焰唐草紋)장식문양과 의습 처리의 표현기법이 돋보이는 석불로서 고려말 조선 초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이 석불은 비교적 고식(古式)의 전통을 살린 불상으로 손의 위치나 옷주름 처리 등의 조각기법은 지방색을 드러내고 있음을 엿볼 수 있으며, 손바닥 위에 보주(寶珠)가 올려져 있어 약사상(藥師像)임을 알 수 있다. 당초 이 불상은 거제지역의 유일한 노천석불(露天石佛)로서 거제시 장목면 외포리 소계마을 위쪽 논 언덕의 경사면을 깎아 양측에 활석(滑石)을 쌓아 그 위에 큰 1개의 개석(蓋石)을 얹고 앞이 개방된 석굴 내부에 봉안되어 있었으며, 소계마을의 수호신이자 지역 주민의 기복신앙(祈福信仰)의 대상이었으나, 도난 및 훼손의 우려가 있어 앞으로의 안전한 보존을 위해 2007년 8월 영은사(靈隱寺)로 옮겨 봉안(奉安)하였다. 이 석불은 고려말 조선초에 제작된 불상으로서 자료적 가치가 인정되어 2007년 9월 6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수정 국문

초고

1차 수정

문맥요소

Nodes

Links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