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함평 자형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4번째 줄: 4번째 줄: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602850000 함평 자형정],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602850000 함평 자형정],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함평 자형정
 
|대표명칭=함평 자형정
|영문명칭=
+
|영문명칭=Jahyeongjeong Pavilion, Hampyeong
 
|한자=咸平 紫荊亭
 
|한자=咸平 紫荊亭
 
|주소=전라남도 함평군 월야면 월야석계길 61(월계리 419)
 
|주소=전라남도 함평군 월야면 월야석계길 61(월계리 419)
32번째 줄: 32번째 줄:
  
 
===영문===
 
===영문===
 +
'''Jahyeongjeong Pavilion, Hampyeong'''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광산김씨 가문의 김상순(金相純, 1842~1912)과 김상린(金相麟, 1853~1917) 형제가 만년에 지은 정자이다. 정자의 이름 ‘자형(紫荊)’은 박태기나무를 가리키며, 형제간의 우애를 상징한다. 자형정이 있는 월계리는 18세기 말 이후로 광산김씨가 대대로 살아온 마을이다.  
+
광산김씨 가문의 김상순(1842-1912)과 김상린(1853-1917) 형제가 만년에 지은 정자이다. 자형정이 있는 월계리는 18세기 말 이후로 광산김씨가 대대로 살아온 마을이다. 정자의 이름 ‘자형’은 박태기나무를 가리키며, 형제간의 우애를 상징한다.  
  
형제는 최익현(崔益鉉, 1833~1907), 기우만(奇宇萬, 1846~1916) 등 당시 전라도 지역에 연고가 있는 항일우국지사들과 교유하였으며, 자형정은 이들이 모여 강학하고 토론하던 교류 공간으로써의 역할을 담당했다.
+
정자는 1901년 이전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형제는 당시 전라도 지역에 연고가 있는 항일지사들과 교유하였으며, 이곳에 모여 강학하고 토론하였다.  
  
자형정은 1901년 이전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의 건물은 김상순의 손자와 김상린의 아들이 1910년에 중수한 것이다. 중앙에 방을 두고 사방에 마루를 둘렀으며, 방의 문을 들어 올리면 방과 마루가 연결되어 공간이 크게 확장된다. 건물의 앞면과 옆면에는 지붕을 이중으로 덧대어 회랑(回廊) 형식의 공간을 만들었다.
+
지금의 건물은 김상순의 손자와 김상린의 아들이 1910년에 고쳐 지은 것이다. 중앙에 방을 두고 사방에 마루를 둘렀으며, 방의 문을 들어 올리면 방과 마루가 연결되어 공간이 확장된다. 건물의 앞면과 옆면에는 지붕을 이중으로 덧대어 회랑(回廊) 형식의 공간을 만들었다.
  
 
=='''참고자료'''==
 
=='''참고자료'''==

2020년 7월 24일 (금) 14:21 판


함평 자형정
Jahyeongjeong Pavilion, Hampyeong
함평 자형정,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함평 자형정
영문명칭 Jahyeongjeong Pavilion, Hampyeong
한자 咸平 紫荊亭
주소 전라남도 함평군 월야면 월야석계길 61(월계리 419)
지정번호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85호
지정일 2017년 8월 24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조경건축/누정
수량/면적 1,465㎡
웹사이트 함평 자형정,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자형정은 광산 김씨 가문의 김상순(金相純, 1842~1912)과 김상린(金相麟, 1853~1917) 형제가 만년에 지은 정자이다. 고종 38년(1901) 이전에 지은 것으로 추정하며, 지금의 건물은 김상순의 손자와 김상린의 아들이 1910년에 고쳐 지은 것이다. 정자의 이름 ‘자형’은 박태기나무를 뜻하는데, 형제간의 우애를 상징한다.

자형정은 중앙에 방을 두고 사방에 마루를 둘렀으며, 방문을 들어 올리면 방과 마루가 연결되어 공간이 확장된다. 건물의 앞면과 옆면에는 지붕을 이중으로 덧대어 회랑(回廊) 형식의 공간을 두었다.

자형정은 김상순, 김상린 두 형제가 최익현(崔益鉉, 1833~1907), 기우만(奇宇萬, 1846~1916) 등 당시 전라도 지역에 연고가 있는 항일 우국지사들과 교유하며 모여 강학하고 토론하던 곳이다.

자형정이 있는 월계리는 18세기 말 이후로 광산 김씨가 대대로 살아온 마을이다.

영문

Jahyeongjeong Pavilion, Hampyeong

영문 해설 내용

광산김씨 가문의 김상순(1842-1912)과 김상린(1853-1917) 형제가 만년에 지은 정자이다. 자형정이 있는 월계리는 18세기 말 이후로 광산김씨가 대대로 살아온 마을이다. 정자의 이름 ‘자형’은 박태기나무를 가리키며, 형제간의 우애를 상징한다.

정자는 1901년 이전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형제는 당시 전라도 지역에 연고가 있는 항일지사들과 교유하였으며, 이곳에 모여 강학하고 토론하였다.

지금의 건물은 김상순의 손자와 김상린의 아들이 1910년에 고쳐 지은 것이다. 중앙에 방을 두고 사방에 마루를 둘렀으며, 방의 문을 들어 올리면 방과 마루가 연결되어 공간이 확장된다. 건물의 앞면과 옆면에는 지붕을 이중으로 덧대어 회랑(回廊) 형식의 공간을 만들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