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고성이씨 탑동파 종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안동고성이씨탑동파종택.jpg
 
|사진=안동고성이씨탑동파종택.jpg
32번째 줄: 31번째 줄:
 
'''Head House of the Tapdong Branch of the Goseong Yi Clan, Andong'''
 
'''Head House of the Tapdong Branch of the Goseong Yi Clan, Andong'''
  
This is the head house of the Tapdong Branch of the Goseong Yi Clan*. A head house is a residence passed down among the male successors of a family lineage.  
+
This is the head house of the Tapdong Branch of the Goseong Yi Clan. A head house is a residence passed down among the male successors of a family lineage.
  
The founder of the clan is the civil official of the Goryeo period (918-1392) Yi Hwang. The first person of the clan to settle in the Andong area is Yi Jeung (1419-1480). When in 1519 Yi Jeung’s son Yi Myeong built Imcheonggak House, the family finally settled in this village. Later, Yi Myeong’s fourth-generation descendant Yi Jeok established the Tapdong Branch of the clan. The village carries the name Beopheung-dong, because of Beopheungsa Temple which had been established here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668-935)**. Although the temple has disappeared, its brick pagoda still remains in front of this head house which is why the name of the brach is Tapdong meaning “pagoda village.
+
The house was established in 1685 by Yi Hu-sik (1653-1714), the great-grandson of the founder of the Tapdong Branch of the Goseong Yi Clan. The name Tapdong means “Pagoda Village,” referring to the Buddhist pagoda in front of the house, which is Korea’s oldest and tallest brick pagoda. The house consists of a main gate, a men’s quarters with a pond, an inner gate, a women’s quarters, a detached quarters, and a shrine. The structure and architectural features of the house are well-preserved in their original form and is representative of traditional upper-class residences in the Gyeongsangbuk-do region.
  
The construction of this head house was initiated in 1685 by Yi Jeok’s great-grandson Yi Hu-sik (1653-1714). The house is harmoniously integrated with the surrounding nature. It includes the typical for an upper-class house buildings such as a women’s quarters, men’s quarters, detached quarters, and a shrine. The structure and the architectural features of the house are well-preserved in their original form which makes this house valuable for the research on Korea’s traditional housing.
+
The Goseong Yi Clan was founded by Yi Hwang, a civil official of the Goryeo period (918-1392). The first person of the clan to settle in the Andong area was Yi Jeung (1419-1480), and the clan began living in this village after Yi Jeung’s son Yi Myeong established the nearby Imcheonggak House in 1519. The founder of the Tapdong Branch of the clan, Yi Jeok, was Yi Myeong’s great-great-grandson.
 
 
 
 
*Do we write “clan” with the capital letter again?
 
**or around the 8th century.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이 집은 고성이씨 탑동파 가문의 종택이다. 종택은 한 가문의 맏이가 대대로 살아온 집을 말한다.  
+
이 집은 고성이씨 탑동파 가문의 종택이다. 종택은 한 가문의 맏이가 대대로 살아온 집을 말한다.
  
고성이씨의 시조는 고려시대의 문신인 이황이고, 안동에 처음 정착한 고성이씨는 이증(1419-1480)이다. 이증의 아들 이명이 1519년 법흥동에 임청각을 지은 뒤 고성이씨 후손들이 이 마을 일원에 자리를 잡게 되었고, 이명의 4세손 이적이 분파하면서 탑동파가 시작되었다. 이 마을은 통일신라시대의 사찰인 법흥사가 있던 마을이라 법흥동이라 하였고, 법흥사에 속해있던 전탑이 종택 앞에 남아 있어 이 가문을 탑동파라 불렀다.  
+
이 집은 고성이씨 탑동파 파조 이적의 증손인 이후식(1653-1714)이 1685년에 지었다. 탑동은 ‘탑 마을’이라는 뜻으로, 집 앞에 한국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큰 전탑이 있어서 비롯된 이름이다. 집은 대문, 연못이 있는 사랑채, 중문, 안채, 별당, 사당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옥의 구조와 건축 양식이 잘 보존되어 있고, 조선시대 양반 가옥의 요소를 두루 갖추고 있다.
  
이 종택은 이적의 증손인 이후식(1653-1714)이 1685년에 짓기 시작하였으며, 주변 자연환경과 전통 건물을 잘 조화시킨 저택이다. 안채, 사랑채, 별당, 사당 등 조선시대 양반 가옥의 요소를 두루 갖추고 있으며, 가옥의 구조와 건축 양식이 잘 보존되어 있어 전통 주택 연구의 중요한 자료가 된다.
+
고성이씨의 시조는 고려시대의 문신인 이황이고, 안동에 처음 정착한 고성이씨는 이증(1419-1480)이다. 이증의 아들 이명이 1519년 법흥동에 임청각을 지은 뒤 고성이씨 후손들이 마을 일원에 자리를 잡게 되었다. 탑동파의 파조 이적은 이명의 4세손이다.
  
 
=='''문맥요소'''==
 
=='''문맥요소'''==
77번째 줄: 72번째 줄:
 
[[분류:종택]]
 
[[분류:종택]]
 
[[분류:2021 국문집필]]
 
[[분류:2021 국문집필]]
 +
[[분류:2021 영문집필]]

2021년 8월 2일 (월) 08:04 기준 최신판

안동 고성이씨 탑동파 종택
Head House of the Tapdong Branch of the Goseong Yi Clan, Andong
안동 고성이씨 탑동파 종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안동 고성이씨 탑동파 종택
영문명칭 Head House of the Tapdong Branch of the Goseong Yi Clan, Andong
한자 安東 固城李氏 塔洞派 宗宅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임청각길 103 (법흥동)
지정번호 국가민속문화재 제185호
지정일 1984년 1월 14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0필지/ 지정구역 2,943㎡, 보호구역 891㎡
웹사이트 안동 고성이씨 탑동파 종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이 집은 고성이씨 탑동파 가문의 종택이다. 종택은 한 가문의 맏이가 대대로 살아온 집을 말한다.

고성이씨의 시조는 고려시대의 문신인 이황(李璜)이며, 안동에 처음 정착한 고성이씨는 12세 이증(李增, 1419~1480)이다. 이증의 아들 이명(李洺)이 임청각을 지은 뒤 고성이씨 후손들이 법흥동 일원에 자리를 잡았고, 이명의 현손 이적(李適)이 분파하면서 탑동파가 시작되었다. 이곳에 통일신라 시대의 절인 법흥사가 있었으며, 법흥사에 있던 전탑이 종택 앞에 남아 있어서 이 가문을 탑동파라고 불렀다.

이 종택은 주변 자연 환경과 전통 건물을 잘 조화시킨 저택이다. 안채, 사랑채, 별당, 사당 등 조선 시대 양반 가옥의 요소를 두루 갖추고 있으며, 가옥의 구조와 건축 양식이 잘 보존되어 있어 전통 주택 연구의 중요한 자료이다.

영문

Head House of the Tapdong Branch of the Goseong Yi Clan, Andong

This is the head house of the Tapdong Branch of the Goseong Yi Clan. A head house is a residence passed down among the male successors of a family lineage.

The house was established in 1685 by Yi Hu-sik (1653-1714), the great-grandson of the founder of the Tapdong Branch of the Goseong Yi Clan. The name Tapdong means “Pagoda Village,” referring to the Buddhist pagoda in front of the house, which is Korea’s oldest and tallest brick pagoda. The house consists of a main gate, a men’s quarters with a pond, an inner gate, a women’s quarters, a detached quarters, and a shrine. The structure and architectural features of the house are well-preserved in their original form and is representative of traditional upper-class residences in the Gyeongsangbuk-do region.

The Goseong Yi Clan was founded by Yi Hwang, a civil official of the Goryeo period (918-1392). The first person of the clan to settle in the Andong area was Yi Jeung (1419-1480), and the clan began living in this village after Yi Jeung’s son Yi Myeong established the nearby Imcheonggak House in 1519. The founder of the Tapdong Branch of the clan, Yi Jeok, was Yi Myeong’s great-great-grandson.

영문 해설 내용

이 집은 고성이씨 탑동파 가문의 종택이다. 종택은 한 가문의 맏이가 대대로 살아온 집을 말한다.

이 집은 고성이씨 탑동파 파조 이적의 증손인 이후식(1653-1714)이 1685년에 지었다. 탑동은 ‘탑 마을’이라는 뜻으로, 집 앞에 한국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큰 전탑이 있어서 비롯된 이름이다. 집은 대문, 연못이 있는 사랑채, 중문, 안채, 별당, 사당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옥의 구조와 건축 양식이 잘 보존되어 있고, 조선시대 양반 가옥의 요소를 두루 갖추고 있다.

고성이씨의 시조는 고려시대의 문신인 이황이고, 안동에 처음 정착한 고성이씨는 이증(1419-1480)이다. 이증의 아들 이명이 1519년 법흥동에 임청각을 지은 뒤 고성이씨 후손들이 이 마을 일원에 자리를 잡게 되었다. 탑동파의 파조 이적은 이명의 4세손이다.

문맥요소

Nodes

Links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