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묵계서원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안동 묵계서원
Mukgyeseowon Confucian Academy, Andong
안동 묵계서원 및 보백당 종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안동 묵계서원
영문명칭 Mukgyeseowon Confucian Academy, Andong
한자 安東 默溪書院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묵계리 735-1
지정번호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9호
지정일 1980년 6월 17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수량/면적 3동 1식
웹사이트 안동 묵계서원 및 보백당 종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서원은 조선 시대에 세워진 사립 교육기관으로, 선현에 대한 제사와 교육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묵계서원은 조선 초 문신 보백당 김계행(寶白堂 金係行)과 응계 옥고(凝溪 玉沽)의 덕행과 청백 정신을 기리기 위해 숙종 13년(1687)에 창건되었으며 숙종 32년(1706) 사당을 세우고 두 사람의 위패를 모셨다.

김계행은 지금의 하리리인 풍산현 불정촌에서 태어나 5세 때 부친을 따라 소산에서 자랐으며, 성종 11년(1480) 문과에 급제하여 삼사로 불리는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의 요직을 지냈다. 대사간일 때 연산군의 폭정을 막고자 노력하였으나 고쳐지지 않자 연산군 4년(1498)에 안동으로 돌아와 후학 양성에 힘썼으며 청백리로 추앙받고 있다.

옥고는 고려말 야은 길재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정종 1년(1399) 18세에 문과에 급제한 후 여러 관직을 지냈으며, 안동 지역에 부임해 선정을 펼쳤다.

묵계서원은 고종 8년(1871) 서원 철폐령으로 헐렸으나, 1909년 다시 세울 수 있도록 허가를 받았다. 1915년 강당을 고쳐 지어 학문을 닦고 연구하는 기능을 이어 오다가, 1998년 지금의 모습으로 복원하여 매년 음력 8월 초 5일에 제사를 지낸다.

서원은 사당인 청덕사(淸德祠), 강당인 입교당(立敎堂), 동재인 극기재(克己齋), 누각인 읍청루(挹淸樓), 입구의 진덕문(進德門), 그리고 서원을 관리하는 주사(廚舍)로 이루어져 있으며 서원 오른쪽에는 보백당 김계행의 신도비가 있다. 서북쪽으로 약 300m 떨어진 곳에 보백당 종택이 있다.

영문

Mukgyeseowon Confucian Academy, Andong

A Confucian academy, called seowon in Korean, is a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that usually combined the functions of a Confucian shrine and a lecture hall.

Mukgyeseowon Confucian Academy commemorates Kim Gye-haeng (1431-1517) and Ok Go (1382-1436), both civil officials of the Joseon period.

Kim Gye-haeng, who was born in Buljeongchon Village (today’s Hari-ri area),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1480 and served several official posts. He made every effort to stop the violent rule of King Yeonsangun (r. 1494-1506), but was unsuccessful. So, in 1498, he returned to Andong and devoted himself to his scholarly studies and the teaching of his students.

Ok Go was a student of the scholar Gil Jae (1353-1419) and was renowned for his academic achievement. After he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1399, he served several official posts. He was appointed to the Andong area, which he benevolently governed.

Locals began to commemorate the two virtuous men in 1687. In 1706, a shrine was built to hold their spirit tablets. In 1871, the academy was demolished following a nationwide decree to shut down Confucian shrines and academies. In 1915, a lecture hall was built on the site, and in 1998, the academy’s other buildings were built anew. From front to back, the complex consists of a main gate, a pavilion, a lecture hall, a dormitory, an inner gate, and a shrine. To the left, there is also a custodian’s residence, while to the right, there is a stele commemorating Kim Gye-haeng’s life and achievements.

About 300 m to the northwest of the academy is Bobaekdang Head House, which is the residence passed down among Kim Gye-haeng’s descendants.

영문 해설 내용

서원은 조선시대에 설립된 사설교육기관으로, 선현 제향과 교육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묵계서원은 조선시대의 문신 김계행(1431-1517)과 옥고(1382-1436)를 기리는 서원이다.

김계행은 불정촌(지금의 하리리 지역) 출신으로 1480년 문과에 급제한 후 여러 관직을 지냈다. 연산군(재위 1494-1506)의 폭정을 막고자 노력하였으나 고쳐지지 않자, 1498년 안동으로 돌아와 후학 양성에 힘썼다.

옥고는 학자 길재(1353-1419)의 제자이며 학문으로 이름이 높았다. 1399년 문과에 급제한 후 여러 관직을 지냈으며, 안동 지역에 부임해 선정을 펼쳤다.

두 사람에 대한 제향은 1687년부터 시작되었고, 1706년에 사당을 세워 두 사람의 위패를 모셨다. 묵계서원은 1871년 서원철폐령으로 헐렸다가 1915년 강당을 지었고 1998년 다른 건물들도 다시 지었다. 현재 경내에는 앞에서부터 정문, 누각, 강당, 기숙사인 동재, 내삼문, 사당이 있다. 좌측 담장 너머에는 서원 관리인이 사용하는 주사가 있고, 서원 오른쪽에는 김계행의 생애와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신도비가 있다.

서원에서 서북쪽으로 약 300m 떨어진 곳에 김계행의 후손들이 대대로 살고 있는 보백당 종택이 있다.

참고자료

  • “청백리 보백당, 만휴정”, 『이야기 옷을 입은 경북 문화재 기행』, 문화재청, 2010, 269~272쪽.
  • 최은주, 『(경북의 종가문화) 보물은 오직 청백뿐, 안동 보백당 김계행 종가』, 예문서원, 2012, 29~33쪽, 114~119쪽. -> 1687년 고을 사람들이 두 현인을 받들어 모시자는 논의를 처음 시작했다. 1705년 서당을 완성하고 다음 해에 위패를 봉안하였다. / 1712년 서원의 모습을 온전히 갖추게 되었다 / 1870년 서월철폐령으로 훼철되었으나 1895년 일부 건물을 중건해 강학 공간으로서 명맥을 이었고, 서원 1998년 지금의 모습으로 복원되었다. 몇 번의 중수로 인해 많은 변형이 있었지만, 건립 당시의 부자재가 많이 남아있어 자료적 가치가 크다고 한다. / 서원복설령이 내려졌지만 공사에 대한 부담으로 진행하지 못하다가, 19대종손이 주도해 1998년에 복원을 이루었다고 한다.
  • 묵계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9308 -> 1684년(숙종 10) 서원을 세우고, 1706년(숙종 32) 묘우(廟宇)인 청덕사(淸德祠)를 건립하여 김계행(金係行)과 옥고(玉沽)를 제향하였다. 이 서원에서는 매년 3월 중정(中丁)과 9월 중정에 향사를 지내고 있다.
  • [서원] 23. 안동 묵계서원, 경북일보, 2019.1.30. http://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52264 묵계서원은 보백당 김계행(1431~1517)과 응계 옥고(1382∼1436)를 봉향하는 서원이다. 김계행은 조선 초기 성종 때 대사성을 역임하고, 이조판서 양관대제학에 추증됐으며, 옥고는 세종 때 사헌부 장령(掌令)을 지낸 바 있다. 이 서원은 1687년(숙종 13)에 창건됐으며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9년(고종 6) 훼철됐다가 후에 강당과 문루인 읍청루와 진덕문, 동재 건물 등을 복원했다. 경내의 건물로는 외삼문인 진덕문, 누각 형식을 한 읍청루, 동재인 극기재, 강당인 입교당, 내삼문, 사당인 청덕사가 있다. 서원 좌측의 주사는 창건 당시의 유일한 건물로 정면 6칸, 측면 5칸의 ‘ㅁ’자형 이다. 서원 옆에는 후대에 세운 김계행의 신도비와 비각이 있다.
  • [종가] 10. 안동 보백당 김계행 선생 종가, 경북일보, 2016.3.20. http://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954046 -> 보백당 김계행 선생은 조선 전기 대사간, 대사헌, 홍문관 부제학 등 3사의 요직과 성균관 대사성을 거치면서 당대 거유 문충공 점필재 김종직 선생과 함께 영남 유림을 이끌며 도덕과 학문으로 덕망을 받아온 청백리(淸白吏)의 표상으로 불리고 있다. 선생은 후세에 유림들에 의해 묵계서원에 제향됐다. / 김계행은 연산군 시절 대사간으로 있으면서 직언을 서슴지 않았던 인물이다. 그는 피바람이 휘몰아친 두 번의 사화(무오, 갑자)에서 간신히 죽음만 면한 채 안동으로 돌아온 뒤 후학양성에 힘썼다. / 보백당 사후 오랜 세월이 흐른 뒤인 1858년, 사림과 문중은 그동안 묻혀있던 보백당의 삶과 학덕을 기리는 포상을 청하는 상소문을 올려 이조참판(종2품)을 증직 받는다. 그리고 1909년에는 불천위 칙명 교지도 받았다. 불천위 교지는 매우 드문 사례다. / 김계행 종가에는 특별한 현판이 내려오고 있다. 보백당의 유훈을 새긴 현판으로 '지신근신 대인충후'와 '오가무보물 보물유청백'으로 모두 만휴정에 걸려있다. '오가무보물 보물유청백'은 "우리 집안에는 보물이 없으니, 보물은 오직 청백일 뿐이다."라는 뜻이다. 보백당이라는 당호도 여기에서 유래한다.
  • [류혜숙의 여행스케치] 안동(하) - 묵계종택과 서원, 영남일보, 2019.3.8.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190308.010360742120001 -> 묵계서원은 숙종 13년인 1687년 창건되었고 보백당 김계행과 응계(凝溪) 옥고(玉沽)를 배향하고 있다. 옥고는 세종 때 사헌부 장령(掌令)을 지낸 이로 청렴결백하고 학문으로 명망이 높은 청백리였다 한다. 보백당은 사후 1858년에 종2품 이조참판에 증직되었다. 1859년에는 이조판서로 증직되고 ‘정헌(定獻)’이란 시호를 받았다. 묵계서원은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9년 훼철되었다가 후에 복원되었고, 보백당은 1909년에 불천위(不遷位) 교지를 받아 영원히 사당에 모셔지게 되었다. / 강당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가운데 6칸은 마루, 좌우는 방이다. 마루 안에 입교당(立敎堂) 현판이 걸려 있다. 강당 앞으로 동재인 극기재(克己齋)가 있고 삼문과 일직선상에 누각인 읍청루(淸樓)가 시원 담백하게 서있다. 읍청이란 맑음을 귀하게 여긴다는 뜻이다. 누각에 오르면 삼문 너머 길안천이 반짝거린다. 강당 뒤쪽에는 사당인 청덕사(淸德祠)가 있다. 서원의 오른쪽에는 후대에 세운 신도비각이 따로 담장을 두르고 자리한다. 서원 왼쪽에는 주사(廚舍)가 있다. 정면 6칸, 측면 5칸의 ‘ㅁ’자형 건물로 창건 당시의 유일한 건물이다. 현재 보수공사 중이라 비계에 갇혀 있다.
  • 안동 가볼만한 곳 여행코스 만휴정, 묵계서원, 고택숙박, 여행작가 박은하,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neweunha/222574943575 -> 2021년 11월 21일 포스팅
  • 김계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8667
  • 옥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86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