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구니 인명사전

"종식스님(宗植, 1944生, 비구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bigun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생애)
(릴레이션 데이터)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7번째 줄: 7번째 줄:
 
|본관=진양(晋陽)
 
|본관=진양(晋陽)
 
|출생=1944. 3. 16
 
|출생=1944. 3. 16
|주소=충남 금산군 군북면 내부리 197 선암사  
+
|사찰=충남 금산군 군북면 내부리 197 '''선암사'''
 
}}
 
}}
  
 
==정의==
 
==정의==
종식스님은 [[법희스님(法喜, 1887生, 비구니)|법희]] 노스님을 오랫동안 시봉한 대한민국 비구니 스님이다.
+
종식(宗植)스님은 [[법희스님(法喜, 1887生, 비구니)|법희]] 노스님을 오랫동안 시봉한 대한민국 비구니 스님이다.
  
 
==생애==
 
==생애==
20번째 줄: 20번째 줄:
 
|1944 || 경남 진양 출생  
 
|1944 || 경남 진양 출생  
 
|-
 
|-
|1966 || 수덕사 견성암에서 영명(靈明)스님을 은사로 출가  
+
|1966 ||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02164 수덕사 견성암]에서 영명(靈明)스님을 은사로 출가  
 
|-
 
|-
 
|1967 || 수덕사에서 [https://cafe.daum.net/squirrel4u/DX33/54 벽초(碧超)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 수지
 
|1967 || 수덕사에서 [https://cafe.daum.net/squirrel4u/DX33/54 벽초(碧超)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 수지
 
|-
 
|-
|1977 || 쌍계사에서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161062 석암(昔岩)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 수지  
+
|1977 || [http://www.ssanggyesa.net/  쌍계사]에서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161062 석암(昔岩)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 수지  
 
|-
 
|-
 
| || 16년간 견성암에서 법희 노스님 시봉 및 정진
 
| || 16년간 견성암에서 법희 노스님 시봉 및 정진
 
|-
 
|-
|1990-2004 || 현재 선암사 주석  
+
|1990 || 충청도 금산 선암사 주지
 +
|-
 +
|2020 || 선암사 주석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vertical-align:middle; text-align:left; background-color:white; width:64%"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vertical-align:middle; text-align:left; background-color:white; width:64%"  
 
|-
 
|-
|style= "width: 120px" | 문중|| [[삼현(三賢)문중]]
+
|style= "width: 120px" | 문중|| [[삼현(三賢)문중|삼현문중(三賢)]]
 
|-
 
|-
 
|수행지침 || 항상 화두를 들고 공부하자
 
|수행지침 || 항상 화두를 들고 공부하자
|-
 
|특기 || 옷 만들기
 
 
|-
 
|-
 
|수계제자 || 혜견(慧見)·지율(智津)·경률(暻律)  
 
|수계제자 || 혜견(慧見)·지율(智津)·경률(暻律)  
45번째 줄: 45번째 줄:
  
 
===출가===
 
===출가===
 +
[[File:종식스님2.png|섬네일|</br> 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345]]
 +
[[File:종식스님3.png|섬네일|</br> 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346]]
 +
[[File:종식스님4.png|섬네일|[선암사 대웅전]</br> 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349]]
 
종식(宗植)스님은 1944년 3월 16일 경남 진양군 대평면에서 아버지 하주락과 어머니 성귀녀 사이의 2남 2녀 중 맏이로 태어났다. 본관은 진양이며, 이름은 하순녀이다.  
 
종식(宗植)스님은 1944년 3월 16일 경남 진양군 대평면에서 아버지 하주락과 어머니 성귀녀 사이의 2남 2녀 중 맏이로 태어났다. 본관은 진양이며, 이름은 하순녀이다.  
스님은 일찍이 부모님을 여의고 어느 보살 한 분을 수양어머니로 삼았는데 불심이 매우 깊은 분이셨다. 수양어머니를 따라 절에 다니던 중 한때 천축산 무문관의 조실로 계셨던 원공(법호 일화) 큰스님을 친견하였다.  
+
스님은 일찍이 부모님을 여의고 어느 보살 한 분을 수양어머니로 삼았는데 불심이 매우 깊은 분이셨다. 수양어머니를 따라 절에 다니던 중 한때 천축산 무문관의 조실로 계셨던 [http://legacy.www.hani.co.kr/section-009100020/2001/009100020200102151835001.html 원공(법호 일화) 큰스님]을 친견하였다.  
<br/>그때 스님은 원공스님의 『금강경』 법문을 듣고 발심하여 1966년 수덕사 견성암에서 영명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였다. 수양어머니와 함께 법희 노스님을 몇 번 찾아뵈며 법문을 들을 기회가 있었는데 그런 인연으로 [[법희 노스님]]의 맏상좌인 영명스님 앞으로 출가한 것이다. 법희 노스님은 만공 큰스님 문하에서 공부하고 인가를 받으신 비구니로서 최초의 도인으로 불렸던 분이다.  
+
<br/>그때 스님은 원공스님의 『금강경』 법문을 듣고 발심하여 1966년 수덕사 견성암에서 영명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였다. 수양어머니와 함께 [[법희스님(法喜, 1887生, 비구니)|법희(法喜)노스님]]을 몇 번 찾아뵈며 법문을 들을 기회가 있었는데 그런 인연으로 법희 노스님의 맏상좌인 영명스님 앞으로 출가한 것이다. 법희 노스님은 [https://ko.wikipedia.org/wiki/만공_(승려) 만공 큰스님] 문하에서 공부하고 인가를 받으신 비구니로서 최초의 도인으로 불렸던 분이다.  
 
<br/>스님은 1967년 3월 수덕사에서 벽초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를 수지하였고, 1977년 3월 7일 쌍계사에서 석암화상을 계사로 비구니계를 수지하였다.
 
<br/>스님은 1967년 3월 수덕사에서 벽초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를 수지하였고, 1977년 3월 7일 쌍계사에서 석암화상을 계사로 비구니계를 수지하였다.
  
53번째 줄: 56번째 줄:
 
종식스님은 10여 년 정도 견성암에서 법희 노스님의 시봉을 들었다. 그러던 중 법희 노스님이 1975년 3월 9일 세수 89세, 법랍 85세로 수덕사 견성암에서 입적하시자 49재까지 모신 후 견성암을 나와 선방을 다니며 공부하였다. 그러나 몸이 좋지 않아 선암사로 오게 되었다.  
 
종식스님은 10여 년 정도 견성암에서 법희 노스님의 시봉을 들었다. 그러던 중 법희 노스님이 1975년 3월 9일 세수 89세, 법랍 85세로 수덕사 견성암에서 입적하시자 49재까지 모신 후 견성암을 나와 선방을 다니며 공부하였다. 그러나 몸이 좋지 않아 선암사로 오게 되었다.  
 
법희 노스님을 시봉하는 동안 스님은 많은 것을 배웠고 깨달은 것도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 법희 노스님은 설법보다는 행으로 모든 사람들에게 귀감이 되셨고, 선방에서 입승을 살면서 오직 공부에 몰두하신 분으로 평생 주지를 한 번도 맡은 적이 없었다.  
 
법희 노스님을 시봉하는 동안 스님은 많은 것을 배웠고 깨달은 것도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 법희 노스님은 설법보다는 행으로 모든 사람들에게 귀감이 되셨고, 선방에서 입승을 살면서 오직 공부에 몰두하신 분으로 평생 주지를 한 번도 맡은 적이 없었다.  
[[File:종식스님2.png|섬네일]]
+
 
 
노스님을 시봉하면서 ‘도인이란 바로 저런 분을 일컫는 것이구나.’ 하고 생각하며 종식스님은 앞으로 어른이 되면 노스님 같은 사람이 되고 싶다는 다짐을 하였다. 지금도 노스님의 모습을 닮고자 노력하며 살지만 마음같이 잘 되지 않아 안타까울 뿐이라고 한다.  
 
노스님을 시봉하면서 ‘도인이란 바로 저런 분을 일컫는 것이구나.’ 하고 생각하며 종식스님은 앞으로 어른이 되면 노스님 같은 사람이 되고 싶다는 다짐을 하였다. 지금도 노스님의 모습을 닮고자 노력하며 살지만 마음같이 잘 되지 않아 안타까울 뿐이라고 한다.  
 
노스님은 어떻게든지 수좌들을 공부시키려고 입선하도록 배려하고 자신은 달밤에 보리밭으로 나가 홀로 일을 하면서 대중 울력을 시키지 않으셨다.  
 
노스님은 어떻게든지 수좌들을 공부시키려고 입선하도록 배려하고 자신은 달밤에 보리밭으로 나가 홀로 일을 하면서 대중 울력을 시키지 않으셨다.  
 +
 
한때 종식스님은 노스님을 조그만 암자(견성암 위에 있었으나 지금은 없어진 학서암)에서 모시고 산 적이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스님이 산에서 낫으로 풀을 베고 있는데 그 풀들을 노스님이 지팡이로 뒤집어 놓으면서 “내가 몸이 아파서 좀 앓아야겠다.” 하고 말씀하셨다. 그러면서도 쉬지 않으시고 계속 풀을 뒤집고 다니셨다.  
 
한때 종식스님은 노스님을 조그만 암자(견성암 위에 있었으나 지금은 없어진 학서암)에서 모시고 산 적이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스님이 산에서 낫으로 풀을 베고 있는데 그 풀들을 노스님이 지팡이로 뒤집어 놓으면서 “내가 몸이 아파서 좀 앓아야겠다.” 하고 말씀하셨다. 그러면서도 쉬지 않으시고 계속 풀을 뒤집고 다니셨다.  
 
“노스님께서는 편찮으시다면서 왜 쉬지 않으십니까?”
 
“노스님께서는 편찮으시다면서 왜 쉬지 않으십니까?”
61번째 줄: 65번째 줄:
 
“지금 앓고 있는 중이야.”  
 
“지금 앓고 있는 중이야.”  
 
그러면서 노스님은 하루 종일 벤 풀들을 뒤적거리며 말리셨다. 그처럼 작은 일도 하찮게 여기지 않고 몸소 함께 하시는 모습을 보고 종식스님은 노스님의 뒤를 따르리라는 마음을 다시 한 번 다졌다.  
 
그러면서 노스님은 하루 종일 벤 풀들을 뒤적거리며 말리셨다. 그처럼 작은 일도 하찮게 여기지 않고 몸소 함께 하시는 모습을 보고 종식스님은 노스님의 뒤를 따르리라는 마음을 다시 한 번 다졌다.  
[[File:종식스님3.png|섬네일]]
 
 
스님은 ‘노스님만큼만 한다면 중노릇 참 잘하는 것이다.’라는 생각에 상좌들한테도 노스님 얘기를 자주 들려준다고 한다.  
 
스님은 ‘노스님만큼만 한다면 중노릇 참 잘하는 것이다.’라는 생각에 상좌들한테도 노스님 얘기를 자주 들려준다고 한다.  
 
<br/>법희 노스님은 하찮은 짐승까지도 귀한 중생으로 생각하며 가엾고 불쌍하게 여기셨다. 수덕사 견성암을 지을 때의 일이다. 그때 견성암에서는 어린 강아지를 데려다 키우고 있었다. 그런데 그 강아지가 너무 어려서 어미를 찾느라 밤새 낑낑대며 우는 바람에 일꾼들이 잠을 설쳤다고 투덜대었다. 이에 종식스님이 강아지를 꾸짖으며 때린 적이 있었다. 때마침 노스님이 정랑을 다녀오다가 그러한 종식스님의 모습을 보고 “네가 언제부터 사람 되었다고 강아지를 때리느냐!” 하고 호통을 치셨다.  
 
<br/>법희 노스님은 하찮은 짐승까지도 귀한 중생으로 생각하며 가엾고 불쌍하게 여기셨다. 수덕사 견성암을 지을 때의 일이다. 그때 견성암에서는 어린 강아지를 데려다 키우고 있었다. 그런데 그 강아지가 너무 어려서 어미를 찾느라 밤새 낑낑대며 우는 바람에 일꾼들이 잠을 설쳤다고 투덜대었다. 이에 종식스님이 강아지를 꾸짖으며 때린 적이 있었다. 때마침 노스님이 정랑을 다녀오다가 그러한 종식스님의 모습을 보고 “네가 언제부터 사람 되었다고 강아지를 때리느냐!” 하고 호통을 치셨다.  
 
노스님의 꾸중이 너무나 서러운 나머지 종식스님은 울음을 터뜨렸고, 잠시 후 노스님은 “네가 미워 그런 게 아니다. 거슬러 올라가면 네가 전생에 강아지였을 수도 있고 강아지가 너였을 수도 있잖느냐. 그러니 강아지를 불쌍히 여기도록 해라.” 하고 조용히 타이르셨다.  
 
노스님의 꾸중이 너무나 서러운 나머지 종식스님은 울음을 터뜨렸고, 잠시 후 노스님은 “네가 미워 그런 게 아니다. 거슬러 올라가면 네가 전생에 강아지였을 수도 있고 강아지가 너였을 수도 있잖느냐. 그러니 강아지를 불쌍히 여기도록 해라.” 하고 조용히 타이르셨다.  
 
노스님의 그 말씀에 감화를 받은 이후 원래부터 동물을 싫어하던 종식스님은 고양이든 개든 모든 짐승을 다 예뻐하게 되었다.  
 
노스님의 그 말씀에 감화를 받은 이후 원래부터 동물을 싫어하던 종식스님은 고양이든 개든 모든 짐승을 다 예뻐하게 되었다.  
 +
 
종식스님은 노스님을 모시면서 전혀 어려운 점이 없었다. 노스님께서 워낙 아랫사람들에게 편안하게 대해주셨기 때문이었다. 노스님을 시봉하면서도 대중 소임을 살 정도로 편히 대해주셨던 것이다. <br/>
 
종식스님은 노스님을 모시면서 전혀 어려운 점이 없었다. 노스님께서 워낙 아랫사람들에게 편안하게 대해주셨기 때문이었다. 노스님을 시봉하면서도 대중 소임을 살 정도로 편히 대해주셨던 것이다. <br/>
어느 추운 날이었다. 노스님이 소맷부리를 걷어올리고 계셔서 종식스님이 여쭈었다.  
+
 
 +
어느 추운 날이었다. 노스님이 소맷부리를 걷어 올리고 계셔서 종식스님이 여쭈었다.  
 
“스님, 추운데 왜 소매를 올리고 계셔요?”
 
“스님, 추운데 왜 소매를 올리고 계셔요?”
 
그러자 노스님이 소매 안쪽을 보여주시는데 때가 검게 묻어 있었다. 소매 땟자국을 보여주며 “종식이 네가 너무 바쁘니 그렇지. 네가 바쁜 것 같아서 너한테 보이지 않으려고 그랬다.” 하고 말씀하며 가볍게 넘기시는 것이었다.  
 
그러자 노스님이 소매 안쪽을 보여주시는데 때가 검게 묻어 있었다. 소매 땟자국을 보여주며 “종식이 네가 너무 바쁘니 그렇지. 네가 바쁜 것 같아서 너한테 보이지 않으려고 그랬다.” 하고 말씀하며 가볍게 넘기시는 것이었다.  
 +
 
저녁이면 노스님 다리를 곧잘 주물러드리곤 하였다. 그러면 노스님은 항상 가만히 선정에 드셨는데 종식스님은 그 모습이 너무 좋아 졸면서도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다리를 주물러드렸다.  
 
저녁이면 노스님 다리를 곧잘 주물러드리곤 하였다. 그러면 노스님은 항상 가만히 선정에 드셨는데 종식스님은 그 모습이 너무 좋아 졸면서도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다리를 주물러드렸다.  
 
공양을 드릴 때도 밥이 질어 죄송해 하면 “이에 좀 달라붙어서 그렇지 괜찮다.”고 하셨고, 밥이 되어 꼬들꼬들하면 “밥알이 따로 돌아다닐 뿐이지 괜찮다.”고 하셨다.  
 
공양을 드릴 때도 밥이 질어 죄송해 하면 “이에 좀 달라붙어서 그렇지 괜찮다.”고 하셨고, 밥이 되어 꼬들꼬들하면 “밥알이 따로 돌아다닐 뿐이지 괜찮다.”고 하셨다.  
76번째 줄: 82번째 줄:
 
이렇듯이 법희 노스님은 행으로 모든 것을 보여주실 뿐 특별히 법문을 하시거나 말을 앞세우지 않으셨다. 때로는 노스님의 법문을 듣고 싶은 마음도 간절했지만 세월이 흐른 뒤 종식스님은 노스님의 행이 곧 법문이었음을 깨달았다.
 
이렇듯이 법희 노스님은 행으로 모든 것을 보여주실 뿐 특별히 법문을 하시거나 말을 앞세우지 않으셨다. 때로는 노스님의 법문을 듣고 싶은 마음도 간절했지만 세월이 흐른 뒤 종식스님은 노스님의 행이 곧 법문이었음을 깨달았다.
  
===행자시절===
+
===행자 시절===
 
누구나 그렇듯이 종식스님의 행자 시절도 크고 작은 어려움이 많았다. 특히 그 당시는 견성암을 짓기 시작한 단계였기 때문에 울력이 참 많았다. 그 시절에는 수행과 공부보다 ‘어떻게 하면 일을 많이 하고 잘하느냐가 중노릇의 전부다.’ 하고 생각한 적도 있었다.  
 
누구나 그렇듯이 종식스님의 행자 시절도 크고 작은 어려움이 많았다. 특히 그 당시는 견성암을 짓기 시작한 단계였기 때문에 울력이 참 많았다. 그 시절에는 수행과 공부보다 ‘어떻게 하면 일을 많이 하고 잘하느냐가 중노릇의 전부다.’ 하고 생각한 적도 있었다.  
 +
 
그리고 ‘어떻게 하면 어른스님들 시봉을 잘 받드는가. 어떻게 하면 대중의 입에 오르내리지 않고 대중의 눈에 들며 노스님 눈에 들 것인가.’ 하는 문제가 무엇보다도 중요했다.  
 
그리고 ‘어떻게 하면 어른스님들 시봉을 잘 받드는가. 어떻게 하면 대중의 입에 오르내리지 않고 대중의 눈에 들며 노스님 눈에 들 것인가.’ 하는 문제가 무엇보다도 중요했다.  
그 무렵 종식스님은 노스님, 은사스님, 사숙님(현재 서울 승가사 주지) 이렇게 세 분을 모시고 살았다. 물론 요즘처럼 따뜻한 물을 마음대로 쓸 수도 없었고 비누나 고무장갑 등도 귀해서 하루에 세 번씩 빨래를 하느라 애를 먹었던 시절이었다. 머리 감은 물을 모아서 빨래를 하기도 했고 빨랫감을 머리에 이고 시냇가로 나가기도 했다.  
+
그 무렵 종식스님은 노스님, 은사스님, 사숙님(승가사 [[상륜스님(相侖, 1929生, 비구니)|상륜스님]]) 이렇게 세 분을 모시고 살았다. 물론 요즘처럼 따뜻한 물을 마음대로 쓸 수도 없었고 비누나 고무장갑 등도 귀해서 하루에 세 번씩 빨래를 하느라 애를 먹었던 시절이었다. 머리 감은 물을 모아서 빨래를 하기도 했고 빨랫감을 머리에 이고 시냇가로 나가기도 했다.  
 
요즘에는 선방에서도 오히려 복을 덜 정도로 너무 잘 먹는다고 지적하는 스님은 시주 들어온 물건을 아까운 줄 알고 살아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것 같다며 안타까워한다.  
 
요즘에는 선방에서도 오히려 복을 덜 정도로 너무 잘 먹는다고 지적하는 스님은 시주 들어온 물건을 아까운 줄 알고 살아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것 같다며 안타까워한다.  
  
===수행 및 생활===
+
===선암사 건립===
[[File:종식스님4.png|섬네일|'''선암사 대웅전''']]
 
 
스님은 또한 선방 사는 사람들이 불사를 너무 무리하게 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불사란 인연 따라 마무리 짓되 만약 자신이 못하면 인연 있는 다른 분이 그 뒤를 이어서 하면 된다고 보는 것이다.  
 
스님은 또한 선방 사는 사람들이 불사를 너무 무리하게 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불사란 인연 따라 마무리 짓되 만약 자신이 못하면 인연 있는 다른 분이 그 뒤를 이어서 하면 된다고 보는 것이다.  
 
선방을 다니던 중 스님은 건강이 좋지 않았다. 그래서 어딘가 바랑을 풀 곳이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마침 그때 한 스님이 내놓은 절이 있기에 탁발과 여동생의 도움을 받아 선암사를 구입하였다.  
 
선방을 다니던 중 스님은 건강이 좋지 않았다. 그래서 어딘가 바랑을 풀 곳이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마침 그때 한 스님이 내놓은 절이 있기에 탁발과 여동생의 도움을 받아 선암사를 구입하였다.  
 
현재 선암사는 계속 불사를 진행 중인데 사정이 여의치 않아 천천히 되어 가는 대로 마무리할 계획이다. 이곳은 원래 제대로 된 길도 없어 건축 장비조차 들여올 수 없었는데 전화위복으로 절 뒤편에 고속도로가 나게 되어 서둘러 불사를 시작했던 것이다. </br>
 
현재 선암사는 계속 불사를 진행 중인데 사정이 여의치 않아 천천히 되어 가는 대로 마무리할 계획이다. 이곳은 원래 제대로 된 길도 없어 건축 장비조차 들여올 수 없었는데 전화위복으로 절 뒤편에 고속도로가 나게 되어 서둘러 불사를 시작했던 것이다. </br>
 +
 +
===어른을 공경한다는 것===
 
출가 이후 노스님을 오랫동안 시봉한 종식스님은 어른에 대한 공경과 효도에 대한 분명한 생각을 갖고 있다.  
 
출가 이후 노스님을 오랫동안 시봉한 종식스님은 어른에 대한 공경과 효도에 대한 분명한 생각을 갖고 있다.  
 
“근래 들어 스승과 함께 살지 못하고 따로 나와서 사는 스님들이 많더군요. 하지만 스승을 잘 모시든 못 모시든 간에 그것은 자신의 일이지 남의 일이 아니죠. 세상에 공짜가 없듯이 어른을 모시는 일 또한 그렇습니다. 돈 천 원을 빌려 써도 그에 따른 이자가 붙듯이 어른을 공경하는 일도 마찬가지로 잘하면 잘하는 대로 못하면 못하는 대로 이자가 붙는 겁니다.”  
 
“근래 들어 스승과 함께 살지 못하고 따로 나와서 사는 스님들이 많더군요. 하지만 스승을 잘 모시든 못 모시든 간에 그것은 자신의 일이지 남의 일이 아니죠. 세상에 공짜가 없듯이 어른을 모시는 일 또한 그렇습니다. 돈 천 원을 빌려 써도 그에 따른 이자가 붙듯이 어른을 공경하는 일도 마찬가지로 잘하면 잘하는 대로 못하면 못하는 대로 이자가 붙는 겁니다.”  
92번째 줄: 100번째 줄:
 
“요즘 젊은 사람들의 자유로움도 좋지만 기본 정신을 놓치지 말아야 합니다. 예의범절이나 효도, 어른 공경 역시 모두 기본에서 벗어나지 않으면 잘못되거나 실수하는 법이 없어요. 그래서 저는 한 방에서 자고 일어났어도 열 번을 마주치면 열 번, 스무 번을 마주치면 스무 번, 그렇게 마주 칠 때마다 인사를 하라고 얘길 합니다. 그것이 효도예요. 날마다 비단옷에 좋은 반찬만 해드리는 게 효도가 아닙니다. 진정한 효도란 어른 하시는 일에 거스르지 않고 그저 상냥하게 대해 드리는 것이죠. 그러다 보면 도의 절반은 닦아집니다.”  </br>
 
“요즘 젊은 사람들의 자유로움도 좋지만 기본 정신을 놓치지 말아야 합니다. 예의범절이나 효도, 어른 공경 역시 모두 기본에서 벗어나지 않으면 잘못되거나 실수하는 법이 없어요. 그래서 저는 한 방에서 자고 일어났어도 열 번을 마주치면 열 번, 스무 번을 마주치면 스무 번, 그렇게 마주 칠 때마다 인사를 하라고 얘길 합니다. 그것이 효도예요. 날마다 비단옷에 좋은 반찬만 해드리는 게 효도가 아닙니다. 진정한 효도란 어른 하시는 일에 거스르지 않고 그저 상냥하게 대해 드리는 것이죠. 그러다 보면 도의 절반은 닦아집니다.”  </br>
 
스님은 상좌들도 그러한 생각을 갖고 살기를 바란다.  </br>
 
스님은 상좌들도 그러한 생각을 갖고 살기를 바란다.  </br>
 +
 +
===후학들에게===
 
또한 ‘왜 내가 중노릇을 하는가? 왜 내가 중이 되었는가? 중노릇을 잘 하려면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항상 자문하고 ‘필경 꼭 이루어야 할 것은 무엇인가?’를 확실히 인식하며 사는 것을 기본으로 삼으라고 당부한다. 덧붙여 말하자면 기본에서 어긋나지 않으며 세속과 절집의 차이가 무엇인지 생각하며 살라는 것이다. 스님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젊은 후학들에게 이렇게 강조한다.  </br>
 
또한 ‘왜 내가 중노릇을 하는가? 왜 내가 중이 되었는가? 중노릇을 잘 하려면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항상 자문하고 ‘필경 꼭 이루어야 할 것은 무엇인가?’를 확실히 인식하며 사는 것을 기본으로 삼으라고 당부한다. 덧붙여 말하자면 기본에서 어긋나지 않으며 세속과 절집의 차이가 무엇인지 생각하며 살라는 것이다. 스님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젊은 후학들에게 이렇게 강조한다.  </br>
 +
 
“중노릇도 인간이 먼저 되어야 잘할 수 있습니다. 사람의 가장 근본인 인간성이 제대로 되어 있을 때 그 가운데 효도하는 마음과 공경하는 마음도 나오고 공부도 제대로 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유식, 무식을 떠나서 기본적으로 인간이 먼저 되어야 합니다.”  </br>
 
“중노릇도 인간이 먼저 되어야 잘할 수 있습니다. 사람의 가장 근본인 인간성이 제대로 되어 있을 때 그 가운데 효도하는 마음과 공경하는 마음도 나오고 공부도 제대로 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유식, 무식을 떠나서 기본적으로 인간이 먼저 되어야 합니다.”  </br>
 
스님은 처음 입산했을 때의 일을 잊지 못한다. 노스님이 시키시는 대로 절구에 절을 하였다. 자기 자신을 낮추는 수행이었다. 벼가 익으면 고개를 숙이듯이 우리 출가자들도 마땅히 그래야 한다는 것이다.  </br>
 
스님은 처음 입산했을 때의 일을 잊지 못한다. 노스님이 시키시는 대로 절구에 절을 하였다. 자기 자신을 낮추는 수행이었다. 벼가 익으면 고개를 숙이듯이 우리 출가자들도 마땅히 그래야 한다는 것이다.  </br>
100번째 줄: 111번째 줄:
 
* 한국비구니연구소 저.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 뜨란출판사, 2007, pp. 343~349.
 
* 한국비구니연구소 저.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 뜨란출판사, 2007, pp. 343~349.
 
* 한국비구니연구소 저. 『한국비구니명감』. 뜨란출판사, 2007, p. 454.
 
* 한국비구니연구소 저. 『한국비구니명감』. 뜨란출판사, 2007, p. 454.
 +
* 충청투데이, 금산 군북면 선암사, 20년째 이웃돕기 성금기탁 (2020년) https://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49181
  
 
==시맨틱 데이터==
 
==시맨틱 데이터==
117번째 줄: 129번째 줄:
 
===릴레이션 데이터===
 
===릴레이션 데이터===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tyle="width:100px" | 항목1 || style="width:180px" | 항목2 || style="width:180px" | 관계 || style="width:450px" | 속성
+
! 항목1 || 항목2 || 관계 || style="width:300px" | 속성
 
|-
 
|-
| [[종식스님(宗植, 1944生, 비구니) | 종식(萬善)스님]] || [[삼현(三賢)문중|삼현문중(三賢)]] || ~의 일원이다 ||  
+
| [[종식스님(宗植, 1944生, 비구니)|종식스님(宗植)]] || [[삼현(三賢)문중|삼현문중(三賢)]] || ~의 일원이다 ||
 
|-
 
|-
| [[종식스님(宗植, 1944生, 비구니) | 종식(萬善)스님]] || [[예산 수덕사 견성암]] || ~에서 출가하다 ||  
+
| [[종식스님(宗植, 1944生, 비구니)|종식스님(宗植)]] || [[영명(靈明)스님|영명스님(靈明)]] || ~의 수계제자이다 ||
 
|-
 
|-
| [[종식스님(宗植, 1944生, 비구니) | 종식(萬善)스님]] || [[영명(靈明)스님]] || ~의 수계제자이다 ||  
+
| [[종식스님(宗植, 1944生, 비구니)|종식스님(宗植)]] || [[수덕사 견성암]] || ~에서 출가하다 ||
 
|-
 
|-
| [[종식스님(宗植, 1944生, 비구니) | 종식(萬善)스님]] || [[벽초(碧超)스님]] || ~(으)로부터 계를 받다 || 사미니계
+
| [[종식스님(宗植, 1944生, 비구니)|종식스님(宗植)]] || [[벽초경선(碧超鏡禪)|벽초스님(碧超)]] || ~(으)로부터 계를 받다 || 사미니계
 
|-
 
|-
| [[종식스님(宗植, 1944生, 비구니) | 종식(萬善)스님]] || [[석암(昔岩)스님]] || ~(으)로부터 계를 받다 || 비구니계
+
| [[종식스님(宗植, 1944生, 비구니)|종식스님(宗植)]] || [[석암혜수(昔巖慧秀)|석암스님(昔巖)]] || ~(으)로부터 계를 받다 || 비구니계
 
|-
 
|-
| [[종식스님(宗植, 1944生, 비구니) | 종식(萬善)스님]] || [[예산 수덕사 견성암]] || ~에서 직임을 수행하다 || [[법희스님(法喜, 1887生, 비구니) | 법희(法喜)스님]] 시봉
+
| [[종식스님(宗植, 1944生, 비구니)|종식스님(宗植)]] || [[법희스님(法喜, 1887生, 비구니)|법희스님(法喜)]] || ~을(를) 시봉하다 || 손주상좌
 +
|-
 +
| [[종식스님(宗植, 1944生, 비구니)|종식스님(宗植)]] || [[금산 선암사]] || ~에서 직임을 수행하다 || 주지(감원)
 +
|-
 +
| [[종식스님(宗植, 1944生, 비구니)|종식스님(宗植)]] || [[금산장학재단]] || ~을(를) 후원하다 ||
 
|}
 
|}
 +
<big>''' ❁ [http://dh.aks.ac.kr/~biguni/wiki/index.php/대문 한국 비구니 인명사전 데이터 아카이브]'''</big>로 가기
  
 
==지도==
 
==지도==
142번째 줄: 159번째 줄:
 
==다른 비구니 스님==
 
==다른 비구니 스님==
  
{|class="wikitable" style="vertical-align: "text-align:middle"
+
</br>
|-
+
 
| style="width:180px"  |[[각림스님(覺棽, 1927生, 비구니) | 각림스님(覺棽, 1927년생)]] || style="width:190px"  |[[묘관스님(妙觀, 1936生, 비구니) | 묘관스님(妙觀, 1936년생)]] || style="width:180px"  |[[선경스님(禪敬, 1904生, 비구니) | 선경스님(禪敬, 1904년생)]] || style="width:180px"  |[[일광스님(一光, 1899生, 비구니) | 일광스님(一光, 1899년생)]] || style="width:180px"  |[[지형스님(志炯, 1947生, 비구니) | 지형스님(志炯, 1947년생)]]
+
<big> '''■ [[한국비구니 | 대한민국 주요 비구니 스님]] '''</big>
|-
 
| [[각심스님(覺心, 1936生, 비구니) | 각심스님(覺心, 1936년생)]] || [[묘관스님(妙觀, 1948生, 비구니) | 묘관스님(妙觀, 1948년생)]] || [[선광스님(善光, 1949生, 비구니) | 선광스님(善光, 1949년생)]] || [[일선스님(一禪, 1952生, 비구니) | 일선스님(一禪, 1952년생)]] || [[지호스님(智毫, 1956生, 비구니) | 지호스님(智毫, 1956년생)]]
 
|-
 
| [[경도스님(敬道, 1941生, 비구니) | 경도스님(敬道, 1941년생)]] || [[묘광스님(妙硄, 1946生, 비구니) | 묘광스님(妙硄, 1946년생)]] || [[선재스님(善財, 1956生, 비구니) | 선재스님(善財, 1956년생)]] || [[일연스님(一衍, 1947生, 비구니) | 일연스님(一衍, 1947년생)]] || [[지환스님(知幻, 1261生, 비구니) | 지환스님(知幻, 1261년생)]]
 
|-
 
| [[경륜스님(暻輪, 1953生, 비구니) | 경륜스님(暻輪, 1953년생)]] || [[묘길스님(妙吉, 1900生, 비구니) | 묘길스님(妙吉, 1900년생)]] || [[선주스님(禪周, 1938生, 비구니) | 선주스님(禪周, 1938년생)]] || [[일엽스님(一葉, 1896生, 비구니) | 일엽스님(一葉, 1896년생)]] || [[지환스님(智環, 1936生, 비구니) | 지환스님(智環, 1936년생)]]
 
|-
 
| [[경문스님(京門, 1963生, 비구니) | 경문스님(京門, 1963년생)]] || [[묘담스님(妙湛, 1776生, 비구니) | 묘담스님(妙湛, 1776년생)]] || [[선진스님(善眞, 1961生, 비구니) | 선진스님(善眞, 1961년생)]] || [[일조스님(日照, 1910生, 비구니) | 일조스님(日照, 1910년생)]] || [[지훈스님(志訓, 1947生, 비구니) | 지훈스님(志訓, 1947년생)]]
 
|-
 
| [[경법스님(敬法, 1922生, 비구니) | 경법스님(敬法, 1922년생)]] || [[묘순스님(妙洵, 1946生, 비구니) | 묘순스님(妙洵, 1946년생)]] || [[선행스님(善行, 1934生, 비구니) | 선행스님(善行, 1934년생)]] || [[일지스님(逸智, 1944生, 비구니) | 일지스님(逸智, 1944년생)]] || [[진관스님(眞觀, 1928生, 비구니) | 진관스님(眞觀, 1928년생)]]
 
|-
 
| [[경순스님(景順, 1925生, 비구니) | 경순스님(景順, 1925년생)]] || [[묘엄스님(妙嚴, 1931生, 비구니) | 묘엄스님(妙嚴, 1931년생)]] || [[선혜스님(善慧, 1911生, 비구니) | 선혜스님(善慧, 1911년생)]] || [[일초스님(一超, 1943生, 비구니) | 일초스님(一超, 1943년생)]] || [[진오스님(眞悟, 1904生, 비구니) | 진오스님(眞悟, 1904년생)]]
 
|-
 
| [[경신스님(敬信, 1947生, 비구니) | 경신스님(敬信, 1947년생)]] || [[묘운스님(妙雲, 1921生, 비구니) | 묘운스님(妙雲, 1921년생)]] || [[설오스님(說吾, 1958生, 비구니) | 설오스님(說吾, 1958년생)]] || [[일현스님(一玄, 1952生, 비구니) | 일현스님(一玄, 1952년생)]] || [[진우스님(眞愚, 1934生, 비구니) | 진우스님(眞愚, 1934년생)]]
 
|-
 
| [[경원스님(庚圓, 1960生, 비구니) | 경원스님(庚圓, 1960년생)]] || [[묘전스님(妙全, 1938生, 비구니) | 묘전스님(妙全, 1938년생)]] || [[설호스님(雪皓, 1933生, 비구니) | 설호스님(雪皓, 1933년생)]] || [[일홍스님(一弘, 1939生, 비구니) | 일홍스님(一弘, 1939년생)]] || [[진우스님(眞愚, 1949生, 비구니) | 진우스님(眞愚, 1949년생)]]
 
|-
 
| [[경주스님(敬柱, 1935生, 비구니) | 경주스님(敬柱, 1935년생)]] || [[묘정스님(妙精, 1943生, 비구니) | 묘정스님(妙精, 1943년생)]] || [[성경스님(晟鏡, 1941生, 비구니) | 성경스님(晟鏡, 1941년생)]] || [[일효스님(一曉, 1934生, 비구니) | 일효스님(一曉, 1934년생)]] || [[창법스님(昌法, 1918生, 비구니) | 창법스님(昌法, 1918년생)]]
 
|-
 
| [[경준스님(敬俊, 1933生, 비구니) | 경준스님(敬俊, 1933년생)]] || [[묘정스님(妙靜, 1949生, 비구니) | 묘정스님(妙靜, 1949년생)]] || [[성관스님(性觀, 1940生, 비구니) | 성관스님(性觀, 1940년생)]] || [[자광스님(慈光, 1936生, 비구니) | 자광스님(慈光, 1936년생)]] || [[창수스님(昌守, 1842生, 비구니) | 창수스님(昌守, 1842년생)]]
 
|-
 
| [[경훤스님(敬昍, 1946生, 비구니) | 경훤스님(敬昍, 1946년생)]] || [[묘찬스님(妙璨, 1926生, 비구니) | 묘찬스님(妙璨, 1926년생)]] || [[성관스님(成觀, 1951生, 비구니) | 성관스님(成觀, 1951년생)]] || [[자득스님(慈得, 1945生, 비구니) | 자득스님(慈得, 1945년생)]] || [[창호스님(彰浩, 1889生, 비구니) | 창호스님(彰浩, 1889년생)]]
 
|-
 
| [[경희스님(慶喜, 1931生, 비구니) | 경희스님(慶喜, 1931년생)]] || [[묘희스님(妙喜, 1937生, 비구니) | 묘희스님(妙喜, 1937년생)]] || [[성덕스님(盛德, 1942生, 비구니) | 성덕스님(盛德, 1942년생)]] || [[자민스님(慈珉, 1939生, 비구니) | 자민스님(慈珉, 1939년생)]] || [[천일스님(天日, 1912生, 비구니) | 천일스님(天日, 1912년생)]]
 
|-
 
| [[계수스님(桂修, 1946生, 비구니) | 계수스님(桂修, 1946년생)]] || [[무구스님(無垢, 1959生, 비구니) | 무구스님(無垢, 1959년생)]] || [[성륜스님(性輪, 1918生, 비구니) | 성륜스님(性輪, 1918년생)]] || [[자산스님(慈山, 1933生, 비구니) | 자산스님(慈山, 1933년생)]] || [[청룡스님(靑龍, 1925生, 비구니) | 청룡스님(靑龍, 1925년생)]]
 
|-
 
| [[계전스님(戒田, 1889生, 비구니) | 계전스님(戒田, 1889년생)]] || [[무진스님(無盡, 1954生, 비구니) | 무진스님(無盡, 1954년생)]] || [[성림스님(成林, 1916生, 비구니) | 성림스님(成林, 1916년생)]] || [[자원스님(慈元, 1937生, 비구니) | 자원스님(慈元, 1937년생)]] || [[쾌민스님(快敏, 1916生, 비구니) | 쾌민스님(快敏, 1916년생)]]
 
|-
 
| [[계주스님(季珠, 1914生, 비구니) | 계주스님(季珠, 1914년생)]] || [[문수스님(紋秀, 1939生, 비구니) | 문수스님(紋秀, 1939년생)]] || [[성문스님(性文, 1893生, 비구니) | 성문스님(性文, 1893년생)]] || [[자윤스님(慈允, 1928生, 비구니) | 자윤스님(慈允, 1928년생)]] || [[쾌유스님(快愈, 1907生, 비구니) | 쾌유스님(快愈, 1907년생)]]
 
|-
 
| [[계환스님(戒環, 1953生, 비구니) | 계환스님(戒環, 1953년생)]] || [[백졸스님(百拙, 1936生, 비구니) | 백졸스님(百拙, 1936년생)]] || [[성법스님(性法, 1929生, 비구니) | 성법스님(性法, 1929년생)]] || [[자은스님(慈恩, 1943生, 비구니) | 자은스님(慈恩, 1943년생)]] || [[탁연스님(卓然, 1949生, 비구니) | 탁연스님(卓然, 1949년생)]]
 
|-
 
| [[관월스님(觀月, 1904生, 비구니) | 관월스님(觀月, 1904년생)]] || [[범조스님(梵早, 1941生, 비구니) | 범조스님(梵早, 1941년생)]] || [[성수스님(性樹, 1948生, 비구니) | 성수스님(性樹, 1948년생)]] || [[자현스님(慈賢, 1896生, 비구니) | 자현스님(慈賢, 1896년생)]] || [[탄형스님(呑炯, 1948生, 비구니) | 탄형스님(呑炯, 1948년생)]]
 
|-
 
| [[관정스님(觀晶, 1937生, 비구니) | 관정스님(觀晶, 1937년생)]] || [[법공스님(法空, 1471生, 비구니) | 법공스님(法空, 1471년생)]] || [[성연스님(性蓮, 1920生, 비구니) | 성연스님(性蓮, 1920년생)]] || [[장일스님(長一, 1916生, 비구니) | 장일스님(長一, 1916년생)]] || [[태경스님(泰鏡, 1930生, 비구니) | 태경스님(泰鏡, 1930년생)]]
 
|-
 
| [[관주스님(觀柱, 1922生, 비구니) | 관주스님(觀柱, 1922년생)]] || [[법공스님(法空, 1937生, 비구니) | 법공스님(法空, 1937년생)]] || [[성연스님(聖蓮, 1928生, 비구니) | 성연스님(聖蓮, 1928년생)]] || [[재근스님(在根, 1940生, 비구니) | 재근스님(在根, 1940년생)]] || [[태구스님(泰具, 1920生, 비구니) | 태구스님(泰具, 1920년생)]]
 
|-
 
| [[광옥스님(光玉, 1943生, 비구니) | 광옥스님(光玉, 1943년생)]] || [[법농스님(法農, 1962生, 비구니) | 법농스님(法農, 1962년생)]] || [[성우스님(惺牛, 1918生, 비구니) | 성우스님(惺牛, 1918년생)]] || [[재문스님(載文, 1943生, 비구니) | 재문스님(載文, 1943년생)]] || [[하경스님(荷景, 1937生, 비구니) | 하경스님(荷景, 1937년생)]]
 
|-
 
| [[광우스님(光雨, 1926生, 비구니) | 광우스님(光雨, 1926년생)]] || [[법능스님(法能, 1932生, 비구니) | 법능스님(法能, 1932년생)]] || [[성원스님(性源, 1918生, 비구니) | 성원스님(性源, 1918년생)]] || [[재현스님(在玄, 1946生, 비구니) | 재현스님(在玄, 1946년생)]] || [[해성스님(海成, 1958生, 비구니) | 해성스님(海成, 1958년생)]]
 
|-
 
| [[광호스님(光毫, 1915生, 비구니) | 광호스님(光毫, 1915년생)]] || [[법륜스님(法倫, 1948生, 비구니) | 법륜스님(法倫, 1948년생)]] || [[성월스님(性月, 1947生, 비구니) | 성월스님(性月, 1947년생)]] || [[재호스님(宰毫, 1938生, 비구니) | 재호스님(宰毫, 1938년생)]] || [[해운스님(海雲, 1920生, 비구니) | 해운스님(海雲, 1920년생)]]
 
|-
 
| [[금룡스님(金龍, 1892生, 비구니) | 금룡스님(金龍, 1892년생)]] || [[법성스님(法性, 1914生, 비구니) | 법성스님(法性, 1914년생)]] || [[성일스님(性一, 1944生, 비구니) | 성일스님(性一, 1944년생)]] || [[재홍스님(在洪, 1931生, 비구니) | 재홍스님(在洪, 1931년생)]] || [[해주스님(海住, 1951生, 비구니) | 해주스님(海住, 1951년생)]]
 
|-
 
| [[긍탄스님(亘坦, 1885生, 비구니) | 긍탄스님(亘坦, 1885년생)]] || [[법성스님(法惺, 1938生, 비구니) | 법성스님(法惺, 1938년생)]] || [[성주스님(性主, 1825生, 비구니) | 성주스님(性主, 1825년생)]] || [[적조스님(寂照, 1942生, 비구니) | 적조스님(寂照, 1942년생)]] || [[행원스님(行願, 1928生, 비구니) | 행원스님(行願, 1928년생)]]
 
|-
 
| [[뇌묵스님(雷默, 1919生, 비구니) | 뇌묵스님(雷默, 1919년생)]] || [[법성스님(法性, 1940生, 비구니) | 법성스님(法性, 1940년생)]] || [[성주스님(性住, 1938生, 비구니) | 성주스님(性住, 1938년생)]] || [[정관스님(靜觀, 1945生, 비구니) | 정관스님(靜觀, 1945년생)]] || [[허경스님(虛鏡, 1440生, 비구니) | 허경스님(虛鏡, 1440년생)]]
 
|-
 
| [[능인스님(能忍, 1944生, 비구니) | 능인스님(能忍, 1944년생)]] || [[법용스님(法涌, 1936生, 비구니) | 법용스님(法涌, 1936년생)]] || [[성주스님(性珠, 1946生, 비구니) | 성주스님(性珠, 1946년생)]] || [[정덕스님(正德, 1933生, 비구니) | 정덕스님(正德, 1933년생)]] || [[현각스님(玄覺, 1935生, 비구니) | 현각스님(玄覺, 1935년생)]]
 
|-
 
| [[능인스님(能仁, 1946生, 비구니) | 능인스님(能仁, 1946년생)]] || [[법운스님(法雲, 1927生, 비구니) | 법운스님(法雲, 1927년생)]] || [[성지스님(聖智, 1926生, 비구니) | 성지스님(聖智, 1926년생)]] || [[정률스님(廷律, 1963生, 비구니) | 정률스님(廷律, 1963년생)]] || [[현묵스님(炫默, 1932生, 비구니) | 현묵스님(炫默, 1932년생)]]
 
|-
 
| [[대각스님(大覺, 1914生, 비구니) | 대각스님(大覺, 1914년생)]] || [[법운스님(法雲, 1937生, 비구니) | 법운스님(法雲, 1937년생)]] || [[성진스님(性眞, 1896生, 비구니) | 성진스님(性眞, 1896년생)]] || [[정명스님(淨明, 1940生, 비구니) | 정명스님(淨明, 1940년생)]] || [[현성스님(賢星, 1945生, 비구니) | 현성스님(賢星, 1945년생)]]
 
|-
 
| [[대영스님(大英, 1903生, 비구니) | 대영스님(大英, 1903년생)]] || [[법인스님(法印, 1930生, 비구니) | 법인스님(法印, 1930년생)]] || [[성총스님(聖叢, 1944生, 비구니) | 성총스님(聖叢, 1944년생)]] || [[정명스님(正明, 1954生, 비구니) | 정명스님(正明, 1954년생)]] || [[현수스님(賢秀, 1943生, 비구니) | 현수스님(賢秀, 1943년생)]]
 
|-
 
| [[대우스님(大愚, 1949生, 비구니) | 대우스님(大愚, 1949년생)]] || [[법일스님(法一, 1904生, 비구니) | 법일스님(法一, 1904년생)]] || [[성타스님(性陀, 1934生, 비구니) | 성타스님(性陀, 1934년생)]] || [[정목스님(正牧, 1960生, 비구니) | 정목스님(正牧, 1960년생)]] || [[현정스님(玄定, 1948生, 비구니) | 현정스님(玄定, 1948년생)]]
 
|-
 
| [[대은스님(大恩, 1852生, 비구니) | 대은스님(大恩, 1852년생)]] || [[법전스님(法田, 1927生, 비구니) | 법전스님(法田, 1927년생)]] || [[성탄스님(性坦, 1911生, 비구니) | 성탄스님(性坦, 1911년생)]] || [[정묘스님(靜妙, 1941生, 비구니) | 정묘스님(靜妙, 1941년생)]] || [[현진스님(玄眞, 1934生, 비구니) | 현진스님(玄眞, 1934년생)]]
 
|-
 
| [[대행스님(大行, 1926生, 비구니) | 대행스님(大行, 1926년생)]] || [[법전스님(法典, 1945生, 비구니) | 법전스님(法典, 1945년생)]] || [[성현스님(聖賢, 1927生, 비구니) | 성현스님(聖賢, 1927년생)]] || [[정성스님(定星, 1940生, 비구니) | 정성스님(定星, 1940년생)]] || [[현진스님(玄眞, 1937生, 비구니) | 현진스님(玄眞, 1937년생)]]
 
|-
 
| [[대현스님(大玄, 1916生, 비구니) | 대현스님(大玄, 1916년생)]] || [[법종스님(法宗, 1945生, 비구니) | 법종스님(法宗, 1945년생)]] || [[세등스님(世燈, 1926生, 비구니) | 세등스님(世燈, 1926년생)]] || [[정수스님(貞守, 1939生, 비구니) | 정수스님(貞守, 1939년생)]] || [[현찬스님(賢讚, 1934生, 비구니) | 현찬스님(賢讚, 1934년생)]]
 
|-
 
| [[대현스님(大玄, 1957生, 비구니) | 대현스님(大玄, 1957년생)]] || [[법진스님(法眞, 1942生, 비구니) | 법진스님(法眞, 1942년생)]] || [[소림스님(昭林, 1937生, 비구니) | 소림스님(昭林, 1937년생)]] || [[정수스님(淨洙, 1941生, 비구니) | 정수스님(淨洙, 1941년생)]] || [[현행스님(賢行, 1928生, 비구니) | 현행스님(賢行, 1928년생)]]
 
|-
 
| [[덕수스님(德修, 1922生, 비구니) | 덕수스님(德修, 1922년생)]] || [[법천스님(法泉, 1944生, 비구니) | 법천스님(法泉, 1944년생)]] || [[수옥스님(守玉, 1902生, 비구니) | 수옥스님(守玉, 1902년생)]] || [[정심스님(定心, 1918生, 비구니) | 정심스님(定心, 1918년생)]] || [[혜경스님(慧鏡, 1924生, 비구니) | 혜경스님(慧鏡, 1924년생)]]
 
|-
 
| [[덕운스님(德雲, 1942生, 비구니) | 덕운스님(德雲, 1942년생)]] || [[법형스님(法衡, 1921生, 비구니) | 법형스님(法衡, 1921년생)]] || [[수인스님(守仁, 1779生, 비구니) | 수인스님(守仁, 1779년생)]] || [[정심스님(正心, 1925生, 비구니) | 정심스님(正心, 1925년생)]] || [[혜광스님(慧光, 1940生, 비구니) | 혜광스님(慧光, 1940년생)]]
 
|-
 
| [[도광스님(度光, 1952生, 비구니) | 도광스님(度光, 1952년생)]] || [[법홍스님(法弘, 1943生, 비구니) | 법홍스님(法弘, 1943년생)]] || [[수인스님(守仁, 1899生, 비구니) | 수인스님(守仁, 1899년생)]] || [[정안스님(正眼, 1950生, 비구니) | 정안스님(正眼, 1950년생)]] || [[혜근스님(慧根, 1935生, 비구니) | 혜근스님(慧根, 1935년생)]]
 
|-
 
| [[도문스님(道門, 1942生, 비구니) | 도문스님(道門, 1942년생)]] || [[법희스님(法喜, 1887生, 비구니) | 법희스님(法喜, 1887년생)]] || [[수진스님(守珍, 1916生, 비구니) | 수진스님(守珍, 1916년생)]] || [[정안스님(淨岸, 1951生, 비구니) | 정안스님(淨岸, 1951년생)]] || [[혜돈스님(慧頓, 1949生, 비구니) | 혜돈스님(慧頓, 1949년생)]]
 
|-
 
| [[도상스님(道常, 1937生, 비구니) | 도상스님(道常, 1937년생)]] || [[법희스님(法希, 1930生, 비구니) | 법희스님(法希, 1930년생)]] || [[수진스님(修眞, 1950生, 비구니) | 수진스님(修眞, 1950년생)]] || [[정운스님(淨雲, 1954生, 비구니) | 정운스님(淨雲, 1954년생)]] || [[혜등스님(慧燈, 1946生, 비구니) | 혜등스님(慧燈, 1946년생)]]
 
|-
 
| [[도성스님(道成, 1922生, 비구니) | 도성스님(道成, 1922년생)]] || [[법희스님(法熺, 1952生, 비구니) | 법희스님(法熺, 1952년생)]] || [[수현스님(修賢, 1940生, 비구니) | 수현스님(修賢, 1940년생)]] || [[정원스님(正圓, 1939生, 비구니) | 정원스님(正圓, 1939년생)]] || [[혜명스님(慧明, 1917生, 비구니) | 혜명스님(慧明, 1917년생)]]
 
|-
 
| [[도연스님(道鍊, 1911生, 비구니) | 도연스님(道鍊, 1911년생)]] || [[보각스님(普覺, 1904生, 비구니) | 보각스님(普覺, 1904년생)]] || [[수현스님(修賢, 1941生, 비구니) | 수현스님(修賢, 1941년생)]] || [[정인스님(正忍, 1946生, 비구니) | 정인스님(正忍, 1946년생)]] || [[혜문스님(慧門, 1930生, 비구니) | 혜문스님(慧門, 1930년생)]]
 
|-
 
| [[도원스님(道圓, 1904生, 비구니) | 도원스님(道圓, 1904년생)]] || [[보각스님(寶覺, 1938生, 비구니) | 보각스님(寶覺, 1938년생)]] || [[수환스님(修還, 1950生, 비구니) | 수환스님(修還, 1950년생)]] || [[정일스님(淨日, 1934生, 비구니) | 정일스님(淨日, 1934년생)]] || [[혜소스님(慧沼, 1931生, 비구니) | 혜소스님(慧沼, 1931년생)]]
 
|-
 
| [[도준스님(道準, 1900生, 비구니) | 도준스님(道準, 1900년생)]] || [[보명스님(寶明, 1946生, 비구니) | 보명스님(寶明, 1946년생)]] || [[순희스님(順姬, 1917生, 비구니) | 순희스님(順姬, 1917년생)]] || [[정행스님(淨行, 1902生, 비구니) | 정행스님(淨行, 1902년생)]] || [[혜안스님(慧眼, 1912生, 비구니) | 혜안스님(慧眼, 1912년생)]]
 
|-
 
| [[도헌스님(度憲, 1939生, 비구니) | 도헌스님(度憲, 1939년생)]] || [[보명스님(寶明, 1954生, 비구니) | 보명스님(寶明, 1954년생)]] || [[신전스님(信典, 1934生, 비구니) | 신전스님(信典, 1934년생)]] || [[정화스님(淨華, 1922生, 비구니) | 정화스님(淨華, 1922년생)]] || [[혜안스님(慧眼, 1923生, 비구니) | 혜안스님(慧眼, 1923년생)]]
 
|-
 
| [[도훈스님(道勳, 1933生, 비구니) | 도훈스님(道勳, 1933년생)]] || [[보문스님(普門, 1938生, 비구니) | 보문스님(普門, 1938년생)]] || [[연호스님(蓮湖, 1930生, 비구니) | 연호스님(蓮湖, 1930년생)]] || [[정화스님(貞和, 1923生, 비구니) | 정화스님(貞和, 1923년생)]] || [[혜옥스님(慧玉, 1901生, 비구니) | 혜옥스님(慧玉, 1901년생)]]
 
|-
 
| [[동근스님(東根, 1951生, 비구니) | 동근스님(東根, 1951년생)]] || [[보선스님(普善, 1946生, 비구니) | 보선스님(普善, 1946년생)]] || [[영수스님(暎修, 1941生, 비구니) | 영수스님(暎修, 1941년생)]] || [[종수스님(宗秀, 1922生, 비구니) | 종수스님(宗秀, 1922년생)]] || [[혜운스님(慧雲, 1911生, 비구니) | 혜운스님(慧雲, 1911년생)]]
 
|-
 
| [[동성스님(東城, 1913生, 비구니) | 동성스님(東城, 1913년생)]] || [[보영스님(普暎, 1937生, 비구니) | 보영스님(普暎, 1937년생)]] || [[영운스님(靈雲, 1946生, 비구니) | 영운스님(靈雲, 1946년생)]] || [[종수스님(鍾修, 1922生, 비구니) | 종수스님(鍾修, 1922년생)]] || [[혜원스님(慧圓, 851生, 비구니) | 혜원스님(慧圓, 851년생)]]
 
|-
 
| [[동현스님(東玄, 1945生, 비구니) | 동현스님(東玄, 1945년생)]] || [[보원스님(普願, 1944生, 비구니) | 보원스님(普願, 1944년생)]] || [[영원스님(盈圓, 1949生, 비구니) | 영원스님(盈圓, 1949년생)]] || [[종식스님(宗植, 1944生, 비구니) | 종식스님(宗植, 1944년생)]] || [[혜은스님(慧隱, 1937生, 비구니) | 혜은스님(慧隱, 1937년생)]]
 
|-
 
| [[동희스님(東熙, 1945生, 비구니) | 동희스님(東熙, 1945년생)]] || [[보인스님(寶仁, 1924生, 비구니) | 보인스님(寶仁, 1924년생)]] || [[영춘스님(永春, 1894生, 비구니) | 영춘스님(永春, 1894년생)]] || [[종실스님(宗實, 1951生, 비구니) | 종실스님(宗實, 1951년생)]] || [[혜일스님(慧日, 1919生, 비구니) | 혜일스님(慧日, 1919년생)]]
 
|-
 
| [[만선스님(萬善, 1883生, 비구니) | 만선스님(萬善, 1883년생)]] || [[보현스님(普賢, 1934生, 비구니) | 보현스님(普賢, 1934년생)]] || [[예순스님(禮順, 1587生, 비구니) | 예순스님(禮順, 1587년생)]] || [[지광스님(志光, 1934生, 비구니) | 지광스님(志光, 1934년생)]] || [[혜일스님(慧日, 1947生, 비구니) | 혜일스님(慧日, 1947년생)]]
 
|-
 
| [[만선스님(萬善, 1906生, 비구니) | 만선스님(萬善, 1906년생)]] || [[보화스님(普和, 1933生, 비구니) | 보화스님(普和, 1933년생)]] || [[운달스님(雲達, 1942生, 비구니) | 운달스님(雲達, 1942년생)]] || [[지명스님(智明, 1921生, 비구니) | 지명스님(智明, 1921년생)]] || [[혜전스님(慧田, 1929生, 비구니) | 혜전스님(慧田, 1929년생)]]
 
|-
 
| [[만선스님(萬善, 996生, 비구니) | 만선스님(萬善, 996년생)]] || [[본각스님(本覺, 1952生, 비구니) | 본각스님(本覺, 1952년생)]] || [[원오스님(圓悟, 1933生, 비구니) | 원오스님(圓悟, 1933년생)]] || [[지문스님(志門, 1958生, 비구니) | 지문스님(志門, 1958년생)]] || [[혜종스님(慧宗, 1930生, 비구니) | 혜종스님(慧宗, 1930년생)]]
 
|-
 
| [[만성스님(萬性, 1897生, 비구니) | 만성스님(萬性, 1897년생)]] || [[본공스님(本空, 1907生, 비구니) | 본공스님(本空, 1907년생)]] || [[원표스님(圓表, 1951生, 비구니) | 원표스님(圓表, 1951년생)]] || [[지성스님(志性, 1939生, 비구니) | 지성스님(志性, 1939년생)]] || [[혜주스님(慧珠, 1925生, 비구니) | 혜주스님(慧珠, 1925년생)]]
 
|-
 
| [[명길스님(明吉, 1931生, 비구니) | 명길스님(明吉, 1931년생)]] || [[봉려관스님(蓬廬觀, 1865生, 비구니) | 봉려관스님(蓬廬觀, 1865년생)]] || [[월혜스님(月慧, 1895生, 비구니) | 월혜스님(月慧, 1895년생)]] || [[지순스님(芝順, 1913生, 비구니) | 지순스님(芝順, 1913년생)]] || [[혜준스님(慧俊, 1935生, 비구니) | 혜준스님(慧俊, 1935년생)]]
 
|-
 
| [[명륜스님(明倫, 1937生, 비구니) | 명륜스님(明倫, 1937년생)]] || [[불필스님(不必, 1937生, 비구니) | 불필스님(不必, 1937년생)]] || [[육년스님(六年, 1906生, 비구니) | 육년스님(六年, 1906년생)]] || [[지연스님(知衍, 1947生, 비구니) | 지연스님(知衍, 1947년생)]] || [[혜춘스님(慧春, 1919生, 비구니) | 혜춘스님(慧春, 1919년생)]]
 
|-
 
| [[명성스님(眀星, 1931生, 비구니) | 명성스님(眀星, 1931년생)]] || [[상근스님(祥根, 1872生, 비구니) | 상근스님(祥根, 1872년생)]] || [[육문스님(六文, 1946生, 비구니) | 육문스님(六文, 1946년생)]] || [[지오스님(智悟, 1955生, 비구니) | 지오스님(智悟, 1955년생)]] || [[혜해스님(慧海, 1921生, 비구니) | 혜해스님(慧海, 1921년생)]]
 
|-
 
| [[명수스님(明洙, 1925生, 비구니) | 명수스님(明洙, 1925년생)]] || [[상덕스님(常德, 1951生, 비구니) | 상덕스님(常德, 1951년생)]] || [[윤호스님(輪浩, 1907生, 비구니) | 윤호스님(輪浩, 1907년생)]] || [[지우스님(至牛, 1935生, 비구니) | 지우스님(至牛, 1935년생)]] || [[회선스님(會善, 1926生, 비구니) | 회선스님(會善, 1926년생)]]
 
|-
 
| [[명심스님(明心, 1947生, 비구니) | 명심스님(明心, 1947년생)]] || [[상덕스님(常德, 1952生, 비구니) | 상덕스님(常德, 1952년생)]] || [[은영스님(恩榮, 1910生, 비구니) | 은영스님(恩榮, 1910년생)]] || [[지원스님(知元, 1931生, 비구니) | 지원스님(知元, 1931년생)]] || [[효성스님(曉星, 1898生, 비구니) | 효성스님(曉星, 1898년생)]]
 
|-
 
| [[명안스님(明岸, 1941生, 비구니) | 명안스님(明岸, 1941년생)]] || [[상덕스님(尙悳, 1925生, 비구니) | 상덕스님(尙悳, 1925년생)]] || [[응민스님(應旼, 1923生, 비구니) | 응민스님(應旼, 1923년생)]] || [[지원스님(智圓, 1938生, 비구니) | 지원스님(智圓, 1938년생)]] || [[효성스님(曉惺, 1927生, 비구니) | 효성스님(曉惺, 1927년생)]]
 
|-
 
| [[명오스님(明悟, 1916生, 비구니) | 명오스님(明悟, 1916년생)]] || [[상락스님(常樂, 1928生, 비구니) | 상락스님(常樂, 1928년생)]] || [[인성스님(仁成, 1901生, 비구니) | 인성스님(仁成, 1901년생)]] || [[지원스님(智願, 1942生, 비구니) | 지원스님(智願, 1942년생)]] || [[효성스님(曉星, 1948生, 비구니) | 효성스님(曉星, 1948년생)]]
 
|-
 
| [[명완스님(明完, 1937生, 비구니) | 명완스님(明完, 1937년생)]] || [[상륜스님(相侖, 1929生, 비구니) | 상륜스님(相侖, 1929년생)]] || [[인완스님(仁完, 1930生, 비구니) | 인완스님(仁完, 1930년생)]] || [[지인스님(智因, 1937生, 비구니) | 지인스님(智因, 1937년생)]] || [[효천스님(曉天, 1941生, 비구니) | 효천스님(曉天, 1941년생)]]
 
|-
 
| [[명주스님(明珠, 1904生, 비구니) | 명주스님(明珠, 1904년생)]] || [[상원스님(相源, 1939生, 비구니) | 상원스님(相源, 1939년생)]] || [[인정스님(仁貞, 1899生, 비구니) | 인정스님(仁貞, 1899년생)]] || [[지행스님(智行, 1941生, 비구니) | 지행스님(智行, 1941년생)]] || [[효탄스님(曉呑, 1955生, 비구니) | 효탄스님(曉呑, 1955년생)]]
 
|-
 
| [[명철스님(明哲, 1939生, 비구니) | 명철스님(明哲, 1939년생)]] || [[상조스님(常照, 1951生, 비구니) | 상조스님(常照, 1951년생)]] || [[인허스님(印虛, 1911生, 비구니) | 인허스님(印虛, 1911년생)]] || [[지향스님(智向, 1941生, 비구니) | 지향스님(智向, 1941년생)]] || [[희선스님(喜善, 1929生, 비구니) | 희선스님(喜善, 1929년생)]]
 
|-
 
| [[묘각스님(妙覺, 1928生, 비구니) | 묘각스님(妙覺, 1928년생)]] || [[상훈스님(常熏, 1944生, 비구니) | 상훈스님(常熏, 1944년생)]] || [[인홍스님(仁弘, 1908生, 비구니) | 인홍스님(仁弘, 1908년생)]] || [[지현스님(智玄, 1916生, 비구니) | 지현스님(智玄, 1916년생)]] || [[희원스님(喜圓, 1951生, 비구니) | 희원스님(喜圓, 1951년생)]]
 
|-
 
| [[묘각스님(妙覺, 1942生, 비구니) | 묘각스님(妙覺, 1942년생)]] || [[서용스님(瑞庸, 1948生, 비구니) | 서용스님(瑞庸, 1948년생)]] || [[인화스님(忍和, 1912生, 비구니) | 인화스님(忍和, 1912년생)]] || [[지현스님(智賢, 1933生, 비구니) | 지현스님(智賢, 1933년생)]] ||
 
|}
 

2024년 4월 28일 (일) 18:33 기준 최신판



정의

종식(宗植)스님은 법희 노스님을 오랫동안 시봉한 대한민국 비구니 스님이다.

생애

연도 내용
1944 경남 진양 출생
1966 수덕사 견성암에서 영명(靈明)스님을 은사로 출가
1967 수덕사에서 벽초(碧超)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 수지
1977 쌍계사에서 석암(昔岩)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 수지
16년간 견성암에서 법희 노스님 시봉 및 정진
1990 충청도 금산 선암사 주지
2020 선암사 주석
문중 삼현문중(三賢)
수행지침 항상 화두를 들고 공부하자
수계제자 혜견(慧見)·지율(智津)·경률(暻律)

활동 및 공헌

출가


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345

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346
[선암사 대웅전]
사진출처:한국비구니연구소.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권. 뜨란출판사, 2007, p.349

종식(宗植)스님은 1944년 3월 16일 경남 진양군 대평면에서 아버지 하주락과 어머니 성귀녀 사이의 2남 2녀 중 맏이로 태어났다. 본관은 진양이며, 이름은 하순녀이다. 스님은 일찍이 부모님을 여의고 어느 보살 한 분을 수양어머니로 삼았는데 불심이 매우 깊은 분이셨다. 수양어머니를 따라 절에 다니던 중 한때 천축산 무문관의 조실로 계셨던 원공(법호 일화) 큰스님을 친견하였다.
그때 스님은 원공스님의 『금강경』 법문을 듣고 발심하여 1966년 수덕사 견성암에서 영명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였다. 수양어머니와 함께 법희(法喜)노스님을 몇 번 찾아뵈며 법문을 들을 기회가 있었는데 그런 인연으로 법희 노스님의 맏상좌인 영명스님 앞으로 출가한 것이다. 법희 노스님은 만공 큰스님 문하에서 공부하고 인가를 받으신 비구니로서 최초의 도인으로 불렸던 분이다.
스님은 1967년 3월 수덕사에서 벽초스님을 계사로 사미니계를 수지하였고, 1977년 3월 7일 쌍계사에서 석암화상을 계사로 비구니계를 수지하였다.

법희 노스님 시봉

종식스님은 10여 년 정도 견성암에서 법희 노스님의 시봉을 들었다. 그러던 중 법희 노스님이 1975년 3월 9일 세수 89세, 법랍 85세로 수덕사 견성암에서 입적하시자 49재까지 모신 후 견성암을 나와 선방을 다니며 공부하였다. 그러나 몸이 좋지 않아 선암사로 오게 되었다. 법희 노스님을 시봉하는 동안 스님은 많은 것을 배웠고 깨달은 것도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 법희 노스님은 설법보다는 행으로 모든 사람들에게 귀감이 되셨고, 선방에서 입승을 살면서 오직 공부에 몰두하신 분으로 평생 주지를 한 번도 맡은 적이 없었다.

노스님을 시봉하면서 ‘도인이란 바로 저런 분을 일컫는 것이구나.’ 하고 생각하며 종식스님은 앞으로 어른이 되면 노스님 같은 사람이 되고 싶다는 다짐을 하였다. 지금도 노스님의 모습을 닮고자 노력하며 살지만 마음같이 잘 되지 않아 안타까울 뿐이라고 한다. 노스님은 어떻게든지 수좌들을 공부시키려고 입선하도록 배려하고 자신은 달밤에 보리밭으로 나가 홀로 일을 하면서 대중 울력을 시키지 않으셨다.

한때 종식스님은 노스님을 조그만 암자(견성암 위에 있었으나 지금은 없어진 학서암)에서 모시고 산 적이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스님이 산에서 낫으로 풀을 베고 있는데 그 풀들을 노스님이 지팡이로 뒤집어 놓으면서 “내가 몸이 아파서 좀 앓아야겠다.” 하고 말씀하셨다. 그러면서도 쉬지 않으시고 계속 풀을 뒤집고 다니셨다. “노스님께서는 편찮으시다면서 왜 쉬지 않으십니까?” 종식스님이 여쭙자 노스님은 짧게 대답하셨다. “지금 앓고 있는 중이야.” 그러면서 노스님은 하루 종일 벤 풀들을 뒤적거리며 말리셨다. 그처럼 작은 일도 하찮게 여기지 않고 몸소 함께 하시는 모습을 보고 종식스님은 노스님의 뒤를 따르리라는 마음을 다시 한 번 다졌다. 스님은 ‘노스님만큼만 한다면 중노릇 참 잘하는 것이다.’라는 생각에 상좌들한테도 노스님 얘기를 자주 들려준다고 한다.
법희 노스님은 하찮은 짐승까지도 귀한 중생으로 생각하며 가엾고 불쌍하게 여기셨다. 수덕사 견성암을 지을 때의 일이다. 그때 견성암에서는 어린 강아지를 데려다 키우고 있었다. 그런데 그 강아지가 너무 어려서 어미를 찾느라 밤새 낑낑대며 우는 바람에 일꾼들이 잠을 설쳤다고 투덜대었다. 이에 종식스님이 강아지를 꾸짖으며 때린 적이 있었다. 때마침 노스님이 정랑을 다녀오다가 그러한 종식스님의 모습을 보고 “네가 언제부터 사람 되었다고 강아지를 때리느냐!” 하고 호통을 치셨다. 노스님의 꾸중이 너무나 서러운 나머지 종식스님은 울음을 터뜨렸고, 잠시 후 노스님은 “네가 미워 그런 게 아니다. 거슬러 올라가면 네가 전생에 강아지였을 수도 있고 강아지가 너였을 수도 있잖느냐. 그러니 강아지를 불쌍히 여기도록 해라.” 하고 조용히 타이르셨다. 노스님의 그 말씀에 감화를 받은 이후 원래부터 동물을 싫어하던 종식스님은 고양이든 개든 모든 짐승을 다 예뻐하게 되었다.

종식스님은 노스님을 모시면서 전혀 어려운 점이 없었다. 노스님께서 워낙 아랫사람들에게 편안하게 대해주셨기 때문이었다. 노스님을 시봉하면서도 대중 소임을 살 정도로 편히 대해주셨던 것이다.

어느 추운 날이었다. 노스님이 소맷부리를 걷어 올리고 계셔서 종식스님이 여쭈었다. “스님, 추운데 왜 소매를 올리고 계셔요?” 그러자 노스님이 소매 안쪽을 보여주시는데 때가 검게 묻어 있었다. 소매 땟자국을 보여주며 “종식이 네가 너무 바쁘니 그렇지. 네가 바쁜 것 같아서 너한테 보이지 않으려고 그랬다.” 하고 말씀하며 가볍게 넘기시는 것이었다.

저녁이면 노스님 다리를 곧잘 주물러드리곤 하였다. 그러면 노스님은 항상 가만히 선정에 드셨는데 종식스님은 그 모습이 너무 좋아 졸면서도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다리를 주물러드렸다. 공양을 드릴 때도 밥이 질어 죄송해 하면 “이에 좀 달라붙어서 그렇지 괜찮다.”고 하셨고, 밥이 되어 꼬들꼬들하면 “밥알이 따로 돌아다닐 뿐이지 괜찮다.”고 하셨다.
노스님은 아랫사람에 대해 이렇다 저렇다는 말씀이 일절 없으셨다. 잘했다 못했다 아무런 지적 한 번 없이 스스로들 알아서 하도록 했고 그것을 다 가만히 받아들이셨다. 종식스님은 자신이 시봉을 잘 한 것은 아니지만 ‘어느 분이든 우리 노스님만 같으시면 열 분 시봉도 들었을 것’이라고 웃으며 말한다. 이렇듯이 법희 노스님은 행으로 모든 것을 보여주실 뿐 특별히 법문을 하시거나 말을 앞세우지 않으셨다. 때로는 노스님의 법문을 듣고 싶은 마음도 간절했지만 세월이 흐른 뒤 종식스님은 노스님의 행이 곧 법문이었음을 깨달았다.

행자 시절

누구나 그렇듯이 종식스님의 행자 시절도 크고 작은 어려움이 많았다. 특히 그 당시는 견성암을 짓기 시작한 단계였기 때문에 울력이 참 많았다. 그 시절에는 수행과 공부보다 ‘어떻게 하면 일을 많이 하고 잘하느냐가 중노릇의 전부다.’ 하고 생각한 적도 있었다.

그리고 ‘어떻게 하면 어른스님들 시봉을 잘 받드는가. 어떻게 하면 대중의 입에 오르내리지 않고 대중의 눈에 들며 노스님 눈에 들 것인가.’ 하는 문제가 무엇보다도 중요했다. 그 무렵 종식스님은 노스님, 은사스님, 사숙님(승가사 상륜스님) 이렇게 세 분을 모시고 살았다. 물론 요즘처럼 따뜻한 물을 마음대로 쓸 수도 없었고 비누나 고무장갑 등도 귀해서 하루에 세 번씩 빨래를 하느라 애를 먹었던 시절이었다. 머리 감은 물을 모아서 빨래를 하기도 했고 빨랫감을 머리에 이고 시냇가로 나가기도 했다. 요즘에는 선방에서도 오히려 복을 덜 정도로 너무 잘 먹는다고 지적하는 스님은 시주 들어온 물건을 아까운 줄 알고 살아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것 같다며 안타까워한다.

선암사 건립

스님은 또한 선방 사는 사람들이 불사를 너무 무리하게 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불사란 인연 따라 마무리 짓되 만약 자신이 못하면 인연 있는 다른 분이 그 뒤를 이어서 하면 된다고 보는 것이다. 선방을 다니던 중 스님은 건강이 좋지 않았다. 그래서 어딘가 바랑을 풀 곳이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마침 그때 한 스님이 내놓은 절이 있기에 탁발과 여동생의 도움을 받아 선암사를 구입하였다. 현재 선암사는 계속 불사를 진행 중인데 사정이 여의치 않아 천천히 되어 가는 대로 마무리할 계획이다. 이곳은 원래 제대로 된 길도 없어 건축 장비조차 들여올 수 없었는데 전화위복으로 절 뒤편에 고속도로가 나게 되어 서둘러 불사를 시작했던 것이다.

어른을 공경한다는 것

출가 이후 노스님을 오랫동안 시봉한 종식스님은 어른에 대한 공경과 효도에 대한 분명한 생각을 갖고 있다. “근래 들어 스승과 함께 살지 못하고 따로 나와서 사는 스님들이 많더군요. 하지만 스승을 잘 모시든 못 모시든 간에 그것은 자신의 일이지 남의 일이 아니죠. 세상에 공짜가 없듯이 어른을 모시는 일 또한 그렇습니다. 돈 천 원을 빌려 써도 그에 따른 이자가 붙듯이 어른을 공경하는 일도 마찬가지로 잘하면 잘하는 대로 못하면 못하는 대로 이자가 붙는 겁니다.” 스님의 생각은 계속 이어진다.
“요즘 젊은 사람들의 자유로움도 좋지만 기본 정신을 놓치지 말아야 합니다. 예의범절이나 효도, 어른 공경 역시 모두 기본에서 벗어나지 않으면 잘못되거나 실수하는 법이 없어요. 그래서 저는 한 방에서 자고 일어났어도 열 번을 마주치면 열 번, 스무 번을 마주치면 스무 번, 그렇게 마주 칠 때마다 인사를 하라고 얘길 합니다. 그것이 효도예요. 날마다 비단옷에 좋은 반찬만 해드리는 게 효도가 아닙니다. 진정한 효도란 어른 하시는 일에 거스르지 않고 그저 상냥하게 대해 드리는 것이죠. 그러다 보면 도의 절반은 닦아집니다.”
스님은 상좌들도 그러한 생각을 갖고 살기를 바란다.

후학들에게

또한 ‘왜 내가 중노릇을 하는가? 왜 내가 중이 되었는가? 중노릇을 잘 하려면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항상 자문하고 ‘필경 꼭 이루어야 할 것은 무엇인가?’를 확실히 인식하며 사는 것을 기본으로 삼으라고 당부한다. 덧붙여 말하자면 기본에서 어긋나지 않으며 세속과 절집의 차이가 무엇인지 생각하며 살라는 것이다. 스님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젊은 후학들에게 이렇게 강조한다.

“중노릇도 인간이 먼저 되어야 잘할 수 있습니다. 사람의 가장 근본인 인간성이 제대로 되어 있을 때 그 가운데 효도하는 마음과 공경하는 마음도 나오고 공부도 제대로 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유식, 무식을 떠나서 기본적으로 인간이 먼저 되어야 합니다.”
스님은 처음 입산했을 때의 일을 잊지 못한다. 노스님이 시키시는 대로 절구에 절을 하였다. 자기 자신을 낮추는 수행이었다. 벼가 익으면 고개를 숙이듯이 우리 출가자들도 마땅히 그래야 한다는 것이다.
1990년부터 선암사에 머물면서 수행 정진 중인 종식스님의 수계제자로는 혜견(慧見)·지율(智津)·경률(暻律)스님이 있다.

참고자료

  • 한국비구니연구소 저. 『한국비구니수행담록』 하. 뜨란출판사, 2007, pp. 343~349.
  • 한국비구니연구소 저. 『한국비구니명감』. 뜨란출판사, 2007, p. 454.
  • 충청투데이, 금산 군북면 선암사, 20년째 이웃돕기 성금기탁 (2020년) https://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49181

시맨틱 데이터

노드 데이터

식별자 범주 유형 표제 한자 웹 주소
종식(萬善)스님 본항목 종식스님(宗植, 1944~) 宗植 http://dh.aks.ac.kr/~biguni/wiki/index.php/종식스님(宗植,_1944生,_비구니)

※ 범례

  • 범주: 본항목, 문맥항목
  • 문맥항목 유형: 승려(비구니), 승려(비구), 인물, 단체, 기관/장소, 사건/행사, 물품/도구, 문헌, 작품, 개념/용어,

릴레이션 데이터

항목1 항목2 관계 속성
종식스님(宗植) 삼현문중(三賢) ~의 일원이다
종식스님(宗植) 영명스님(靈明) ~의 수계제자이다
종식스님(宗植) 수덕사 견성암 ~에서 출가하다
종식스님(宗植) 벽초스님(碧超) ~(으)로부터 계를 받다 사미니계
종식스님(宗植) 석암스님(昔巖) ~(으)로부터 계를 받다 비구니계
종식스님(宗植) 법희스님(法喜) ~을(를) 시봉하다 손주상좌
종식스님(宗植) 금산 선암사 ~에서 직임을 수행하다 주지(감원)
종식스님(宗植) 금산장학재단 ~을(를) 후원하다

한국 비구니 인명사전 데이터 아카이브로 가기

지도



주석


다른 비구니 스님


대한민국 주요 비구니 스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