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궁(欑宮)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가매장 형식으로 광(壙)을 본떠 만들어서 대렴 직후에 왕과 왕후의 재궁(梓宮)을 안치하는 상구(喪具).

개설

찬궁은 통상 왕과 왕후의 상에만 쓰이는데, 1457년(세조 3) 9월에는 당시 사망한 세자에 대해서도 찬궁을 사용하였다. 재궁을 가매장하는 형식을 빌려 찬궁에 안치하고자 만들었다. 집 모양과 유사하며, 사면에는 사신도(四神圖)를 붙였다. 찬궁을 설치하는 공간은 빈전이다.

내용 및 특징

찬궁은 대렴 전에 만들었다. 그 제도를 1446년(세종 28) 3월 세종대의 국상 때 기사를 통해 살펴보면 먼저 벽돌을 땅에 깔고 석회로 그 틈을 발라서 터를 다진 다음에, 사각의 나무를 바닥에 설치하고 그 위에 네 개의 기둥을 세웠다(『세종실록』 28년 3월 27일). 기둥 위에는 들보와 서까래를 올리고서 벽을 만들어 집 모양과 같이 만들었다. 다만, 동쪽 벽은 비워서 대자리[竹簟]를 안쪽의 삼면(三面)과 위에 붙이고, 대나무 조각으로 만든 가로 세로 못을 끼운다. 또 두꺼운 종이를 바르고, 그 위에 주작(朱雀)·현무(玄武)·청룡(靑龍)·백호(白虎) 등 사신도를 그려서 방위에 따라 붙였다. 그 외의 삼면과 상면(上面)에는 먼저 진흙을 바르고, 정포(正布)와 두꺼운 종이를 차례로 바르며, 유둔(油芚)과 지의를 안에 펴놓았다. 발 없는 평상을 설치하고 그 위에 대자리와 욕석을 펴놓았다.

성빈할 시간이 되면, 내시(內侍)가 재궁에 저사(紵絲)로 된 소관의(小棺衣)를 덮고, 연폭(連幅)의 유지(油紙)를 여러 겹 덮는다. 그리고는 흰 생초(生綃)를 사용해 종횡으로 묶는다. 함께 재궁을 들어서 평상 위에 안치하는데, 머리는 남쪽으로 향하게 한다. 그 위에는 도끼무늬를 그린 대관의(大棺衣)를 덮는다. 비워두었던 동벽(東壁)을 들어다 막고 못을 박아서 튼튼하게 한 다음, 진흙과 정포, 두꺼운 종이를 차례로 바른다. 이를 마치면 휘장을 설치한다.

이렇게 제작하여 재궁을 모신 찬궁은 빈전 가운데에서 약간 서쪽에 설치했다. 그 앞에는 영좌를 설치하고, 동쪽에는 휘장을 설치하여 그 안에다 영침을 진설했다.

P00010309 01.PNG

찬궁에 재궁을 안치할 때에는 머리의 방향을 남쪽으로 하는 것은, 아직 어버이가 죽지 않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인데, 이것은 실제 방위의 남북이 아니라 궁실의 향배에 따랐다.

발인할 때에는 그 전에 먼저 계빈의를 거행했다. 전제(奠祭)를 마친 후에, 동판내시(同判內侍)가 여러 내시를 거느리고 올라가서 찬도(攢塗)를 걷어치운다. 걷어치우기를 마치면, 동판내시가 수건으로 재궁을 닦고 관의로써 덮고, 내시가 빙 둘러 밧줄로 매고 물러간다. 그 후에 찬궁은 정결처에서 불에 태운다.

변천

1446년에 규정된 성빈의는 『세종실록』 「오례」 흉례 성빈조에서 약간의 수정보완이 가해졌다. 여기에는 찬궁 터의 높이가 5촌가량이며 사면은 각각 2척을 더 넓힌다고 했다. 사방 기둥의 높이는 5척이며, 가노(椵繩)와 세목(細木)으로 벽을 만들고, 안의 3면과 위에는 갈대자리[蘆簟]를 붙인다고 했다. 계빈의에서도 찬도를 걷어치우는 일은 선공감(繕工監) 소속 관원들이 담당했으며, 재궁을 깨끗이 닦는 작업은 우의정(右議政)이 그 역할을 맡았다.

의의

사대부 이상은 발인하기까지의 상례 기간이 한 달 이상으로 시신이 부패할 염려가 있었다. 이에 구덩이를 파서 가매장하는 절차가 행해지기도 했다. 왕은 이러한 가매장 장소로서 별도의 상구를 마련해 행하였다. 신분에 따라 격식을 달리하는 예의 차별화된 모습을 엿볼 수 있다. 또한 산릉의 광중을 모방한 찬궁의 구조와 그 의미를 되새겨 당시 사람들의 상례 의식과 내세관을 살펴볼 수 있다.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