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Encyves Wiki
AKS장동룡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8월 31일 (목) 00:31 판 (관계정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최영장군의 홍산전투
박창돈-홍산전투(최영)-1976s.jpg
작가 박창돈
제작연도 1976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군사/전쟁
분류 유화
소장처 전쟁기념관



정의

고려 우왕 2년(1376년), 최영장군이 고려를 침입한 왜구를 홍산(鴻山 : 충남 부여)에서 섬멸하는 장면을 그린 박창돈 화백의 민족기록화.

설명

작품 소재

1376년 7월 서해안으로 칩입한 왜구는 공주와 연산의 개태사를 점령하고 고려군을 이끌던 도원수 박인계를 전사케 한 후 홍산까지 진출하였다. 이에 최영은 나이를 들어 말리는 우왕에 간청하여 최공철 강영 박수년 등과 함께 고려군을 이끌고 홍산에서 적과 대치하였다. 험준한 지형에 의지하여 대응하는 왜구에 장수들이 겁을 먹고 전진하지 못하였는데 최영이 몸소 군사의 진두에 서서 돌진하였다.
적이 숲속에 숨어 최영을 쏘아 입술을 맞추니 피가 낭자하게 흘렀는데, 태연자약하게 적을 쏘아 활시위를 당겨서 쓰러뜨리고 이내 맞은 화살을 뽑았다. 최영이 더욱 힘쓰니 마침내 적을 크게 격파하여 거의 다 죽이거나 사로잡았다.[1]

작품 배경

홍산은 현재의 충청남도 부여지역으로, 본래 백제의 대산현(大山縣)이었는데 940년(태조 23년)홍산으로 고치고 1895년(고종 32년) 군(郡)으로 승격되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개편 때 부여군에 병합되어 홍산면이 되었다. 지명은 그 모양이 나는 기러기처럼 생긴 비홍산(飛鴻山)에서 유래하였다. 고려 우왕 때 왜구의 침입이 빈번하였다.[2]

작품 구도

전장은 앙상하게 불에 탄 나무와 흰 연기로 휩싸여 있고 백마를 타고 갑옷을 입은 노령의 최영이 적진을 향해 활시위를 힘껏 당기고 있는 장면이 화면에 두드러지게 배치되어 있다.

그림 읽기

최영박창돈 「최영장군의 홍산전투」 1976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박창돈 A은 B가 그렸다 dcterms:creator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홍산전투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ekc:depicts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전쟁기념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edm:currentLocation
홍산전투 고려말 왜구의침입 A는 B와 관련이 있다 edm:isRelatedTo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최영 A는 B을 소재로 삼았다 ekc:depicts
최영 홍산전투 A은 B에 참가하였다 edm:isRelatedTo
최공철 홍산전투 A은 B에 참가하였다 edm:isRelatedTo
박수년 홍산전투 A은 B에 참가하였다 edm:isRelatedTo
황산대첩 고려말 왜구의침입 A는 B와 관련이 있다 edm:isRelatedTo
이성계 황산대첩 A는 B에 참가하였다 edm:isRelatedTo
진포대첩 고려말 왜구의침입 A는 B와 관련이 있다 edm:isRelatedTo
나세 진포대첩 A는 B에 참가하였다 edm:isRelatedTo
심덕부 진포대첩 A는 B에 참가하였다 edm:isRelatedTo
최무선 진포대첩 A는 B에 참가하였다 edm:isRelatedTo
화포 진포대첩 A는 B에 사용되었다 ekc:isUsedIn
진포대첩 황산대첩 A는 B와 관련이 있다 edm:isRelatedTo
관음포전투 고려말 왜구의침입 A는 B와 관련이 있다 edm:isRelatedTo
정지 관음포전투 A는 B에 참가하였다 edm:isRelatedTo
최무선 관음포전투 A는 B에 참가하였다 edm:isRelatedTo
화포 관음포전투 A는 B에 사용되었다 ekc:isUsedIn
최영 이성계 A는 B와 대립하였다 edm:isRelatedTo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376년 07월 최영홍산전투에 참가하였다
1976년 박창돈이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를 제작하였다
1979년 관세청이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를 대여하였다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관세청이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를 대여하였다
1998년-현재 전쟁기념관은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를 소장하고 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37224 126.977081 전쟁기념관은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를 소장하고 있다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高麗史』 列傳 卷第二十六 諸臣 최영online, 국사편찬위원회.
  2. "홍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민족기록화1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4.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대한민국국회위원동우회,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한국도서출판공사, 1981년.
  2. 웹자원
    • "홍산대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