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헌종무신진찬의궤

Encyves Wiki
SEOYEO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9월 21일 (목) 18:42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진찬의궤
(進饌儀軌)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의궤(http://kyujanggak.snu.ac.kr/center/main/main.jsp)
대표명칭 진찬의궤
한자표기 進饌儀軌
주제 가례(嘉禮)
작성주체 진찬소(進饌所)
의례담당자 서희순(徐憙淳)
작성지역 한성부
작성시기 1848년(헌종 14)
소장처(원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규장각)
판본 필사본
표기문자 한자, 이두
수량 총 4책 236장 (제1책 41장, 제2책 63장, 제3책 70장, 제4책 62장)
크기 23.8×16.7
도설 58면(제1책)
반차도 7면(제1책)
총 길이: 약 ㎝



정의

1848년(헌종 14) 대왕대비 순원왕후(純元王后) 김씨(金氏, 1789~1857)의 육순(六旬)을 경축하는 의미로 창덕궁에서 열린 진찬 행사를 기록한 의궤이다.

내용

1848년 3월 17일 묘시(卯時, 오전 6시경)에 창경궁 통명전에서 대왕대비의 육순과 신정왕후(神貞王后)의 망오(望五, 41세)를 함께 경축하는 내진찬(內進饌)을 올렸다. 음악과 정재가 공연되었는데, 왕비후궁경빈대왕대비에게 3작을 올렸고, 왕비경빈ㆍ내외명부ㆍ종친의빈ㆍ척신이 각각 치사를 올렸다. 이날 저녁 2경에는 야진찬(夜進饌)을 올렸는데, 음악과 정재가 올려졌다. 이때 왕대비 조씨는 진찬에 참여하지 않았는데 부친 조만영(趙萬永)의 3년상이 끝나지 않아서였다. 이틀 뒤인 3월 19일 묘시(오전 6시경)에는 창경궁 통명전에서 이 주최하는 조촐한 회작례(會酌禮)를 행하고 저녁에도 야연을 행했으나 이 자리에 대왕대비는 참석하지 않아 진찬의 뒤풀이에 해당한다. 진찬을 마치고 2일 뒤인 3월 21일에는 상호도감도제조 서희순(徐憙淳)을 비롯해, 진찬소(進饌所) 당상과 낭청 이하에게 상을 내림으로써 행사를 끝마쳤다. 이 책은 1849년 진찬소에서 총 3권 4책의 활자본으로 간행되었다. 판심에 ‘進饌儀軌+戊申+목차’로 구성된 판심제가 기록되어 있어, 활자본 의궤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악기 편성을 그림으로 설명한 반차도를 비롯하여 각종 정재 등을 흑백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무신진찬도병에 색상이 표현되어 있다.[1]

목록

제1책: 택일(擇日), 좌목(座目), 도식(圖式)
제2책: 전교(傳敎), 연설(筵說), 악장(樂章), 치사(致詞), 전문(箋文), 의주(儀註), 사목(事目), 계사(啓辭), 계목(啓目), 이문(移文), 내관(來關)
제3책: 품목(稟目), 감결(甘結), 찬품(饌品), 기용(器用), 수리(修理), 배설(排設)
제4책: 의장(儀仗), 의위(儀衛), 내외빈(內外賓), 문안제신(問安諸臣), 공령(工伶), 악기풍물(樂器風物), 상전(賞典), 재용(財用)

해제

나종현, 진찬의궤", 의궤 검색, 『의궤 종합정보』online,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판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奎 14373), (奎 14516), (奎 14943), (奎 14371), (奎 25027), (가람古 642.4-J562m),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K2-2874)
일본 궁내청: (306-48)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헌종무신진찬의궤 헌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헌종무신진찬의궤 순원왕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헌종무신진찬의궤 신정왕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헌종무신진찬의궤 무신진찬도병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헌종무신진찬의궤 연향례 A는 B를 기록하였다 A ekc:documents B
헌종무신진찬의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헌종무신진찬의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848년 3월 17일 순원왕후의 회갑연이 치러졌다
1849년 『헌종무신진찬의궤』가 편찬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80623 126.994616 창경궁 통명전에서 진찬이 치러졌다

시각자료

주석

  1.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576~578쪽.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안태욱, 『궁중연향도의 탄생-조선후기 연향 기록화와 양식에 대한 미술사적 연구』, 민속원, 2014.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