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황제의 대례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계정보)
(인용 및 참조)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3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장정보
 
{{복장정보
|이미지= 순종 사진.jpg
+
|사진= 궁중기록화 복장 황제의 대례복 김아람.png
|복식명칭= 면복(12장복)
+
|사진출처=
|복식구분= 예복
+
|대표명칭= 황제의 대례복
 +
|한자표기= 皇帝의 大禮服
 +
|이칭별칭= 면복(冕服), 12장복(十二章服)
 +
|분류= 예복
 +
|착용신분= [[황제]]
 
|착용성별= 남성
 
|착용성별= 남성
|착용신분= [[황제]]
 
|필드수= 5
 
 
}}
 
}}
  
 +
=='''정의'''==
 +
대한제국 [[황제]]가 [[제례]]나 [[가례]], 즉위식 등의 중요한 의례를 행할 때 [[면관|면관(冕冠)]]과 함께 착용하는 복식 일습이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8쪽.</ref>
  
==정의==
+
=='''내용'''==
국가의 [[제례]]를 올리거나 [[혼례]]를 올릴 또는 즉위할 때 착용하는 예복이다. 면복은 [[면관(冕冠)]]과 곤복(袞服) [[면복 상의|면복 상의(冕服 上衣)]]합쳐 말하는 것으로 입는 사람의 지위에 따라 [[면관(冕冠)]]에 달린 류(旒)와 곤복에 새겨진 장문의 개수가 다르다. [[황제]]의 면복은 12류면(旒冕), 12장복(章服)이다. <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8쪽.</ref>
+
[[황제]]의 권한을 상징하는 법복(法服)으로, 조선시대의 면복은 1402년(태종 2, 명 영락 원년)에 건문제(建文帝)로부터 사여받은 [[왕의 대례복|구장복]]을 기본 규정으로 삼았다. 국가의 [[길례]], [[가례]], [[흉례]] 등 다양한 성격의 의례에 착용하는 복식이다. 즉위 시에는 물론 [[종묘]]와 [[사직단|사직]]에 제사 지낼 , 설날이나 동지 등의 하례식이나 절일(節日), 망궐례(望闕禮) 등에 착용했다. [[흉례]]에서는 [[대렴]]에 입혀졌다.<ref>김문식·김지영·박례경·송지원·심승구·이은주, 『왕실의 천지제사』, 돌베개, 2011, 101쪽.</ref> 면복은 [[면관|면관(冕冠)]]과 곤복(袞服)으로 불리는 [[면복 상의|면복 상의(冕服 上衣)]]와 [[면복 하상|면복 하상(冕服 下裳)]]을 합쳐 부른다. 착용하는 사람의 지위에 따라 [[면관|면관(冕冠)]]에 늘어뜨린 줄인 류(旒)와 곤복에 새겨진 장문(章紋)의 개수가 다르다. [[황제의 대례복]]12류면(十二旒冕)12장복(十二章服)이다. 목 부분에 덧다는 [[방심곡령(왕실남성)|방심곡령]]은 제사 때만 착용한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8쪽.</ref>
  
==내용==
+
===복식 구성===
===복식구성===
+
[[면관|면관(冕冠)]], [[면복 상의|의(衣)]], [[면복 하상|상(裳)]], [[중단(왕실남성)|중단(中單)]], [[대대(왕실남성) | 대대(大帶)]], [[옥대(왕실남성)|옥대(玉帶)]], [[폐슬(왕실남성)|폐슬(蔽膝)]], [[패옥(왕실남성) | 패옥(佩玉)]], [[후수(왕실남성) | 후수(後綬)]], [[적석|적석(赤舃)]], [[적말|적말(赤襪)]], [[규(왕실남성)|규(圭)]], [[방심곡령(왕실남성)|방심곡령(方心曲領)]].
[[면관(冕冠)]], [[면복 상의|의(衣)]], [[면복 하상|상(裳)]], [[중단(왕실남성)|중단(中單)]], [[대대(왕실남성) | 대대(大帶)]], [[옥대(왕실남성)|옥대(玉帶)]], [[폐슬(왕실남성)|폐슬(蔽膝)]], [[패옥(왕실남성) | 패옥(佩玉)]], [[후수(왕실남성) | 후수(後綬)]], [[적석|적석(赤舃)]], [[적말|적말(赤襪)]], [[규(왕실남성)|규(圭)]], [[방심곡령(왕실남성)|방심곡령(方心曲領)]]
+
 
 +
=='''지식 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B031/B03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항목A!!항목B!!관계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황제]] || '''{{PAGENAME}}''' ||A는 B를 착용한다.
+
| [[황제]] || 황제의 대례복 ||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
 
|-
| [[대한예전]]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황제의 대례복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A ekc:mentions B
 
|-
 
|-
| [[면관]]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황제의 대례복 || [[면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면복 상의|의]]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황제의 대례복 || [[면복 상의]]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면복 하상|상]]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황제의 대례복 || [[면복 하상]]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중단(왕실남성)|중단]]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황제의 대례복 || [[중단(왕실남성)]]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폐슬(왕실남성)|폐슬]]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황제의 대례복 || [[폐슬(왕실남성)]]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후수(왕실남성)|후수]]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황제의 대례복 || [[후수(왕실남성)]]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패옥(왕실남성)|패옥]]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황제의 대례복 || [[패옥(왕실남성)]]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대대(왕실남성)|대대]]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황제의 대례복 || [[대대(왕실남성)]]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적말]]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황제의 대례복 || [[적말]]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적석]]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황제의 대례복 || [[적석]]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규(왕실남성)|규]]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황제의 대례복 || [[규(왕실남성)]]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방심곡령]]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황제의 대례복 || [[방심곡령]]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황제의 대례복 || [[상의원]]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황제의 대례복 || [[면복각]] || A는 B에 보관되었다 || A edm:formerLocation B
 +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
 
|-
| '''{{PAGENAME}}''' || [[상의원]] || A는 B에서 제작한다.
+
| 1897년 10월 || [[고종]]이 [[황제의 대례복]]을 착용했다
 +
|}
 +
 
 +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37.577850 || 126.989909 || [[창덕궁 돈화문]] 근처 [[면복각]]에서 [[황제의 대례복]]을 보관했다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사진===
+
===갤러리===
<gallery>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50px>
파일:순종 사진.jpg|면복 차림의 순종. 『왕실문화도감』, 20쪽.
+
파일:순종 사진.jpg|황제의 대례복 차림의 순종.<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0쪽.</ref>
 
</gallery>
 
</gallery>
  
==주석==
+
===영상===
 +
 
 +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참고문헌==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 고광림, 『한국의 관복』, 화성사, 1995.
 +
* 국립고궁박물관 엮음,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金明淑, 「朝鮮時代 冕服의 考察-國葬都監儀軌 服玩圖說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
* 金明淑, 「朝鮮時代 王世子 冕服」, 『한국복식학회지』 18권, 한국복식학회, 1992.
 +
* 金明淑, 「朝鮮後期 冕服의 變遷-國葬都監儀軌 服玩圖設을 통한 考察-」, 『한국복식학회지』 7권,한국복식학회, 1983.
 +
* 金明淑, 「한국과 중국의 袞冕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
* 김문식·김지영·박례경·송지원·심승구·이은주, 『왕실의 천지제사』, 돌베개, 2011.
 +
* 유희경, 「冕服에 關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72
 +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4.
 +
* 이은진, 조효진, 「조선말기 왕실복식 소재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11권 3호, 한복문화학회, 2008.
 +
* 이혜경, 「면복의 십이장문에 관한 연구-상징적 의미를 중심으로」, 『한복문화』 4권 4호, 한복문화학회, 2001
 +
* 전혜숙, 「면복의 십이장문에 관한 연구-상징의의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 최규순, 『中國歷代帝王冕服硏究』, 동화대학출판부, 2007.
 +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
 
 +
===일러스트 참고문헌===
 +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
* 난사 전통복식문화재 연구소,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4.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복장]]
 
[[분류:복장]]

2020년 7월 18일 (토) 11:28 기준 최신판


황제의 대례복
(皇帝의 大禮服)
궁중기록화 복장 황제의 대례복 김아람.png
대표명칭 황제의 대례복
한자표기 皇帝의 大禮服
이칭별칭 면복(冕服), 12장복(十二章服)
분류 예복
착용신분 황제
착용성별 남성



정의

대한제국 황제제례가례, 즉위식 등의 중요한 의례를 행할 때 면관(冕冠)과 함께 착용하는 복식 일습이다.[1]

내용

황제의 권한을 상징하는 법복(法服)으로, 조선시대의 면복은 1402년(태종 2, 명 영락 원년)에 건문제(建文帝)로부터 사여받은 구장복을 기본 규정으로 삼았다. 국가의 길례, 가례, 흉례 등 다양한 성격의 의례에 착용하는 복식이다. 즉위 시에는 물론 종묘사직에 제사 지낼 때, 설날이나 동지 등의 하례식이나 절일(節日), 망궐례(望闕禮) 등에 착용했다. 흉례에서는 대렴에 입혀졌다.[2] 면복은 면관(冕冠)과 곤복(袞服)으로 불리는 면복 상의(冕服 上衣)면복 하상(冕服 下裳)을 합쳐 부른다. 착용하는 사람의 지위에 따라 면관(冕冠)에 늘어뜨린 줄인 류(旒)와 곤복에 새겨진 장문(章紋)의 개수가 다르다. 황제의 대례복은 12류면(十二旒冕)과 12장복(十二章服)이다. 목 부분에 덧다는 방심곡령은 제사 때만 착용한다.[3]

복식 구성

면관(冕冠), 의(衣), 상(裳), 중단(中單), 대대(大帶), 옥대(玉帶), 폐슬(蔽膝), 패옥(佩玉), 후수(後綬), 적석(赤舃), 적말(赤襪), 규(圭), 방심곡령(方心曲領).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황제 황제의 대례복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황제의 대례복 의궤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A ekc:mentions B
황제의 대례복 면관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제의 대례복 면복 상의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제의 대례복 면복 하상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제의 대례복 중단(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제의 대례복 폐슬(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제의 대례복 후수(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제의 대례복 패옥(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제의 대례복 대대(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제의 대례복 적말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제의 대례복 적석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제의 대례복 규(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제의 대례복 방심곡령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제의 대례복 상의원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황제의 대례복 면복각 A는 B에 보관되었다 A edm:formerLocation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897년 10월 고종황제의 대례복을 착용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77850 126.989909 창덕궁 돈화문 근처 면복각에서 황제의 대례복을 보관했다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8쪽.
  2. 김문식·김지영·박례경·송지원·심승구·이은주, 『왕실의 천지제사』, 돌베개, 2011, 101쪽.
  3.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8쪽.
  4.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0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고광림, 『한국의 관복』, 화성사, 1995.
  • 국립고궁박물관 엮음,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金明淑, 「朝鮮時代 冕服의 考察-國葬都監儀軌 服玩圖說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 金明淑, 「朝鮮時代 王世子 冕服」, 『한국복식학회지』 18권, 한국복식학회, 1992.
  • 金明淑, 「朝鮮後期 冕服의 變遷-國葬都監儀軌 服玩圖設을 통한 考察-」, 『한국복식학회지』 7권,한국복식학회, 1983.
  • 金明淑, 「한국과 중국의 袞冕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 김문식·김지영·박례경·송지원·심승구·이은주, 『왕실의 천지제사』, 돌베개, 2011.
  • 유희경, 「冕服에 關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72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4.
  • 이은진, 조효진, 「조선말기 왕실복식 소재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11권 3호, 한복문화학회, 2008.
  • 이혜경, 「면복의 십이장문에 관한 연구-상징적 의미를 중심으로」, 『한복문화』 4권 4호, 한복문화학회, 2001
  • 전혜숙, 「면복의 십이장문에 관한 연구-상징의의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최규순, 『中國歷代帝王冕服硏究』, 동화대학출판부, 2007.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일러스트 참고문헌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 난사 전통복식문화재 연구소, 『어진에 옷을 입히다』, 민속원, 2016.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