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안재후-여진정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 민족기록화)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9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민족/기획기사보기|
 +
|기획기사=[[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고려의 항쟁]]
 +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틀:민족기록화 Top icon}}
 
{{민족기록화_샘플
 
{{민족기록화_샘플
11번째 줄: 14번째 줄:
 
|필드수=8
 
|필드수=8
 
}}
 
}}
=='''개요'''==
+
=='''정의'''==
 +
1107년(고려 [[예종]]2) [[윤관]] 장군의 [[여진정벌]]을 담은<ref>"기록화 : 여진정벌", <html><online style="color:purple">『e뮤지엄』<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34173&cid=51293&categoryId=51293 기록화 : 여진정벌]", e뮤지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안재후]]의 민족기록화이다.<br/>
  
 
=='''설명'''==
 
=='''설명'''==
 
===작품 소재===
 
===작품 소재===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안재후-여진정벌(윤관)-1975s.jpg|right|450px]]
 +
해당 작품은 [[윤관|윤관(尹瓘, ?~1111)]]의 지휘하에 출병한 [[고려]] 17만 대군이 [[함흥평야]]의 [[여진족]] 소굴을 급습하여, 적 5천을 죽이고 5천여 명을 포로로 잡았으며, 350개 부락을 수복하고 [[동북 9성]]을 설치한 장면을 재현하였다.<br/>
 +
작품 왼편에 그려진 백마를 탄 장군이 '''④ [[윤관]]'''으로, [[여진족]]의 부락을 북쪽으로 몰아내고, [[윤관]]의 주위에는 말을 타고 있는 '''②⑤ [[신기군|신기군(神騎軍)]]'''이 중심의 [[별무반|별무반(別武班)]]이 그의 지휘를 따르고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br/>
 +
작품 오른편에는 포로로 잡힌 [[여진족]]이 '''③⑥ [[동북 9성]]의 성곽'''을 쌓는 장면이 담겨 있다.<br/>
 +
 
===작품 배경===
 
===작품 배경===
 +
작품의 배경은 [[함흥평야]]로, [[함흥평야]]에 위치한 [[여진족]] 소굴이 묘사되어 있다. [[함흥평야]]는 북쪽으로는 [[함경산맥]], 서쪽으로는 [[낭림산맥]]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이는 작품의 뒤쪽에 그려진 '''①②③ 산맥'''의 모습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작품 구도===
 
===작품 구도===
1107년([[예종]]2)에 [[윤관|윤관(尹瓘)]] 장군의 [[여진정벌]]을 담은 기록화<ref>"기록화 : 여진정벌", e뮤지엄, 국립중앙박물관.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34173&cid=51293&categoryId=51293 e뮤지엄 온라인 서비스](2017년 2월 4일 확인)</ref>로, [[윤관]]의 지휘하에 출병한 [[고려]] 17만 대군은 [[함흥평야]]의 [[여진족]] 소굴을 급습하여, 적 5천을 죽이고 5천여 명을 포로로 잡았으며, 350개 부락을 수복하고 [[동북 9성]]을 설치하였다.<br/>
+
전쟁을 소재로 한 대부분의 민족기록화들은 아군과 적군을 선 대 악, 승리 대 패배라는 고정된 틀에 따라 관계를 설정하고 이야기를 풀어간다. 또한 전쟁에서의 죽음에 대해서도 굴욕적이고 무의미한 적군의 죽음과 숭고하고 영웅적인 아군의 죽음이라는 대비로만 다루고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은 비참하게 살해되어 여기저기 널브러진 [[여진족]]의 시체와 살아남은 자들의 고통과 체념으로 화면의 전경을 채웠다. 전투로 인해 불타오른 민가와 피폐해진 황량한 들판, 핏빛의 저녁노을과 전경을 대비시킴으로써 전쟁의 승리보다는 공포와 비참함, 비인간적인 상황을 표현하고 있다.<ref>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93쪽.</ref>
작품 왼편에서 백마를 타고 있는 [[윤관]] 장군이 [[여진족]]의 부락을 북쪽으로 몰아내고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고, 말을 타고 있는 [[신기군|신기군(神騎軍)]]이 중심이 된 [[별무반]]이 그의 지휘를 따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작품 오른쪽에는 포로로 잡힌 [[여진족]]이 [[동북 9성]]의 성곽을 쌓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br/>
 
전쟁을 소재로 한 대부분의 민족기록화들은 아군과 적군을 선 대 악, 승리 대 패배라는 고정된 틀에 따라 관계를 설정하고 이야기를 풀어가며, 죽음에 대해서도 굴욕적이고 무의미한 적군 병사들의 죽음과 숭고하고 영웅적인 아군 병사와 지도자의 죽음의 대비로만 다루고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은 화면의 전경을 비참하게 살해되어 여기저기 널브러진 [[여진족]]의 시체와 살아남은 자들의 고통과 체념으로 채우고 이를 전투로 인해 불타오른 민가와 피폐해진 황량한 들판, 핏빛의 저녁노을과 대비시킴으로써 전쟁의 승리보다는 공포와 비참함, 비인간적인 상황을 표현하고 있다. 특히 관람자의 눈을 정면으로 응시하는 모녀의 절망적인 표정과 죽은 아이를 껴안고 젖을 물리려는 듯 한 쪽 가슴을 드러낸 여인의 처절한 몸짓은 [[들라크루아]]의 [[키오스섬의 학살|<키오스섬의 학살>]]을 떠올리게 한다.<ref>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03년, 93쪽.</ref>
 
<gallery>
 
파일:들라크루아-키오스섬의 학살.JPG|들라크루아作 '키오스섬의 학살'
 
</gallery>
 
  
=='''시각적 안내'''==
+
===그림 읽기===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imagemap>
 
<imagemap>
파일:김태-오라산성함락(이성계)-1975s.jpg |김태 「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1975|800px|center
+
파일:안재후-여진정벌(윤관)-1975s.jpg|안재후 「여진정벌」 1975|800px|center
rect 226 96 270 225 [[이성계]]
+
poly 120 198 103 215 113 235 103 257 135 298 148 303 146 323 168 330 178 305 155 275 143 265 138 260 153 262 161 262 168 242 178 232 155 235 148 255 133 225 143 228 136 205 120 195 123 198 [[윤관]]
rect 517 142 564 292 [[이오로첩목아]]
+
poly 788 94 603 125 597 137 588 139 591 155 556 179 546 221 570 209 572 213 594 183 612 185 618 193 630 193 640 175 666 167 678 189 696 163 714 143 738 135 750 155 790 149 790 89 790 89 [[동북 9성]]
poly 535 95 604 89 604 75 626 68 654 74 657 84 715 68 715 58 751 44 755 13 697 1 792 6 791 116 761 106 733 79 720 121 694 121 689 108 681 130 622 138 580 133 550 124 543 118 541 115 [[오녀산성]]  
+
rect 189 276 777 479 [[여진족]]
 
</imagemap>
 
</imagemap>
  
=='''관련 민족기록화'''==
+
=='''지식 관계망'''==
<gallery mode=packed caption="고려시대 전쟁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여진정벌"(안재후) 지식관계망'''
파일:이용환-귀주대첩(강감찬)-1975s.jpg|1019년 [[이용환-귀주대첩]]
+
<html>
파일:김서봉-삼별초대몽항쟁-1975s.jpg|1270년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파일:문학진-쌍성수복(유인우)-1975s.jpg|1356년 [[문학진-쌍성수복]]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파일:김태-오라산성함락(이성계)-1975s.jpg|1370년 [[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17/C017.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파일:박창돈-홍산전투(최영)-1976s.jpg|1376년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
</html>
</gallery>
 
  
=='''관련항목'''==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안재후]]   || {{PAGENAME}} || A는 B를 그렸다 || 1975년
+
|   [[안재후-여진정벌]] || [[안재후]]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PAGENAME}}  ||[[윤관]]||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 [[안재후-여진정벌]]  || [[윤관]]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PAGENAME}} ||[[별무반]]||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
|{{PAGENAME}} ||[[여진정벌]]||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 [[안재후-여진정벌]] || [[여진정벌]]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PAGENAME}}  ||[[함흥평야]]||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
| [[안재후-여진정벌]]  ||[[함흥평야]]||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
| [[전쟁기념관]]  ||{{PAGENAME}} ||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 1998년-현재
+
| [[안재후-여진정벌]]  || [[전쟁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
 
|-
|[[이성계]] || [[동녕부정벌]] || A는 B를 지휘하였다  ||   @
+
| [[안재후-여진정벌]] || [[국회사무처]] || A는 B에 대여되었다 ||A ekc:hasExhibitionAt B
 
|-
 
|-
|[[이성계]] || [[오녀산성]] || A는 B를 공격하였다 ||  1370년 1월  @
+
| [[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고려의 항쟁]]   || [[안재후-여진정벌]] ||A는 B를 포함하는 기획기사이다||A dcterms:hasPart B
 +
|-
 +
| [[윤관]] || [[여진정벌]]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동북 9성]] || [[윤관]] ||  A는 B가 설치하였다  ||  A ekc:founder B 
 
|-   
 
|-   
|[[이성계]] || [[이오로첩목아]] || A는 B와 대립하였다 || 1370년 1월  @
+
| [[별무반]] || [[윤관]] || A는 B가 설치하였다 || A ekc:founder B 
 
|-   
 
|-   
|[[이오로첩목아]] || [[오녀산성]]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윤관]] || [[윤언이]] || A는 B의 아버지이다 || ekc:hasSon
|-  
+
|-
|[[국회사무처]] || {{PAGENAME}} || A가 B를 대여하였다 ||1991년 1월 8일-1992년 1월 7일 
+
| [[윤관 초상]]|| [[윤관]]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시간정보'''==
+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1975년 || [[안재후]]가 {{PAGENAME}}를 제작하였다.
+
|1975년 || [[안재후]]가 [[안재후-여진정벌]]을 그렸다
 
|-
 
|-
|1991년 1월 8일-1992년 1월 7일  || [[국회사무처]]가 {{PAGENAME}}를 대여하였다
+
|1991년 1월 8일-1992년 1월 7일  || [[국회사무처]]가 [[안재후-여진정벌]]을 대여하였다
 
|-
 
|-
|1998년-현재 || [[전쟁기념관]]이 {{PAGENAME}}를 대여하였다 
+
|1998년-현재 || [[전쟁기념관]]이 [[안재후-여진정벌]]을 소장하고 있다
 
|-
 
|-
|1370년 1월 || [[이성계]][[오녀산성]]을 공격하였다.  @
+
|1104년 || [[윤관]]이 건의한 [[별무반]]이 설치되었다
 
|-
 
|-
|1370년 1월 || [[이성계]][[이오로첩목아|이오로첩목아(李吾魯帖木兒)]]가 대립하였다.  @
+
|1107년 || [[윤관]][[여진정벌]]을 지휘하였다
 +
|-
 +
|1107년-1108년 || [[윤관]]이 [[동북 9성]]을 설치하였다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37.532103|| 126.914133||{{PAGENAME}}이 [[국회사무처]]에 대여되었다.    
+
|37.532103|| 126.914133||[[국회사무처]]가  [[안재후-여진정벌]]을 대여하였다    
 
|-
 
|-
|37.532103|| 126.914133||{{PAGENAME}}이 [[전쟁기념관]]에 소장되어 있다.
+
|37.532103|| 126.914133|| [[전쟁기념관]] [[안재후-여진정벌]]을 소장하고 있다
 
|-
 
|-
 
|}
 
|}
  
=='''그래프'''==
+
===관련 민족기록화===
 +
<gallery mode=packed caption="고려시대 전쟁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이용환-귀주대첩(강감찬)-1975s.jpg|1019년 [[이용환-귀주대첩]]
 +
파일:안재후-여진정벌(윤관)-1975s.jpg|1107년 [[안재후-여진정벌]]
 +
파일:김서봉-삼별초대몽항쟁-1975s.jpg|1270년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
파일:문학진-쌍성수복(유인우)-1975s.jpg|1356년 [[문학진-쌍성수복]]
 +
파일:김태-오라산성함락(이성계)-1975s.jpg|1370년 [[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
파일:박창돈-홍산전투(최영)-1976s.jpg|1376년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
</gallery>
 +
 
 +
=='''시각자료'''==
 +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535px"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2/S001/S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clickable button | [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2/S001/S001.htm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
 +
 
 +
===갤러리===
  
=='''참고문헌'''==
+
===영상===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84039&cid=40942&categoryId=31778 동녕부정벌],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 온라인 서비스』<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2017년 04월 04일 확인
+
*'''[NATV]한국의 정신- 76회 윤관(게시일: 2016년 3월 31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008 환인오녀산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04일.
+
<html>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J15Pvvmkn3I"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주석'''==
 +
<references/>
  
 
=='''참고문헌'''==
 
=='''참고문헌'''==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34173&cid=51293&categoryId=51293 기록화 : 여진정벌]", <html><online style="color:purple">『e뮤지엄 온라인 서비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2017년 02월 04일 확인
+
===인용 및 참조===
 +
# 논문
 +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 웹 자원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25820 동녕부정벌],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민덕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008 환인오녀산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7년 6월 5일.
  
=='''주석'''==
+
===유용한 정보===
 +
# "기록화 : 여진정벌", <html><online style="color:purple">『e뮤지엄』<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34173&cid=51293&categoryId=51293 기록화 : 여진정벌]", e뮤지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고려]][[분류:전쟁]]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2024년 3월 14일 (목) 13:55 기준 최신판



여진정벌
안재후-여진정벌(윤관)-1975s.jpg
작가 안재후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전쟁
분류 유화
소장처 전쟁기념관


정의

1107년(고려 예종2) 윤관 장군의 여진정벌을 담은[1] 안재후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민족기록화 인덱스맵 안재후-여진정벌(윤관)-1975s.jpg

해당 작품은 윤관(尹瓘, ?~1111)의 지휘하에 출병한 고려 17만 대군이 함흥평야여진족 소굴을 급습하여, 적 5천을 죽이고 5천여 명을 포로로 잡았으며, 350개 부락을 수복하고 동북 9성을 설치한 장면을 재현하였다.
작품 왼편에 그려진 백마를 탄 장군이 윤관으로, 여진족의 부락을 북쪽으로 몰아내고, 윤관의 주위에는 말을 타고 있는 ②⑤ 신기군(神騎軍)이 중심의 별무반(別武班)이 그의 지휘를 따르고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작품 오른편에는 포로로 잡힌 여진족③⑥ 동북 9성의 성곽을 쌓는 장면이 담겨 있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함흥평야로, 함흥평야에 위치한 여진족 소굴이 묘사되어 있다. 함흥평야는 북쪽으로는 함경산맥, 서쪽으로는 낭림산맥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이는 작품의 뒤쪽에 그려진 ①②③ 산맥의 모습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작품 구도

전쟁을 소재로 한 대부분의 민족기록화들은 아군과 적군을 선 대 악, 승리 대 패배라는 고정된 틀에 따라 관계를 설정하고 이야기를 풀어간다. 또한 전쟁에서의 죽음에 대해서도 굴욕적이고 무의미한 적군의 죽음과 숭고하고 영웅적인 아군의 죽음이라는 대비로만 다루고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은 비참하게 살해되어 여기저기 널브러진 여진족의 시체와 살아남은 자들의 고통과 체념으로 화면의 전경을 채웠다. 전투로 인해 불타오른 민가와 피폐해진 황량한 들판, 핏빛의 저녁노을과 전경을 대비시킴으로써 전쟁의 승리보다는 공포와 비참함, 비인간적인 상황을 표현하고 있다.[2]

그림 읽기

윤관동북 9성여진족안재후 「여진정벌」 1975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 "여진정벌"(안재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안재후-여진정벌 안재후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안재후-여진정벌 윤관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안재후-여진정벌 여진정벌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안재후-여진정벌 함흥평야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안재후-여진정벌 전쟁기념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안재후-여진정벌 국회사무처 A는 B에 대여되었다 A ekc:hasExhibitionAt B
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고려의 항쟁 안재후-여진정벌 A는 B를 포함하는 기획기사이다 A dcterms:hasPart B
윤관 여진정벌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동북 9성 윤관 A는 B가 설치하였다 A ekc:founder B
별무반 윤관 A는 B가 설치하였다 A ekc:founder B
윤관 윤언이 A는 B의 아버지이다 ekc:hasSon
윤관 초상 윤관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5년 안재후안재후-여진정벌을 그렸다
1991년 1월 8일-1992년 1월 7일 국회사무처안재후-여진정벌을 대여하였다
1998년-현재 전쟁기념관안재후-여진정벌을 소장하고 있다
1104년 윤관이 건의한 별무반이 설치되었다
1107년 윤관여진정벌을 지휘하였다
1107년-1108년 윤관동북 9성을 설치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32103 126.914133 국회사무처안재후-여진정벌을 대여하였다
37.532103 126.914133 전쟁기념관안재후-여진정벌을 소장하고 있다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 [NATV]한국의 정신- 76회 윤관(게시일: 2016년 3월 31일)

주석

  1. "기록화 : 여진정벌", 『e뮤지엄』online,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기록화 : 여진정벌", e뮤지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93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논문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 웹 자원
    • "동녕부정벌, 『doopedia』online, 두산백과.
    • 민덕식, "환인오녀산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7년 6월 5일.

유용한 정보

  1. "기록화 : 여진정벌", 『e뮤지엄』online,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기록화 : 여진정벌", e뮤지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