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림산문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봉림산문
(鳳林山門)
대표명칭 봉림산문
한자표기 鳳林山門
이칭 봉림산파(鳳林山派)
관련개념 구산선문(九山禪門)



정의

경상남도 창원의 봉림산사(鳳林山寺)를 중심으로 일어난 선종구산문(禪宗九山門) 중 하나.

내용

형성과 전개

봉림산문은 진경 심희(眞鏡 審希, 855-923)가 개창하였으나 그 개산조는 원감 현욱(圓鑑 玄昱, 788-869)이다.[1]

현욱은 당나라에 가서 마조(馬祖)의 제자인 장경(章敬)에게 법인(法印)을 받고 837년(희강왕 2)에 귀국했다.[2] 현욱지리산 실상사(實相寺)에서 수행하는 동안 신라의 민애왕, 신무왕, 문성왕, 헌안왕이 모두 현욱에게 귀의하고 제자의 예를 다하여 공경했다.[3] 이후 현욱은 혜목산(慧目山)의 고달사(高達寺)로 옮겨 많은 제자를 배출했다.[4] 현욱의 뒤를 이은 심희는 효공왕 때 봉림산에 절을 세우고 제자들을 일깨우며 종풍을 크게 선양하였으므로 봉림산파를 형성하게 되었다.[5]

후원 세력

심희(審希)는 김해 지방의 가야계 김씨 세력인 김인광(金仁匡), 김율희(金律熙) 등과 연결하여 창원에 봉림산문을 개창했다. 이 과정에서 신라 효공왕봉림사에 머물고 있는 심희에게 귀의했다. 심희의 권위를 빌려 김해 지역의 호족 세력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려 한 것이다.[6] 또한 심희는 918년(경명왕 2) 경명왕의 청으로 왕궁에 가서, 나라를 다스리고 백성을 편안히 하는 방법을 설파하기도 했다.[7] 심희는 신라 왕실과 김해 지역의 호족 세력을 연결하는 중요한 매개 역할을 했으며,[8] 따라서 신라 왕실에서도 크게 후원했을 가능성이 높다.[9]

봉림산문의 승려들

심희의 동문으로는 홍각선사(弘覺禪師) 이관(利觀)이, 제자로는 찬유(璨幽), 충담(忠湛), 홍준(弘俊)이 있다.[10]

지식관계망

  • 봉림산문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구산선문 봉림산문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봉림산문 현욱 A는 B가 개창하였다 A ekc:founder B
봉림산문 심희 A는 B가 중창하였다 A ekc:renovator B
봉림산문 창원 봉림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현욱 여주 고달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심희 창원 봉림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도일(중국) 회휘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회휘 현욱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현욱 심희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현욱 홍각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심희 찬유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심희 충담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심희 홍준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심희 김율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심희 김인광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여주 고달사지 여주 고달사 A는 B의 터이다 A edm:isRelatedTo B
창원 봉림사지 창원 봉림사 A는 B의 터이다 A edm:isRelatedTo B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심희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 심희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A ekc:isStupaOf B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홍각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찬유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 찬유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A ekc:isStupaOf B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충담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충담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A ekc:isStupaOf B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홍준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심희 신라 경명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주석

  1.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89쪽.
  2. 김영태, "봉림산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이일야, "봉림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215쪽.
  4.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89쪽.
  5. 김영태, "봉림산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89쪽.
  7. 배상현, "심희", 『디지털창원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8.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89쪽.
  9. 배상현, "봉림산문", 『디지털창원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0. "봉림산문",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 구산우, 「신라말 고려초 김해 창원지역의 호족과 봉림산문」, 『한국중세사연구』 No.25, 한국중세사학회, 2008, 157-193쪽.
  • 김두진, "선종구산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영태, "봉림산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83-99쪽.
  • 배상현, "봉림산문", 『디지털창원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배상현, 「진경 심희의 활동과 봉림산문」, 『사학연구』 No.74, 한국사학회, 2004, 99-129쪽.
  • 이일야, "봉림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207-237쪽.
  • 조범환, 「신라말 봉림산문과 신라왕실」, 『진단학보』 No.78, 진단학회, 1994, 43-58쪽.
  • "봉림산문",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