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原州 興法寺址眞 空大師塔)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대표명칭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영문명칭 Stupa of Buddhist Monk Jingong from Heungbeopsa Temple Site, Wonju
한자 原州 興法寺址眞 空大師塔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제365호
문화재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소유자 국유
관리자 국립중앙박물관
크기 높이 2.6m
건립시대 조선
관련승려 충담
관련탑비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정의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흥법사지(興法寺址)에 있었던 진공대사 충담(眞空大師 忠湛)승탑.

내용

높이는 2.91m. 탑은 전체가 8각으로 이루어진 기본적인 형태로, 기단(基壇)의 아래와 윗받침돌에는 연꽃을 새겼다.[1] 가운데받침돌은 8각 모서리의 모를 죽여 단면이 거의 둥근데, 겉면 전체에 웅장한 구름 무늬와 함께 용의 몸통이 꿈틀거리듯이 뒤엉켜 웅대하면서도 건장하게 돋을새김되었다.[2]

탑신의 몸돌은 8각의 모서리마다 꽃무늬가 장식되어 독특하고, 앞뒤 양면에는 자물쇠가 달린 문짝모양이 각각 새겨져 있다. 지붕돌 역시 단면 8각인 하나의 돌로 조성되었다. 밑면에는 3단의 받침과 함께 2중의 서까래를 새겨 목조 건물의 겹처마와 같은 의장(意匠)을 나타내고 있다. 경사가 완만한 낙수면에는 각 모서리마다 내림마루인 우동(隅棟)이 제법 굵게 표현되었고, 전각(轉角)의 반전(反轉)이 심한 각 모서리에는 귀꽃이 높이 솟아 있다.[3]

특히 낙수면에는 기와를 입힌 모양의 기왓골이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고 처마 끝에 이르러서는 암막새, 수막새까지도 자세히 조각됨으로써 밑면의 서까래와 함께 당시 목조건축의 일면을 잘 보여주고 있다. 꼭대기에는 8각의 작은 지붕모양의 머리장식인 보개(寶蓋)가 있다.[4]

1931년 경복궁으로 옮겨졌고,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 경내에 있다.[5]

지식관계망

  • 진공대사 충담의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충담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A ekc:isStupaOf B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영상

주석

  1.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2. 김창균,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김창균,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5. 김창균,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