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창군 이직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밀창군 이직(密昌君 李樴)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146쪽.
대표명칭 밀창군 이직
한자표기 密昌君 李樴
생몰년 1677년-1746년
본관 전주(全州)
시호 정헌(靖獻)
양망재(兩忘齋)
군실(君實)
시대 조선
대표직함 밀창군(密昌君)
배우자 오시적(吳始績)의 딸 동복 오씨
화선군(花善君) 이량(李湸)
송호(宋湖)의 딸 여산 송씨
자녀 판돈녕부사 이익정(李益炡), 이익영(李益煐), 이익경(李益炅)
능묘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
성격 인물
유형 종친



정의

선조의 일곱째 아들인 인성군(仁城君)의 증손자이다.

내용

관직

'밀창군’의 작위를 받아 외교와 왕실의 일에 관여하였다. 경종(景宗) 때 등극진하정사(登極陳賀正使)로 청(淸)에 다녀왔으며,[1] 사행길에서 서양 시계를 들여왔다.[2] 영조(英祖)가 즉위한 뒤 정 1품이 되었으며,[3] 효장세자의 가례[4]사도세자의 가례에 관여하였다.[5] 영조 때에는 종친의 대표격으로 활동하였으며,[6] 대사례(大射禮)에도 참여하는 등 영조의 신임이 깊었다.[7] 1746년(영조 22)에 사망하였다.[8]

사후

1999년 겨울, 마포구 상암동에서 2002년에 있을 월드컵 개최를 위해 경기장과 아파트 신축 공사를 하던 부지에서 밀창군 이직과 그의 아들 정간공 이익정(李益炡)의 묘가 발굴되었다. 당시 출토된 복식일습을 보존처리하여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에 공개 전시하였다. 이때 가문에서 소장하고 공개하지 않던 밀창군 이직의 영정 2점과 부인인 동복 오씨의 영정도 공개되었다.[9]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공 밀창군 이직(密昌君 李樴) A는 B의 선조이다 A ekc:hasDescendant B
이건 밀창군 이직(密昌君 李樴) A는 B의 선조이다 A ekc:hasDescendant B
이량 밀창군 이직(密昌君 李樴)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송호 밀창군 이직(密昌君 李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여산 송씨 밀창군 이직(密昌君 李樴)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오시적 밀창군 이직(密昌君 李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동복 오씨 밀창군 이직(密昌君 李樴) A는 B의 아내이다
밀창군 이직(密昌君 李樴) 이익정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밀창군 이직(密昌君 李樴) 이익영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밀창군 이직(密昌君 李樴) 이익경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밀창군 이직(密昌君 李樴) 종친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밀창군 이직(密昌君 李樴) 대사례 A는 B를 참여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경종실록』 권11, 경종 3년(1723) 1월 14일(갑오), 밀창군 이직ㆍ서명균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2. 『경종실록』 권13, 경종 3년(1723) 10월 9일(을묘), 서양 시계를 관상감에 내려 새로 만들게 하다,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3. 『영조실록』 권1, 영조 즉위년(1724) 9월 2일(임인), 밀창군 이직의 품계를 정1품 흥록대부로 승진시키다,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4. 『영조실록』 권12, 영조 3년(1727) 8월 30일(계축), 세자의 가례 때 조태억을 정사로 밀창군 이직 등을 예차로 삼다,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5. 『영조실록』 권59, 영조 20년(1744) 2월 21일(기사), 밀창군 이직이 세자 가례, 빈궁 책봉과 관련하여 『국조어첩』 등의 개정을 아뢰다,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6. 『영조실록』 권52, 영조 16년(1740) 윤 6월 2일(신축), 좌의정 김재로와 밀창군 이직 등이 백관과 종신을 인솔하여 정청하다,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7. 『영조실록』 권57, 영조 19년(1743) 윤4월 7일(경신), 새벽에 작헌례를 거행하고, 대사례를 거행하다,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8. 『영조실록』 권64, 영조 22년(1746) 12월 9일(경오), 종신 밀창군 이직의 졸기,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9. 최연우, 「대사례와 전통복식-밀창군 부자(父子)의 행적을 사례로-. 미발표논문.
  10.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144쪽.
  11.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http://museum.dankook.ac.kr/) 소장.
  12.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http://museum.dankook.ac.kr/) 소장.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경종실록』
  • 『영조실록』
  • 『한국계행보』
  • 박성실, 「서울 상암동 출토 密昌君 李樴 服飾 考察」『韓國服飾』22호,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4.
  • 안춘순, 「마포 밀창군 묘 출토 복식유물의 섬유외 물질의 추출분석」, 『服飾文化硏究』 11, 복식문화학회, 2003.
  • 유화경, 『密昌君 李樴墓 出土 靴의 복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최규순, 「대사례와 전통복식-밀창군 부자(父子)의 행적을 사례로-. 미발표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