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문화유산 콘텐츠 제작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에 의한 3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html> | </html> | ||
− | =나의 문화유산 콘텐츠 제작목적= | + | ==나의 문화유산 콘텐츠 제작목적== |
[[아차산]]은 고대로부터 남북 육상 교통로와 [[한강]]의 물길이 교차하는 전략적 요충지로, 충적평야지대와 [[한강]]에 인접하여 위치하여 주변 지역을 조망하는데 최상의 위치라 할 수 있다. [[아차산]] 남쪽으로는 [[풍납토성]]과 [[몽촌토성]]이 한눈에 들어오며, [[아차산]] 서쪽의 [[중랑천|중랑천변]]과 동쪽의 [[왕숙천|왕숙천변]]을 이용한 육로, 그리고 [[한강]]수로의 요지인 [[광나루]]를 조망할 수 있었다. 이러한 까닭에 [[아차산]]은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군사전략상 핵심요충지였으며, [[한강]]유역을 둘러싼 삼국의 정세를 규명하는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된다. | [[아차산]]은 고대로부터 남북 육상 교통로와 [[한강]]의 물길이 교차하는 전략적 요충지로, 충적평야지대와 [[한강]]에 인접하여 위치하여 주변 지역을 조망하는데 최상의 위치라 할 수 있다. [[아차산]] 남쪽으로는 [[풍납토성]]과 [[몽촌토성]]이 한눈에 들어오며, [[아차산]] 서쪽의 [[중랑천|중랑천변]]과 동쪽의 [[왕숙천|왕숙천변]]을 이용한 육로, 그리고 [[한강]]수로의 요지인 [[광나루]]를 조망할 수 있었다. 이러한 까닭에 [[아차산]]은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군사전략상 핵심요충지였으며, [[한강]]유역을 둘러싼 삼국의 정세를 규명하는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된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따라서 본인은 [[아차산성]]과 [[아차산 일대 보루군]]을 대상으로 산성 및 보루의 내부 시설물, 유물, 기록 등을 통해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는 사실 정보들을 추출하고, 지식 조각들 간의 관계망을 구축하여 군사적 요충지로서의 [[아차산]]의 의미를 파악하고 시각화하고자 했다.''' | '''따라서 본인은 [[아차산성]]과 [[아차산 일대 보루군]]을 대상으로 산성 및 보루의 내부 시설물, 유물, 기록 등을 통해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는 사실 정보들을 추출하고, 지식 조각들 간의 관계망을 구축하여 군사적 요충지로서의 [[아차산]]의 의미를 파악하고 시각화하고자 했다.''' | ||
− | = | + | ==지식 네트워크 성공작== |
− | + | ||
− | =지식 네트워크= | + | |
<html> | <html> |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acha/김지선/김지선외대.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acha/김지선/김지선외대.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33번째 줄: | 31번째 줄: | ||
|} | |} | ||
− | =노드 설정 이유 및 스토리= | + | ==[http://digerati.aks.ac.kr/acha/tour2016-04b/index.htm 아차산성 파빌리온]== |
+ | |||
+ | ==노드 설정 이유 및 스토리== | ||
첫째. 군사적 요충지로서의 [[아차산]]을 파악하고 시각화하기 위해 본인은 [[아차산]]에 위치한 [[아차산성]]을 중심으로 그 내부 시설물과 유물들을 출발 노드로 삼았다. 먼저 출발 노드들간에 어떤 연관관계가 있는지 그 연결고리를 찾아 가시화하였고, 단순한 관계부여에서 나아가 군사적 요충지로서의 [[아차산성]]의 '''의미'''를 밝혀내기 위해 신규 노드들을 추가하였다. | 첫째. 군사적 요충지로서의 [[아차산]]을 파악하고 시각화하기 위해 본인은 [[아차산]]에 위치한 [[아차산성]]을 중심으로 그 내부 시설물과 유물들을 출발 노드로 삼았다. 먼저 출발 노드들간에 어떤 연관관계가 있는지 그 연결고리를 찾아 가시화하였고, 단순한 관계부여에서 나아가 군사적 요충지로서의 [[아차산성]]의 '''의미'''를 밝혀내기 위해 신규 노드들을 추가하였다. | ||
63번째 줄: | 63번째 줄: | ||
이처럼 본인은 아차산 3보루 정보 조각, 아차산 4보루 정보 조각, 홍련봉 1보루 정보 조각, 홍련봉 2보루 정보 조각 등 개별적으로 존재하던 정보들의 의미적 연결 고리를 지어주고, 다양한 지식들을 확장적으로 수용함으로써 '''군사적 요충지로서의 [[아차산]]'''이라는 하나의 지식 정보로 아우르고자 하였다. | 이처럼 본인은 아차산 3보루 정보 조각, 아차산 4보루 정보 조각, 홍련봉 1보루 정보 조각, 홍련봉 2보루 정보 조각 등 개별적으로 존재하던 정보들의 의미적 연결 고리를 지어주고, 다양한 지식들을 확장적으로 수용함으로써 '''군사적 요충지로서의 [[아차산]]'''이라는 하나의 지식 정보로 아우르고자 하였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16년 9월 28일 (수) 09:12 기준 최신판
지식 네트워크 실패작
나의 문화유산 콘텐츠 제작목적
아차산은 고대로부터 남북 육상 교통로와 한강의 물길이 교차하는 전략적 요충지로, 충적평야지대와 한강에 인접하여 위치하여 주변 지역을 조망하는데 최상의 위치라 할 수 있다. 아차산 남쪽으로는 풍납토성과 몽촌토성이 한눈에 들어오며, 아차산 서쪽의 중랑천변과 동쪽의 왕숙천변을 이용한 육로, 그리고 한강수로의 요지인 광나루를 조망할 수 있었다. 이러한 까닭에 아차산은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군사전략상 핵심요충지였으며, 한강유역을 둘러싼 삼국의 정세를 규명하는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된다.
아차산성과 아차산 일대 보루군의 입지도 이러한 아차산의 지리적・지형적 이점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아차산성과 아차산 일대 보루군의 내부 시설, 출토유물 등을 통해 고구려 국경지대 요새의 구조와 성격은 물론이고 국경방위체계, 행정체계, 군 편제 등 중요한 자료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인은 아차산성과 아차산 일대 보루군을 대상으로 산성 및 보루의 내부 시설물, 유물, 기록 등을 통해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는 사실 정보들을 추출하고, 지식 조각들 간의 관계망을 구축하여 군사적 요충지로서의 아차산의 의미를 파악하고 시각화하고자 했다.
지식 네트워크 성공작
색깔 | arrow | class |
---|---|---|
파랑색 | '~에 의해 발견되었다', '~의 발견지이다', '~에서 발견되었다' | 사물△ |
빨강색 | '~에 속한다', '~을/를 포함한다' | 유적○ |
갈색 | '~에 기록되어 있다', '~에 대한 기록이 있다' | 기록 |
초록색 | '~에 위치한다', '~에 연결되어 있다', '~의 근처에 있다', '~와/과 인접한다' | 장소□ |
회색 | '~와/과 관련된다' | 개념 |
보라색 | 그 외 관계성 |
아차산성 파빌리온
노드 설정 이유 및 스토리
첫째. 군사적 요충지로서의 아차산을 파악하고 시각화하기 위해 본인은 아차산에 위치한 아차산성을 중심으로 그 내부 시설물과 유물들을 출발 노드로 삼았다. 먼저 출발 노드들간에 어떤 연관관계가 있는지 그 연결고리를 찾아 가시화하였고, 단순한 관계부여에서 나아가 군사적 요충지로서의 아차산성의 의미를 밝혀내기 위해 신규 노드들을 추가하였다.
예를들어,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를 통해 아차산성의 사용기간을 파악할 수 있고, 아차산성 A지구의 아차산성 온돌 건물지에서 발굴된 아차산성 철제 초두와 아차산성 A지구에서 발굴된 아차산성 토우를 통해 아차산성에 기거하던 인물의 성격을 추정할 수 있다.
아차산성 A지구-아차산성 온돌 건물지-아차산성 철제 초두 ㅣ 아차산성 A지구--------------------------아차산성 토우
또한, 아차산성-아차산성 삼족기를 통해 551년 백제가 한강유역을 일시적으로 되찾았던 역사적 사실을 파악할 수 있으며, 아차산성 범주 외의 노드인 하남 이성산성 건물지 추가를 통해 7세기 아차산성의 지리적 중요성을 파악할 수 있다.
아차산성 대형초석건물지-하남 이성산성 건물지-하남 이성산성-하남 이성산성 목간-남한성 ㅣ 북한산성-아차산성
둘째. 노드를 아차산성에 한정지어 아차산 전체를 파악하기에 한계가 있었으므로, 아차산 일대 보루군에 해당하는 노드들을 추가하여 군사적 요충지로서의 아차산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예를들어, 아차산 4보루, 홍련봉 1보루의 지리적 위치와 발견된 유물들과의 연결을 통해 아차산 보루에 기병이 주둔했으며, 각 보루에 주둔하고 있는 고구려의 지휘관급들 정도는 말을 타고 보루에 올랐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고구려가 군사 점령 뿐 아니라 행정 지배를 시도한 사실도 파악할 수 있는데, 아차산 3보루와 아차산 4보루에서는 아차산 보루군을 관장하는 군사지휘소 역할을 담당했고, 홍련봉 1보루는 대민(對民) 기능을 담당하는 행정관청이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아차산 3보루, 아차산 6보루 관련 노드들을 통해 아차산 보루에 주둔한 고구려군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병사들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평상시 둔전(屯田) 경작과 함께 수확한 곡물을 직접 도정하기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구의동 보루와 구의동 보루 철솥을 통해서는 아차산 일대 보루군에 주둔했던 병력을 추산할 수 있다.
아차산성-아차산-아차산 일대 보루군-아차산 보루군-아차산 4보루-아차산 4보루 철제 투구... ㅣ 안악 3호분 벽화 ㅣ -아차산 3보루-아차산 3보루 디딜방아 -홍련봉 보루군-홍련봉 1보루-홍련봉 1보루 연화문 와당
이처럼 본인은 아차산 3보루 정보 조각, 아차산 4보루 정보 조각, 홍련봉 1보루 정보 조각, 홍련봉 2보루 정보 조각 등 개별적으로 존재하던 정보들의 의미적 연결 고리를 지어주고, 다양한 지식들을 확장적으로 수용함으로써 군사적 요충지로서의 아차산이라는 하나의 지식 정보로 아우르고자 하였다.